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2. 스트레스 정의와 스트레스 유발 원인들

728x90
반응형

62. 스트레스 정의와 스트레스 유발 원인들

1)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인


스트레스는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인으로 구분할 수 있음


(1) 스트레스원(stressor)
○  스트레인을 야기하고, 안정적 범위를 벗어난 심리적 또는 신체적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부정
적인 어떤 사건이나 힘
○  유스트레스(Eustress): 승진, 결혼, 출산
○  디스트레스(Distress): 발표, 지각, 많은 일
○  일반적으로는 디스트레스를 스트레스원이라고 함


(2) 스트레인(Strains)
○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결합된 스트레스 경험으로 인해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개인의 결과 
예 ) 낮은 직무만족, 동기 부족, 부정적 정서, 소진, 우울, 질병 등
○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직원은 질병, 좋지 못한 수행, 결근 증가 등 다양한 스트레인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음
○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것
- 스트레인이나 바람직하지 않는 결과를 유발하는 스트레스원을 경험하고 있다는 의미임
- 따라서 스트레스는 자극, 반응 그리고 자극 - 반응의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임


2) 일반적인 스트레스 모델

(1) 작업 요인
○  통제감 부족은 특히 직원의 스트레스 수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짐
○  Karasek(1990)의 스트레스의 요구
- 통제모형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직무요구, 그리고 직원에게 제공되는 의사결정 권한의 범
위(통제 수준)와 관련되어 있음(Theorell & Karasek, 1996)

(2) 역할 변인과 대인관계
○  역할(role)이란?
- 집단에서 특정 지위가 있는 사람에게 기대되는 일련의 행동
○  직장에서의 역할과 대인관계는 중요한 스트레스원임
- 역할 모호성(Role ambiguity): 역할 기대가 불분명하고 직원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
- 역할 갈등(Role conflict): 역할 기대가 비일관적이고 상사가 직원에게 역할에 대해 혼합
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상황
○  역할 스트레스원과 감정적 및 행동적 결과간의 교정상관

○  직장에서의 역할과 대인관계는 중요한 스트레스원임
- 상사와 동료와의 관계가 나쁜 직원은 호의적인 대인관계를 맺는 사람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을 가능성이 높음
- 실제로 대인관계가 좋지 못한 경우 직장, 학교, 이웃, 가정 등 장소와 관계없이 스트레스
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