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0. 상황적 면접과 작업 표본 면접 30. 상황적 면접과 작업 표본 면접 1) 상황적 면접 ○ 지원자들에게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어떻게 대처할지를 묻는 면접방식 ○ 관리 직무에 대한 평정에 특히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짐 (주도성, 문제 진단 차원 평가) ○ 이 면접을 통과 후 채용된 사람들은 자긍심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됨 ○ 상황판단 검사를 말로 바꾼 것으로, 사용빈도가 증가되고 있음 ○ 예) 작업을 하기 싫어하는 종업원과 일하고 있다. 이 종업원이 일을 도와줄 수 있는 유일한 종 업원이다. 어떻게 동기를 부여하겠는가? * 면접을 사용하는 이유 ○ McDaniel et al.(1994): 면접의 타당도는 .39,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보다 사실상 더 타당한 방법 ○ 일반적으로 자신의 판단에 자신감을 갖는다(타당도에 대한 착각) ○ 지원 직..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9. 구조화 정도에 따른 면접의 구분 29. 구조화 정도에 따른 면접의 구분 ○ 채용 면접은 인사선발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 면접관과 지원자간의 상호작용 ○ 지원자의 객관적인 자격요건 이외에 다양한 요인들이 면접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성, 인 종, 태도 유사성, 미소, 손동작, 언어적 단서(말소리 높이, 말의 속도 등) ○ 면접은 일반 정신능력 검사보다 더 역동적인 측정방법 ○ 면접에서 물어보는 질문들은 가급적 직무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도출되어야 함 ○ 면접은 구조화된 정도에 따라 비구조화된 면접과 구조화된 면접으로 구분. ○ 구조화란? 모든 직무 지원자들에게 면접이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정도 1) 구조화된 면접 ○ 미리 정해져 있는 면접 질문의 목록을 가지고 특정 직무의 모든 지원자들에게 동일하게 사용하 는 방법 ○ ..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8. 타당도의 개념과 타당도 검증방법 28. 타당도의 개념과 타당도 검증방법 1. 타당도의 개념 ○ 신뢰도는 측정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반면, 타당도는 정확성을 나타냄 ○ 타당도(Validity): 검사점수로부터 도출되는 추론의 정확성과 적절성에 의해 검사를 평가하는 기 준 ○ 기계적성 검사는 정비사의 수행을 예측하는 데는 타당하지만, 사무직의 경우 그렇지 않음 ○ 타당도는 이분법적인 개념이 아니고 연속적인 수준으로 타당도는 존재하고 있음 2. 타당도 검증 방법 1) 구성(Construct) 타당도 ○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얼마나 정확하고 충실하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 도 ○ 지능검사(g)라면 언어력, 수리력, 문제 해결력 점수와 높은 상관이 존재할 것임 즉 새로운 검사 점수와 기존의 관련이 있는 검사 간에 높은 상관이 ..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7. 신뢰도의 개념과 신뢰도 검증방법 27. 신뢰도의 개념과 신뢰도 검증방법 1 신뢰도의 개념 ▷ 대표적인 예측변인의 질은 신뢰도(Reliability)와 타당도(Validity), 즉 일관성과 정확성으로 이해 할 수 있음 ▷ 신뢰도: 측정 즉 검사점수의 일관성, 안정성 혹은 동등성에 의해 검사를 평가하는 기준 ▷ 측정치가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신뢰할 만한 측정치라면 항상 일관된 값을 지닐 것임 예) 몸무게 측정 – 값이 계속 변한다면? 2 신뢰도 검증 방법 1) 검사-재검사(Test-retest) 신뢰도 ▷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 ▷ 두 시점에서 검사를 실시하고 그 점수들을 비교, 두 점수간의 상관계수 산출 ▷ 상관계수는 시간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안정계수로 불림 ▷ 상관계수는 높을수록 좋다. 학문적으로..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6. 상황판단 검사와 작업표본 검사 26. 상황판단 검사와 작업표본 검사 1) 상황판단 검사 ◆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여러 가지 가능한 해결책의 실현가능성이나 적용가능성을 평정 하도록 하는 검사,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전통적인 g개념을 측정하는 것은 아님, 실용 지능과 유사 ◆ 검사 개발에는 주제관련 전문가로 현직자들이 참여 ◆ g와 성격 검사가 수행을 예측하는 부분에 추가적인 타당도를 보임 ◆ 검사문항은 정답이 있지만 실생활에서는 여러 가지 대안 중 실현 가능성이 높거나 적절한 경우가 많음 상황판단 검사 문항의 예 당신은 대형 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제조 팀의 관리자이다. 당신 팀의 한 작업자가 가동 중인 기계에 갑자기 기상이 생겨서 당신 팀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보고해왔다. 다음에 제시된 가능한 행동들을 읽고 ..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5. 검사 종류 : 일반 정신능력 검사, 감각 및 운동능력 검사 등 25. 검사 종류 : 일반 정신능력 검사, 감각 및 운동능력 검사 등 1) 일반 정신능력 검사(General mental ability: g) ○ 대부분의 직무에서의 성공을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짐, 타당도는 r=.40-.60 ○ Murphy(1996)-직무수행을 예측을 위한 g의 타당도에 관한 연구는 I&O에서 성공사례 중 하나 ○ Reeve & Hakel(2002): “인간의 개인차를 대표하는 g가 예측하지 못하는 결과나 준거는 사실 상 없다는 것을 많은 자료들이 입증을 해주고 있다.” ○ Murphy(1996)-g는 지나치게 단순화 시킨 것 ○ Sternberg(1997): 지능 삼원론(학업, 실용, 창의적 지능) ○ Hedlund & Sternberg(2000)-기업에서는 빠른 환경 변화에 잘 적응..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4. 검사 개발 방법 및 형태 24. 검사 개발 방법 및 형태 1) 검사 개발 방법 □ 심리검사의 목적: 개인에 대한 추론 -개인이 어떤 직무에서 수행을 잘 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추론을 위해 개인을 측정하여 정 보를 얻는 것 □ 산업심리학에서는 선발 절차를 통해 조직에 입사한 후에 얼마나 우수한 수행(준거)을 보일 것인 지를 예측하고 싶어함. 즉 우수한 직원을 가급적이면 정확히 예측하고자 노력 □ 예측변인들: 서류, 학점, 경력, 자기소개서, 능력검사, 적성검사, 성격검사, 다양한 면접, 인턴 등 □ 다양한 종류의 예측변인 즉 심리검사들이 개발되어 왔다.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 음 차원 1: 예측변인이 측정하고자 하는 심리적 구성개념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지 아니면 직무에서 수행하는 동일한 행동의 일부를 측정하는지?.. 더보기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3. 맥락수행(조직 시민 행동) 23. 맥락수행(조직 시민 행동) 1) 맥락수행 ○ 전통적인 업무 수행준거 영역을 확장(Borman, 2004). ○ 행정 사무원이 신속하게 타이핑하고 전화에 효율적으로 응답하면 작업 능력을 높게 평가 받지 만, 열정을 보여주고 직장 동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 맥락적 수행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 업무 수행으로서 필요한 수행과 직장 및 동료에게 가치가 있는 수행을 구분할 수 있다. ○ 맥락적 수행을 보이는 직원들은 필요하거나 요구되는 부분만 충족시키는 것 그 이상의 가치를 이끌어 낸다고 생각된다. ○ 맥락적 수행으로 알려진 개념의 다른 표현으로는 조직 시민 행동 (OCBs)과 친사회적 조직 행동 (POBs)이 있다 (Borman & Motowidlo, 1997). 2) 과업수행과 맥락적 수행 간의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