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8.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와 하위 영역

728x90
반응형

58.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와 하위 영역

1) 직무 기술지표


직무만족은 “전반적으로 내가 다니는 직장을 좋아 한다”와 같이 포괄적으로 측정되거나 직
원들이 임금, 상사 등, 각 하위 차원 별로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묻는 형태로 측정
○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타당화가 잘된 척도 중에 하나가 직무 기술지표(JDI: Job
Descriptive Index)
○  Smith, Kendall 및 Hulin(1969)이 개발하였으며 5가지 차원인 직무 자체, 임금, 동료, 승진
기회 그리고 상사에 대한 만족으로 구분하여 측정

2) 직무 진단 조사


○  직무진단조사(JDS, Job Diagnostic Survey)로 직무 특성(직무특성)을 측정(Hackman &
Oldham, 1980)하면서 함께 개발
○  이 만족 척도는 임금, 안전, 사회적 요인, 상사, 성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14문항으로 측정

 

3) 미네소타 직무만족 질문지


○  미네소타 직무만족 질문지(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는 100개의 문항으
로 20개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하지만 20개 문항으로 단축된 척도를 주로 활용함
- 내게 부여된 업무량에 대해
- 혼자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 때때로 반복되지 않는 다양한 일들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 직장에서 인정받는 인물이 될 수 있는 기회에 대해
- 상사가 부하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 상사의 업무집행 능력에 대해
-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는 일을 하지 않을 수 있는 자유에 대해
- 직장의 안정성에 대해
- 직무를 통해서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해….


4) 얼굴 척도


○  직무만족의 인지적 측면보다 정서적 측면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
○  글을 모르는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음.
○  다음 중 귀하의 직장(업무, 보상, 상사, 성장 기회 등)에 대한 본인의 감정을 잘 나타내 주는
표정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