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5. 조직 동기와 관련 있는 자기조절이론

728x90
반응형

55. 조직 동기와 관련 있는 자기조절이론

1) 목표 설정 이론


작업동기 이론 중에 가장 체계적으로 정립된 이론이며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는 분야
♠  Locke는 목표는 행동에 4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준다고 제안(Locke & Latham, 2006)
- 목표는 특정한 과업이나 과업 요소에 주의가 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 목표는 그 과업과 관련된 노력을 시작하게 한다. 즉,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행동이 무
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시작하게 한다.
- 목표는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해준다. 목표가 없다면 대부분의 경우
중도에 포기하고 목표와 관련 없는 다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
- 목표는 목표 달성을 위해 더 높은 수준의 인지 전략을 사용하게 한다.
→ 목표는 동기의 기초이며 특정한 방향으로 행동을 이끈다.


(1) 효과적인 목표 설정
♠  Locke와 동료 연구자들은 40년 넘게 목표설정과 관련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함(Locke &
Latham, 2002)
- 직원들에게 어렵고, 구체적인 목표가 제시될 때 수행 수준이 높음
- 어렵고 구체적인 목표를 주더라도 목표에 대한 수용도와 몰입도가 낮으면 수행증가로 이
어지지 않음
- 목표와 관련된 수행에 대한 피드백이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


2) 사회 인지 이론


♠  1960년대 주목을 받았던 사회인지 이론은 동기에서 행동과 인지 요소의 상호작용을 강조
♠  사회적 인지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Albert Bandura (1986)가 제시한 자기조절의 세
가지 구성요소
♠  자기 조절 이론이라고도 불리움
- 자신의 구체적인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자기관찰(self-observation).
인간의 정보처리 능력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신의 모든 행동에 주의를 기울일 수 없음.
따라서 어느 행동에 주의를 더 두어야 할지 선택해야함
- 자기평가(self-evaluation)로 자기 피드백 과정에 참여하는 것. 구체적으로, 자신의 수행과
노력을 평가하는 것
- 자기반응(self-reaction)으로 자기평가에 대한 내적 반응. 자기 반응은 목표달성 상황이
순조로운지 여부에 따라 현재 수행에 대한 불만 혹은 기쁨의 정서적인 반응 형태로 나타
남. 또한 그 반응으로 노력을 증가시키거나 목표를 변경하거나 목표를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음
♠  또 다른 Bandura 이론의 핵심 요소는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으로 성공적으로 과업을
완수하거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개인의 지각

♠  VIE 이론의 개념 중에 하나인 기대와 직접적으로 관련
♠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특정한 업무를 잘 할 수 있다고 기대할 때 동기 수준이 증가
♠  조직은 직원이 훈련과 피드백을 통해 긍정적인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제공
♠  Bandura와 Locke(2003)는 개인의 효능감이나 능력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어야 개인이
성공할 만큼의 노력을 투입한다고 주장
♠  사람들은 의도를 형성할 때 의도를 이행하기 위한 계획과 전략을 함께 고려
♠  사람들은 개인의 기준(예, 목표)을 세우고, 자기 반응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행동을 모니터링
하는 방식으로 자기조절을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