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0. 조직몰입의 정의와 하위 요인 및 결과

728x90
반응형

60. 조직몰입의 정의와 하위 요인 및 결과

1) 조직몰입의 정의


조직몰입: 조직에 대한 종업원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애착
○  조직몰입은 조직관련 태도 중에 직무만족 다음으로 많이 다루고 있는 변인
○  일반적인 조직 몰입: 직장에서의 일과 관련된 것에 유대감과 애착을 가지는 것을 말함(Klein
et al, 2009)


2) 조직몰입의 하위 요인


(1) 조직 몰입의 세 가지 구성 요소
○  정서적 몰입
- 조직에 대한 정서적 애착으로 조직의 목표, 가치에 대한 강한 믿음과 수용, 조직을 위해
노력하고, 헌신하고자 하는 의지
- 조직의 일부가 되고자 하는 강한 욕구로 조직의 성공이 자신의 성공이라고 생각
- 조직에 대한 직원의 정서적 애착에 해당
○  지속적 몰입
- 조직을 떠남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cost)과 관련되어 있는 몰입
- 직원이 조직에 재직하면서 투자한 시간, 노력 등으로 인해 생성된 애착
- 이 조직을 떠나면 손해라는 생각에서 발생하는 몰입으로 매몰 비용몰입(sunk-costs
commitments), 연속적 몰입 이라고도 함
○  규범적 몰입
- 조직과 계속적으로 고용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무를 반영하고 있는 개념
- 규범적 몰입이 높은 사람은 회사에서 자신을 대우하는 방식과 상관없이 의무적으로 남아
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이직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 도덕적 몰입이라고도 함


3) 조직몰입의 측정 문항


○  Meyer, J. P., & Allen, N. J. (1997)의 정서적, 지속적, 규범적 몰입을 측정한 척도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음
○  대표 문항들의 예시는 다음가 같음

4) 조직몰입의 선행요인


(1) 조직 몰입의 프레임워크

(2) 조직몰입의 선행 요인
○  조직 메커니즘(시스템)
- 초기 적응 과정인 사회화가 잘 이뤄진 경우
- 회사 로고 제품, 회사 소식지, 다양한 복지 혜택, 교육기회 제공, 공정한 평가 및 보상
- 조직이 직원을 지지하고 공정하게 대우하며 직원이 회사에서 중요하고 우수한 인재라는
것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의사소통이 되면 정서적 몰입이 증가
- 유연한 근무 형태를 제공해주는 것도 몰입을 향상시킴
○  개인적 특성
- 연령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정서적으로 몰입하는 수준이 높아짐

- 이러한 결과는 직무에 대한 경험이나 재직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자신이 좋아하는 직장을
얻게 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결국 정서적 애착이 증가
-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조직 몰입이 감소
- 직무 수준이 개인이 가진 KSAO와 부합할 때 조직에 더 몰입할 가능성이 높음
○  사회적 요인
- 상사가 직원을 잘 대우해주는 정도나 공개적으로 소통해주는 정도는 직원의 조직몰입 수
준과 정적인 상관이 있음
- 역할모호성, 역할 갈등 같은 개념과 조직몰입이 일관되게 부적관계
- 참여의 기회가 많을수록, 동료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조직에 더 몰입


5) 조직몰입의 결과


(1) 수행
○  직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는 복잡하고 직무만족과 수행과의 상관이 높지 않
듯이 조직 몰입이 수행과 강한 관계를 갖는다고 확신할 수 없음
○  정서적 몰입은 혁신적 수행에 중요한 선행변인이며, 조직 혁신은 집단 차원의 몰입 수준과
관련 있음
○  조직 몰입은 정규업무(예: 회사에서 정해진 업무)보다는 추가 혹은 부가 업무(예: 조직시민
행동, 맥락 수행)와 관계성이 높았음
○  정서적 몰입 수준(특정 지역이나 매장의 몰입점수 평균)은 매장의 고객 불평 수준과 평균 고
객 서비스 시간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임(Conway & Briner, 2012)


(2) 철회 행동(근로손실 행동)
○  정서적 몰입과 결근의 상관은 유의미하지만 작음
○  규범적 몰입 역시 결근과 상관이 있음
○  지속적 몰입은 결근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조직 몰입은 이직 의도와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남
○  장기적 관점에서 조직 몰입은 이직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큼


(3) 반생산적 활동
○  공정성, 직원의 권한위임(empowering), 협력적 관계 같은 가치를 포용하고 있는 기업이 그
렇지 않은 기업보다 신뢰수준이 높음. 즉, 직원들이 조직에 더 몰입
○  좌절은 조직 몰입의 저하와 관련 있을 수 있음
○  조직(정서적) 몰입과 업무 일탈 행동은 부적 관계가 나타남
○  매몰 비용과 대안이 없어서 조직에 묶여 있다고 생각하는 직원이 직장에서 일탈 행동을 보
일 가능성이 높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