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교육사회학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27. 평생학습사회와 평생학습도시 및 한국의 평생교육 체제 27. 평생학습사회와 평생학습도시 및 한국의 평생교육 체제 1. 평생학습 사회와 평생학습도시 1) 평생학습사회 (1) 개념 - 평생학습사회는 삶의 양식으로서 사회곳곳에 편재해 있는 사회를 말하는 것으로 사회 각 부문에서 적극적으로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촉진 하는 사회형태, 즉 생태적인 다양한 문제들을 인간의 경험과 성장, 성숙을 통해 해결하려고 하는 사회를 말한다. ⇨ 평생학습사회 실현은 자아실현, 자아개발로써 평등교육을 구현하는데 있으며,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에 중점을 둔다. ► 에드워즈(R. Edwards)의 학습사회 ① 교육된 사회(educated society)로서의 학습사회 - 적극적인 시민정신, 자유민주주의, 기회균등을 지지하는 사회로 표상화 됨 - 사회구성원에 대한 시민교육 차원에서의 평생..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26. 평생교육의 개념 및 등장배경과 필요성 26. 평생교육의 개념 및 등장배경과 필요성 1. 평생교육의 개념 1) 교육의 여러 형식 ▶ 형식 교육(formal education) - 교육장소, 교육내용, 교수자가 정해져 있음 - 일정한 목적을 향하여 규율과 순서에 따라 교육 작용이 이루어 짐 - 장기적, 계획적, 계속적 - 제도권 교육 - 국가나 교육당국의 기준 설정 및 통제와 지시․ 감독을 받음 - 공인된 자격이나 졸업증서 부여. - 선발과정을 거쳐 상급학교에 진학하기 때문에 폐쇄적이며, 경쟁적 ▶ 무형식 교육(informal education) - 의도적인 교육이 아닌 자연발생적이고 우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 교육장소, 교과내용, 교수자의 유, 무에 관계없이 교육이 이루어짐 - 학습자가 필요에 의해 지식이나 정보를 습득할 수 있음 - 개방..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25. 대안학교와 홈스쿨링 25. 대안학교와 홈스쿨링 1. 대안학교 1) 대안교육의 개념 - 대안교육은 기존의 공교육과 다름을 추구하는 작업에서 시작된다. - 대안교육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막연하고 추상적인 측면을 갖고 있다. (1) 대안학교 개념 정의 - 대안학교 연구자들의 정의 : 대안학교는 대안적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만들어지고 운영되는 곳이기 때문에 대안적 정신을 실천하는 모든 곳. (2) 교육과학기술부의 정의 : “정규학교 부적응아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로서 자연현장학습과 체험위주 및 인성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학교” -이는 당초 대안학교의 개념적 정의와 거리가 있다-. 2) 대안학교의 분류 ► ‘학교 태’를 갖춘 대안학교 - 기존의학교 형태를 갖춤 - 학습원리에 상생과 협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는 학..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24. 다문화와 다문화 교육 24. 다문화와 다문화 교육 1. 다문화 이해 1) 다문화의 개념 - 다문화란 인종, 민족, 그룹, 성별, 종교, 성 취향 등을 포함하며 여러 유형의 이질적인 문화가 하나의 제도권 안에서 상호교류를 통해 형성되는 것 2) 다문화 이론 (1) 용광로 이론(Theory of melting pot) - ‘melting pot’ 용어는 미국이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흡수하는 사회라는 개념으로 사용하였으며 미국사회를 용광로로 보고 주류인 WASP(White Anglo-Saxon Protestant)문화에 용해되어 미국인이라는 새로운 인종으로 바뀐다는 뜻, 즉 동화교육을 의미 (2) 모자이크 이론(Theory of mosaic) - 존 머레이 기본(John Murray Gibbon)이 용광로 이론은 이민자의 뿌리를 ..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23.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4 23.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4 1.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1) 저항이론 ① 이론의 전개 - 재생산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것으로 영국의 윌리스(Willis)의 문화기술 연구에서 처음 제시됨. ② 연구의 개요 - 노동계급 남학생들이 어떻게 해서 아버지와 같은 노동계급의 직업을 선택하게 되는가를, 문화 기술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했다. ► 윌리스의 관찰대상이 된 학생들의 행동 특성 - 학교로부터 제시된 권위에 대한 반항과 지적 활동의 가치 및 중요성을 거부. - 순응적인 아이들에 대해 거부하며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 - 그들은 ‘권위’에 대해 집단적, 개인적으로 끊임없이 저항하며 스스로를 ‘싸나이’라고 부른다. - ‘싸나이’들은 학교의 권위에 순응적인 학생들을 ‘범생이..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22.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3 22.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3 1.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1) 지배이데올로기와 잠재적 교육과정 → 학교에서 가르쳐지는 지식은 국제관계 속에서, 각 사회집단 속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회적 상황에 따라 결정 되며 정치적, 사회적, 역사적 산물이기 때문에 지배집단의 이익이 반영되어 있다. 2) 지배이데올로기와 잠재적 교육과정 : 국제관계와 교육내용 ► 문화전계 : 문화는 다음 세대로 전수 계승된다. ► 문화접변 : 한 문화가 다른 문화와 접촉하여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이다. 어떤 맥락, 계기, 경로에서든 문화들 간의 접촉은 피할 수 없으며 그 과정에서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는 것 또한 피할 수 없다. ► 문화적 정체성 ► 토착문화 ► 토착문화와 외래문화와의 갈등 : 카노이(Carnoy, 198..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21.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2 21.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2 1.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1) 경제재생산과 교육과정 ► 보울즈와 진티스(Bowles & Gintis) - 미국의 학교교육은 자본주의적 사회관계에 순응할 수 있는 노동력을 양산하기 위한 제도로 발전되어 왔다. - 학교에서의 ‘숨은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부지불식간에 체제순응적인 성격특성을 학습한다고 주장. ► 대응원리 - 교육이 노동구조의 사회관계와 똑같이 대응하는 사회관계로 운영되고 있다. - 자본주의 사회의 위계관계를 학교교육의 수준별 위계구조에 서로 대응시킴으로 각각에 필요한 가치체계를 가르친다. - 학교는 ‘억압적’ 자본주의 사회의 유지에 필요한 가치관과 성격적 특성을 학생들에게 주입시킨다. - 그러나 교육은 대상에 따라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20.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2 20.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2 1.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1) 경제재생산과 교육과정 ► 보울즈와 진티스(Bowles & Gintis) - 미국의 학교교육은 자본주의적 사회관계에 순응할 수 있는 노동력을 양산하기 위한 제도로 발전되어 왔다. - 학교에서의 ‘숨은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부지불식간에 체제순응적인 성격특성을 학습한다고 주장. ► 대응원리 - 교육이 노동구조의 사회관계와 똑같이 대응하는 사회관계로 운영되고 있다. - 자본주의 사회의 위계관계를 학교교육의 수준별 위계구조에 서로 대응시킴으로 각각에 필요한 가치체계를 가르친다. - 학교는 ‘억압적’ 자본주의 사회의 유지에 필요한 가치관과 성격적 특성을 학생들에게 주입시킨다. - 그러나 교육은 대상에 따라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