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실직의 심리적 효과와 관련 요인들
1) 직업의 중요성
○ 어떤 직업을 가지고 있는지가 삶의 방식뿐만 아니라 인식, 신념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침
○ 직업이나 직무를 자신과 동일시하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직업은 자
신이 누구인지를 정의하는 것에 중심적인 역할을 함
○ 직업은 돈을 버는 수단이자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역할을 맡기도 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우
리에게 중요함(Cartwright & Cooper, 1997)
→ 따라서 실직은 당사자에게 극심한 스트레스를 주는 사건임
2) 실직에 대한 불안
○ 근로자들은 일반적인 생각 이상으로 실직을 염려하고 있으며, 이 불안감은 긴 시간 동안 지
속됨(Rudisill & Edwards, 2002)
○ 지각된 경력기회 부족은 심리적 고통과 좋지 않은 건강과 관련되어 있음
○ 불안전 고용(Underemployment)이란?
- 사람들이 취업한 직무가 자신의 능력이나 역량 수준보다 낮은 수준에서 일하는 것
→ 불완전 고용은 구직활동, 이직의도, 이직행동 같은 근로손실 의도 및 행동뿐만 아니라
직무만족, 직무관여, 업무소외, 조직몰입과 같은 개인결과와 부적인 관계를 나타냄
3) 실직에 관련된 요인
○ Warr(1999): 웰빙의 환경적 결정요인을 직원들이 더 많이 경험할수록 긍정적인 웰빙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주장함(Warr, 1999)
○ 웰빙의 열 가지 환경적 결정요인
- 개인 통제 기회: 직장에서 발생하는 상황과 사건의 통제 가능성
- 기술 사용 기회: 직원이 기술을 사용하고 개발하도록 권장하는 정도
- 다양성: 같은 일을 반복하지 않고 여러 가지 업무와 책임을 맡는 것
- 환경적 명확성: 피드백의 양과 질을 통해 현재 그리고 미래에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정
확히 이해하고 있는 지의 여부와 관련
- 가치 있는 사회적 지위: 직원이 일을 통해서 명성이나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정도
- 외부에서 주어진 목표: 적당한 요구, 도전성의 정도
- 돈의 가용성: 적절한 보상 수준
- 물리적 안전성: 근로 환경 및 안전과 관련
- 지지적 관리감독: 상사와 충분한 상호작용 기회, 이해, 유능한 상사
- 대인관계 기회: 상사, 동료, 부하, 고객과의 원만한 대인관계
○ 삶에서 일의 중요성을 파악하는 또 다른 방법은 실직이 전반적인 웰빙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 외에 실직으로 인해 손실되는 환경적 결정요인은 살펴보는 것임
○ 실직으로 인해 손실되는 환경적 결정요인
- 일은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실직은 기술사용 기회가 사라짐
- 다양한 직무경험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없어짐
- 가치 있는 사회적 지위는 직장에서 기원하기 때문에 실직은 가치 있는 사회적 지위를 잃는 것임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7. 산업 재해 원인 (1) | 2024.03.29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6. 직장 내 폭력과 원인 (2) | 2024.03.28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4. 일-가정 갈등의 정의와 갈등의 감소 방안 (2) | 2024.03.26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3. 스트레스로 인한 결과들 (2) | 2024.03.24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2. 스트레스 정의와 스트레스 유발 원인들 (1) | 202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