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3. 맥락수행(조직 시민 행동)

728x90
반응형

23. 맥락수행(조직 시민 행동)

1) 맥락수행
전통적인 업무 수행준거 영역을 확장(Borman, 2004).
○  행정 사무원이 신속하게 타이핑하고 전화에 효율적으로 응답하면 작업 능력을 높게 평가 받지
만, 열정을 보여주고 직장 동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 맥락적 수행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  업무 수행으로서 필요한 수행과 직장 및 동료에게 가치가 있는 수행을 구분할 수 있다.
○  맥락적 수행을 보이는 직원들은 필요하거나 요구되는 부분만 충족시키는 것 그 이상의 가치를
이끌어 낸다고 생각된다.
○  맥락적 수행으로 알려진 개념의 다른 표현으로는 조직 시민 행동 (OCBs)과 친사회적 조직 행동
(POBs)이 있다 (Borman & Motowidlo, 1997).


2) 과업수행과 맥락적 수행 간의 세 가지 주요 차이점
(
Hoffman, Blair, Meriac, Woehr, 2007)
○  첫째, 과업 활동은 일자리의 종류 (배관공과 음악가의 직무를 생각해 보라)에 따라 크게 달
라지지만 맥락적 행동은 어느 일자리에서나 비슷한 성향을 갖는다 (배관공은 음악가만큼이
나 동료를 도울 수 있다).
○  둘째, 맥락적 활동은, 과업 활동과 달리 직무기술서 또는 수행 평가 양식에 공식적으로 기입
될 가능성이 낮다.
○  셋째, 과업 활동은 개인적인 특성들과 관련이 있다. 인지적 능력이 자원 봉사와 같은 맥락수
행보다 영업 성과(과업 활동)와 더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성실성은 영업 성
과보다는 맥락수행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Hattrup, O'Connell , & Wingate, 1998).


3) 맥락수행의 영향
○  동료들 간의 좋은 유대 관계가 "사회적 자본" 역할을 하는 조직 시민 행동을 이끌어내고, 이 자
본이 그 조직의 수행과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Bolino, Turnley, Bloodgood, 2002)
○  작업 상호 의존성이 높은 집단에서 조직 시민 행동이 높으면 성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남.
○  맥락수행은 수행 평가 전에 증가하기도 한다. 인상관리나 승진을 위해 나타나기도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