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와 하위 영역
1) 직무 기술지표
○ 직무만족은 “전반적으로 내가 다니는 직장을 좋아 한다”와 같이 포괄적으로 측정되거나 직
원들이 임금, 상사 등, 각 하위 차원 별로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묻는 형태로 측정
○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타당화가 잘된 척도 중에 하나가 직무 기술지표(JDI: Job
Descriptive Index)
○ Smith, Kendall 및 Hulin(1969)이 개발하였으며 5가지 차원인 직무 자체, 임금, 동료, 승진
기회 그리고 상사에 대한 만족으로 구분하여 측정
2) 직무 진단 조사
○ 직무진단조사(JDS, Job Diagnostic Survey)로 직무 특성(직무특성)을 측정(Hackman &
Oldham, 1980)하면서 함께 개발
○ 이 만족 척도는 임금, 안전, 사회적 요인, 상사, 성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14문항으로 측정
3) 미네소타 직무만족 질문지
○ 미네소타 직무만족 질문지(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는 100개의 문항으
로 20개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하지만 20개 문항으로 단축된 척도를 주로 활용함
- 내게 부여된 업무량에 대해
- 혼자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 때때로 반복되지 않는 다양한 일들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 직장에서 인정받는 인물이 될 수 있는 기회에 대해
- 상사가 부하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 상사의 업무집행 능력에 대해
-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는 일을 하지 않을 수 있는 자유에 대해
- 직장의 안정성에 대해
- 직무를 통해서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해….
4) 얼굴 척도
○ 직무만족의 인지적 측면보다 정서적 측면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
○ 글을 모르는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음.
○ 다음 중 귀하의 직장(업무, 보상, 상사, 성장 기회 등)에 대한 본인의 감정을 잘 나타내 주는
표정은?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0. 조직몰입의 정의와 하위 요인 및 결과 (2) | 2024.03.19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9. 직무만족의 결과 (1) | 2024.03.19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7. 직무만족의 선행요인 (1) | 2024.03.18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6. 직무 태도의 개념과 중요성 (0) | 2024.03.17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5. 조직 동기와 관련 있는 자기조절이론 (0) | 202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