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일-가정 갈등의 정의와 갈등의 감소 방안
1) 일-가정 갈등의 의미
○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 WFC)
○ 일과 가정에서의 요구가 서로 양립되지 않는 일-가정 관계 모형
○ 일-가정 갈등은 개인과 조직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
○ 일-가정 향상(Work-Family Enrichment, WFE)
○ 한 영역에서의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이 다른 영역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믿어지는 일-가정관계 모형
2) 일-가정 갈등의 이론적 모델
○ 일과 가정의 상호작용 모형, 일-가정 관계의 개념적 모형이 있음
(1) 일과 가정의 상호작용 모형
○ 지난 20~30년간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해, 일-가정 사이의 상호작용
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음
○ 일-가정 갈등 모형은 직장 생활과 가정생활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함
3) 일-가정 관계의 개념적 모델
○ Somech와 Drach-Zahavy(2007) 연구
○ 이스라엘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이 가정생활을 방해하여 발생하는 갈등(일 ≫ 가정)과 가
정 생활이 일을 방해하여 발생하는 갈등(가정 ≪ 일)을 줄이기 위한 대처 기법을 연구하였음
○ 구체적으로 그들은 개인 특성과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대처기법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음
○ 다수의 연구에서 일-가정 갈등이 개인과 조직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Ford, Heinen 및 Langkamer(2007)의 메타분석
○ 직무관여와 직무 스트레스와 같은 변인은 (일 ≫ 가정) 갈등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갈등은
가정 만족에 영향을 미쳤음
→ 이러한 결과는 일과 가정의 중요성과 각 영역의 갈등이 어떻게 서로 전이되는지를 보여 줌
○ 앞서 언급한 모형들은 전통적으로 전이 모형(Spillover model)이라고 불려왔음
4) 일-가정 갈등 감소를 위한 조직지원과 개입
○ 조직 지원의 영역은 상사가 부하직원의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지원해주는 것까지 확대되었음
○ Hammer, Kossek, Yragui, Bodner와 Hanson(2008)이 개발한 척도를 활용한 연구결과
-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척도보다 부하직원의 가정생활을 지원해주는 여부가 직무만족,
이직, 일-가정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결과를 예측하는 타당도가 높았음
○ 몇몇 연구에서 일-가정 문제는 자녀 출산 직후에 더 중요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음
○ Carlson 등(2011)의 연구
- 출산 4개월 후 직장에 복직한 여성 근로자의 직무 자원과 직무요구가 각각 일-가정 향상
과 일-가정 갈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
예) 개인의 스케줄을 통제할 수 있는 것이 일-가정 갈등의 부정적 결과를 감소시켰고,
직무안정성은 일-가정 향상을 증가시킴
○ 조직에서 제공하는 일-가정 지원제도
- 전통적인 사내복지제도
* 육아지원, 노인돌봄, 유연근무, 휴직제도
- 비전통적인 사내복지제도, 편의 복지, 건강 증진, 교육지원 복지, 주거 지원 프로그램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6. 직장 내 폭력과 원인 (2) | 2024.03.28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5. 실직의 심리적 효과와 관련 요인들 (3) | 2024.03.27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3. 스트레스로 인한 결과들 (2) | 2024.03.24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2. 스트레스 정의와 스트레스 유발 원인들 (1) | 2024.03.21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1. 조직몰입의 프로파일 및 일터에서의 정서 (1)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