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9. 직무만족의 결과

728x90
반응형

59. 직무만족의 결과

1) 수행


직무만족 수준이 높은 근로자가 생산적인 근로자가 아닐 수 있음
○  수행은 만족보다 직장에서 수행을 방해하는 제약, 특정 업무를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일에
집중하지 못하게 만드는 가족 의무, 특정 업무에 관한 잘못된 기대, 동기 부족 등에 더 많은
영향을 받기도 함.
○  직무만족과 수행과의 상관관계 추정치는 약 .30(Judge, Thoresen, Bono, & Patton, 2001),
.59(Harrison, Newman & Roth,2006) 정도임.
○  맥락 수행은 공식적으로 직무 기술서에 포함되지 않은 작업관련 행동이며, 과업적 요소라기
보다는 사회적 요소와 더 관련되어 있는 행동. 조직 시민 행동이라고도 불리움.
○  맥락 수행의 선행변인으로 연구가 많이 된 변인은 직무만족
○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하위 차원 간의 상관관계는 .22에서 .57 정도


2) 철회행동


○  가장 일반적인 철회 행동은 결근, 지각, 이직
○  미국인적자원관리협회(Society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2014)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직원의 결근에 따른 비용은 기업의 급여 지불 총액의 22%
○  직무만족은 출근 동기에 영향을 미침
○  직무만족과 결근 사이의 상관관계는 중간 혹은 다소 작은 크기(r= -.15 to -.25)의 상관관계
○  다른 변인들이 영향을 미침(질병, 개인문제, 보상, 고용 시장 상황 등)
○  지각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지만 만성적 지각(chronical lateness)은 직무만족의 의해 어느
정도 잘 예측(r=-.39)
○  이직은 조직에 막대한 비용손실을 초래, 인력 대체 비용은 직원 연봉의 1.5-2.5배
○  직무만족과 이직 간 상관은 -.22와 -.30 사이
○  불만족 수준이 안정적인 경우보다, 직무만족 수준이 높다가 갑작스럽게 떨어지게 되는 경우
이직할 확률이 높음


3) 반생산적 행동


○  반생산적 작업행동(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조직, 직원, 이해관계자에게 피해
를 입히거나, 피해를 입힐 의도가 있는 행동
○  방화, 협박, 뇌물수수, 사보타주, 절도, 사기, 심리적 철회, 대인관계 폭력과 더불어 일부 결
근, 지각까지 포함
○  불만족 할 때 반사회적 행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상관관계는 -.10에서 -.25 사이
○  적대감이 만족을 감소시키고, 일탈 행동을 증가시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