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2. 스트레스 정의와 스트레스 유발 원인들 62. 스트레스 정의와 스트레스 유발 원인들 1)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인 ○ 스트레스는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인으로 구분할 수 있음 (1) 스트레스원(stressor) ○ 스트레인을 야기하고, 안정적 범위를 벗어난 심리적 또는 신체적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부정 적인 어떤 사건이나 힘 ○ 유스트레스(Eustress): 승진, 결혼, 출산 ○ 디스트레스(Distress): 발표, 지각, 많은 일 ○ 일반적으로는 디스트레스를 스트레스원이라고 함 (2) 스트레인(Strains) ○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결합된 스트레스 경험으로 인해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개인의 결과 예 ) 낮은 직무만족, 동기 부족, 부정적 정서, 소진, 우울, 질병 등 ○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직원은 질병, 좋지 못한 수행, 결근 증가 ..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1. 조직몰입의 프로파일 및 일터에서의 정서 61. 조직몰입의 프로파일 및 일터에서의 정서 2 조직몰입의 프로파일 1) 조직몰입 프로파일의 의미 ○ 조직 몰입의 하위 구성 요소간의 상호작용 중요성을 몰입 프로파일이라 함(Meyer & Herscovitch, 2001) 2) 프로파일 산정 과정 ○ 개인의 조직 몰입 구성요소의 상대적 점수를 산출 ○ 유사한 점수의 사람들을 집단으로 분류 ○ 특정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것이 몰입 프로파일의 산출 과정 - 고 정서-고 규범-고 지속 몰입 프로파일이 가장 이직 의도가 낮았음 - 저 정서-저 규범-저 지속 몰입과 저 정서-저 규범-고 지속 몰입 프로파일에서 이직의 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고 정서-고 규범-저 지속 몰입 프로파일은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낮았고, 심리적 건강, 조직시민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0. 조직몰입의 정의와 하위 요인 및 결과 60. 조직몰입의 정의와 하위 요인 및 결과 1) 조직몰입의 정의 ○ 조직몰입: 조직에 대한 종업원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애착 ○ 조직몰입은 조직관련 태도 중에 직무만족 다음으로 많이 다루고 있는 변인 ○ 일반적인 조직 몰입: 직장에서의 일과 관련된 것에 유대감과 애착을 가지는 것을 말함(Klein et al, 2009) 2) 조직몰입의 하위 요인 (1) 조직 몰입의 세 가지 구성 요소 ○ 정서적 몰입 - 조직에 대한 정서적 애착으로 조직의 목표, 가치에 대한 강한 믿음과 수용, 조직을 위해 노력하고, 헌신하고자 하는 의지 - 조직의 일부가 되고자 하는 강한 욕구로 조직의 성공이 자신의 성공이라고 생각 - 조직에 대한 직원의 정서적 애착에 해당 ○ 지속적 몰입 - 조직을 떠남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cos..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9. 직무만족의 결과 59. 직무만족의 결과 1) 수행 ○ 직무만족 수준이 높은 근로자가 생산적인 근로자가 아닐 수 있음 ○ 수행은 만족보다 직장에서 수행을 방해하는 제약, 특정 업무를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일에 집중하지 못하게 만드는 가족 의무, 특정 업무에 관한 잘못된 기대, 동기 부족 등에 더 많은 영향을 받기도 함. ○ 직무만족과 수행과의 상관관계 추정치는 약 .30(Judge, Thoresen, Bono, & Patton, 2001), .59(Harrison, Newman & Roth,2006) 정도임. ○ 맥락 수행은 공식적으로 직무 기술서에 포함되지 않은 작업관련 행동이며, 과업적 요소라기 보다는 사회적 요소와 더 관련되어 있는 행동. 조직 시민 행동이라고도 불리움. ○ 맥락 수행의 선행변인으로 연구가 많이 ..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8.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와 하위 영역 58.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와 하위 영역 1) 직무 기술지표 ○ 직무만족은 “전반적으로 내가 다니는 직장을 좋아 한다”와 같이 포괄적으로 측정되거나 직 원들이 임금, 상사 등, 각 하위 차원 별로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묻는 형태로 측정 ○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타당화가 잘된 척도 중에 하나가 직무 기술지표(JDI: Job Descriptive Index) ○ Smith, Kendall 및 Hulin(1969)이 개발하였으며 5가지 차원인 직무 자체, 임금, 동료, 승진 기회 그리고 상사에 대한 만족으로 구분하여 측정 2) 직무 진단 조사 ○ 직무진단조사(JDS, Job Diagnostic Survey)로 직무 특성(직무특성)을 측정(Hackman & Oldham, 1980)하면서 함께 개발 ○ 이 만족 척..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7. 직무만족의 선행요인 57. 직무만족의 선행요인 1) 직무 특성 ♠ Hackman과 Oldham(1980)이 제안하였던 5가지 핵심 직무차원 외에 업무 부하도 포함 ♠ 직원들이 직무에서 자율성, 업무 정체성, 기술다양성, 과업중요성 및 피드백이 제공된다고 지각할수록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음 ♠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업무 부하가 직무에 대한 불만족을 증가시킴 2) 개인특성 (1) 기질 ♠ 직무만족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안정적인 것은 정서적 기질에 기인한다고 주장 ♠ 정서적 기질이란 환경 자극 범주에 일관된 정서반응을 보이는 성향(Judge & Hulin, 1993). ♠ 외부세계에 일관되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방식으로 반응하는 사람 ♠ 긍정적인 정서 기질인 사람은 더 낙관적이고 활력이 넘치고 행복해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부..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6. 직무 태도의 개념과 중요성 56. 직무 태도의 개념과 중요성 1) 직무 태도의 정의 ○ 태도(attitude): 특정한 사람, 장소, 사물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느낌이나 신념으로 행 동 경향성을 의미 2) 직무 태도가 중요한 이유 ○ 직무 태도는 작업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간주되어왔기 때문에 관리자와 경영진의 관심사항 ○ 인본주의 입장에서 직원의 직무태도를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 Locke(1976)는 행복은 삶의 목표이고 직장에서 행복도 조직의 목표가 되어야 함 ○ 직무 태도 연구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직장 생활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제공 3) 직무만족의 정의 ○ I/O심리학에서 다른 어떤 주제보다도 더 활발하게 연구 ○ 직무만족(job satisfaction)은 오랫동안 조직 효과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5. 조직 동기와 관련 있는 자기조절이론 55. 조직 동기와 관련 있는 자기조절이론 1) 목표 설정 이론 ♠ 작업동기 이론 중에 가장 체계적으로 정립된 이론이며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는 분야 ♠ Locke는 목표는 행동에 4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준다고 제안(Locke & Latham, 2006) - 목표는 특정한 과업이나 과업 요소에 주의가 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 목표는 그 과업과 관련된 노력을 시작하게 한다. 즉,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행동이 무 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시작하게 한다. - 목표는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해준다. 목표가 없다면 대부분의 경우 중도에 포기하고 목표와 관련 없는 다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 - 목표는 목표 달성을 위해 더 높은 수준의 인지 전략을 사용하게 한다. → 목표는 동기의 기초이며..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