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2. 중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52. 중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1) 중년기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예 ∙ 김영자. (1999). 중년기 부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① 목적 - 중년기의 발달 특성을 알고, 현상적으로 보이는 변화를 통해 자신을 발견하게 한다. - 중년기에 나타나는 위기의 현상들을 알고 이해한다. -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과 높은 자존감으로 자신을 사랑하고 배우자를 사랑하며, 가족과 이웃을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 한다. - 중년기 위기에 대한 구체적인 극복 및 대처 방안을 모색케 함으로써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모색케 한다. - 부부와의 대화, 성에 대..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1. 중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51. 중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1) 중년기의 이해 ⑴ 중년기의 정의 ∙ Borland(1978) : 연령과 관계없이 막내자녀의 독립으로부터 은퇴까지 ∙ 두산백과 : 노년기가 시작되기 직전 인간의 성인 단계. 일반적으로 약 40~60세까지. ∙ 가족주기를 기준으로 ‘마지막 자녀가 독립하면서부터 시작하여 배우자 중 한 명이 은퇴를 하거나 사망하기까지의 기간’ ⑵ 중년기의 범위 ∙ Sigelman(1999) : 40~60세   Specht & Craig(1987) : 40~70세   Zastrow & Kirst-Ashman(1987) : 30~65세 ∙ Duvall(1985) : - 이 시기의 자녀는 심리적·물리적..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0. 맞벌이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50. 맞벌이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1) 맞벌이 가족의 개념 ∙ 조추용 등(2009)은 ‘맞벌이가족’이라는 용어에서는 가정의 경제적 필요성에 중심을 두는 이미지가 있고, ‘취업부부가족’이라는 용어는 이 가족의 가장 큰 문제로 꼽을 수 있는 자녀양육부분의 이미지가 없으므로 ‘취업부모가족’이라는 용어로 정의내림. 하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맞벌이가족’이라는 용어가 학습자들에게 익숙하므로 본 수업에는 ‘맞벌이가족’을 사용함. ∙ 남편과 아내가 동시에 직업을 가짐으로써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인 지위를 갖게 되며, 가정경제에 기여함으로써 자아만족과 행복감을 경험하는 가족형태를 말함. ..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9.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49.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1)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⑴ 다문화가족이란? ∙ 한국에 유입되는 대표적인 이주민 집단으로는 크게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음. ∙ ‘다문화가족’이라 함은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라 넓은 의미로는 외국인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 자녀,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을 모두 포함하고, 좁은 의미로는 한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하여 구성한 가족을 의미함. ⑵ 다문화가족의 유형  다문화가족의 유형 ∙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정의) 1. "다문화가족"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가족을 말한다. 가.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8. 이혼 및 재혼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48. 이혼 및 재혼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1) 이혼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⑴ 이혼의 개념 ∙ 법률상으로 완전 유효하게 성립된 혼인을 결혼당사자들이 모두 생존한 동안에 그 결혼관계를 협의 또는 재판상의 절차를 거쳐 소멸시키는 것 ∙ 이혼가족이란 : 이혼으로 인하여 새롭게 구성된 가족으로 이혼 전의 가족에 비해 축소된 형태의 가족을 의미한다. 이혼가족은 재혼을 하지 않고 독신으로 남는다면 독신가구로, 재혼을 한다면 재혼가구로, 자녀들을 키우며 재혼을 하지 않는다면 모자(母⼦)가족 또는 부자(⽗⼦)가족 형태의 한부모가족 등으로 재구성됨. ⑵ 이혼가족교육의 정의 ∙ 이혼을 준비하는 부부, 이혼 과정..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7. 부모자녀관계교육의 실제 47. 부모자녀관계교육의 실제 1) 고남희(2009). 교류분석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연구목적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을 지원하기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 발 및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함. ∙ 연구 대상 : 서울, 일산, 부천에 위치한 유치원 두 곳과 어린이집 한 곳의 만 2,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54명. 실험집단에 27명, 통제집단에 27명. ∙ 프로그램 실시 : 주 1회, 120분, 8주 총 8회. ∙ 프로그램 * 연구결과 ①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자녀 간 의사..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6. 부모자녀관계교육의 내용 46. 부모자녀관계교육의 내용 1) 부모자녀관계 교육의 필요성(이원영, 1991) ① 아동 입장 - 어린이는 행복한 성품, 독립성, 안정성과 자기 존중감을 기를 수 있는 가정환경에서 성장 하면서 자신이 갖고 태어난 능력을 최대한으로 계발할 수 있어야 함. - 부모 또는 주 양육자들로부터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배려를 받으며 성장하여야 함. - 지능은 아주 어릴 때 많이 발달하며 경험적 요인에 의해 여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나 쁜 환경에서 양육될 경우 적절한 경험이 마련되지 않아 발달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 음. ② 부모 입장 - 결혼을 했다고 아동을 깊이 사랑하고..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5. 부모자녀관계교육의 효과 및 역사 45. 부모자녀관계교육의 효과 및 역사 1) 부모자녀관계교육의 효과 ⑴ 부모역할의 중요성 ① 어릴 때 아동이 경험한 부모자녀관계의 질이 성장한 후 부모자녀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Benoti & Parker, 1994). ② 어머니의 어린 시절 애착경험이 자녀의 문제행동에도 영향을 미침(강차연·장연집, 1999). ③ 가정폭력 가해자는 폭력가족에서 성장한 비율이 70% 이상으로 폭력의 세대 간 전이가 나타남(Pagelow, 1984). - 위험환경에 처한 16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김기환(1995)의 연구에서 47명의 학대받은 어머니 중에서 33명의 어머니(70%)가 자신의 자녀를 학대했으며, 어..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