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4. 검사 개발 방법 및 형태

728x90
반응형

24. 검사 개발 방법 및 형태

1) 검사 개발 방법


심리검사의 목적: 개인에 대한 추론
-개인이 어떤 직무에서 수행을 잘 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추론을 위해 개인을 측정하여 정
보를 얻는 것
□  산업심리학에서는 선발 절차를 통해 조직에 입사한 후에 얼마나 우수한 수행(준거)을 보일 것인
지를 예측하고 싶어함. 즉 우수한 직원을 가급적이면 정확히 예측하고자 노력
□  예측변인들: 서류, 학점, 경력, 자기소개서, 능력검사, 적성검사, 성격검사, 다양한 면접, 인턴 등
□  다양한 종류의 예측변인 즉 심리검사들이 개발되어 왔다.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

차원 1: 예측변인이 측정하고자 하는 심리적 구성개념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지 아니면 직무에서
수행하는 동일한 행동의 일부를 측정하는지?
□  예) 기계 정비(지식? 기계 다루는 기술?)
□  적용도에 차이가 있음
□  지필검사 : 적용도 높음
□  행동 측정 : 적용도 낮음
차원 2: 예측변인이 개인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는 것인지 아니면 과거에 관해 측정하는 것인지와
관련되어 있다.
□  현재 상태: 면접
□  과거 상태: 추천서, 이력서 등
□  개괄적인 심리검사 개발 방법: 직무분석 혹은 역량 모델링을 기반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검사 결
정 - 검사 내용 결정 – 예비 검사 – 신뢰도, 타당도 검증의 단계를 거침


2) 검사 형태


□  검사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속도검사-역량검사
개인검사-집단검사
지필검사-수행검사
공채 신입사원 선발시에는 속도검사-개인검사-지필검사가 많이 사용됨

속도검사 역랑검사 개인검사 집단검사 지필검사 수행검사
-문제 난이도 下
- 시간제한이 있
다.
-점수: 시간 내
에 문제를 푼 개
-문제 난이도 上
-시간제한이 없
음.
-점수: 정답의
개수
- 한번에 한 명
에게 실시하는
검사
- 시간 비용이
많이 소요됨
- 주로 중역들을
선발할 때 실시
- 한번에 여러
명에게 실시하는
검사
- 시간 비용 면
에서 효율적
- 신입 사원 선

- 대부분의 검사
들은 집단검사
- 사물조작 없이
종이와 필기도구
만을 사용하는
검사
- 가장 흔한 검
사 형태
- 다중 선택형이
나 논술형태
- 운전면허증의
필기시험
- 사물이나 장비
를 일정시간 조

- 신체적 기술을
보여야 하는 검

- 타자검사와 손
재주 검사
- 운전면허증의
실기시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