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조직몰입의 프로파일 및 일터에서의 정서
2 조직몰입의 프로파일
1) 조직몰입 프로파일의 의미
○ 조직 몰입의 하위 구성 요소간의 상호작용 중요성을 몰입 프로파일이라 함(Meyer & Herscovitch, 2001)
2) 프로파일 산정 과정
○ 개인의 조직 몰입 구성요소의 상대적 점수를 산출
○ 유사한 점수의 사람들을 집단으로 분류
○ 특정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것이 몰입 프로파일의 산출 과정
- 고 정서-고 규범-고 지속 몰입 프로파일이 가장 이직 의도가 낮았음
- 저 정서-저 규범-저 지속 몰입과 저 정서-저 규범-고 지속 몰입 프로파일에서 이직의
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고 정서-고 규범-저 지속 몰입 프로파일은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낮았고, 심리적
건강, 조직시민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세 가지 조직 몰입 중 한 가지 몰입이 결과 변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해
서는 다른 몰입의 상태를 함께 고려해야 함
3 일터에서의 정서
○ 직장에서 수행된 많은 연구는 정서의 역할을 주제로 삼았음
1) 정서 조절
○ 자신의 정서를 모니터하고 표현하는 방식
○ 즐거운 정서를 과장하거나 왜곡하는 것
○ 분노와 시기심 등을 숨기는 것
2) 정서 노동
○ 정서 노동 : 대인관계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표현을 노력, 계획, 통
제하는 것
○ 개인은 정서 조절을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음.
○ Hoschschild(1983)은 이런 관리 방식을 내면행위와 표면행위로 구분했음
- 내면 행위 (deep acting)
○ 정서표현의 통제를 넘어서 내부 감정과 실제 표현을 일치하도록 수정하는 것
- 표면행위(surface acting)
○ 내부 정서와 감정의 변화 없이 외적으로 가짜 감정을 표현하는 것
○ 자동 조절(automatic regulation): 의식적인 행위 없이 자연스럽게 정서를 표현하는 것
○ Beal, Trougakos, Weiss 및 Dalal(2013)는 정서 경험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정서 순
환(affect spin)의 개념을 제안함
○ 정서 순환이 많이 이뤄지는 개인은 표면 행위의 결과로 긴장과 피로를 더 많이 느끼
는 것으로 나타남
○ 정서 순환이 많이 이뤄지는 개인은 다양한 정서 차원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지만, 순
환이 많지 않은 사람은 일부 정서만 안정적으로 경험할 가능성이 높음
○ 정서 노동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획득한 결과는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여지
가 높음
○ 정서 부조화는 스트레스와 탈진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서비스
업종의 인사선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음. 즉 정서 조절을 잘 하는 사람을 선발하는 것이 필요함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3. 스트레스로 인한 결과들 (2) | 2024.03.24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2. 스트레스 정의와 스트레스 유발 원인들 (1) | 2024.03.21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0. 조직몰입의 정의와 하위 요인 및 결과 (2) | 2024.03.19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9. 직무만족의 결과 (1) | 2024.03.19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8.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와 하위 영역 (1) | 202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