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6. 상황판단 검사와 작업표본 검사

728x90
반응형

26. 상황판단 검사와 작업표본 검사

1) 상황판단 검사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여러 가지 가능한 해결책의 실현가능성이나 적용가능성을 평정
하도록 하는 검사,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전통적인 g개념을 측정하는 것은 아님, 실용 지능과 유사
◆  검사 개발에는 주제관련 전문가로 현직자들이 참여

◆  g와 성격 검사가 수행을 예측하는 부분에 추가적인 타당도를 보임
◆  검사문항은 정답이 있지만 실생활에서는 여러 가지 대안 중 실현 가능성이 높거나 적절한 경우가 많음


상황판단 검사 문항의 예

당신은 대형 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제조 팀의 관리자이다. 당신 팀의 한 작업자가
가동 중인 기계에 갑자기 기상이 생겨서 당신 팀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보고해왔다.
다음에 제시된 가능한 행동들을 읽고 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가장 바람
직한 것부터 순서로 순위를 매기시오.
1. 이 문제에 대해 당신 팀원들과 논의하기 위하여 회의를 소집한다.
2. 이 문제를 안전부터 책임자에게 보고한다.
3. 해당 기계의 작동을 즉시 중지시킨다.
4. 다른 작업자들이 가동시키고 있는 기계에서도 문제가 있는 지 작업자들에게 개별적으
로 물어본다.
5. 당신 팀을 생산현장으로부터 대피시킨다.

 

2) 작업표본 검사


◆  지원자가 직무에서 수행하는 대표적인 작업을 얼마나 능숙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 알아 보기 위
해 실제로 작업을 시켜보는 방식의 인사선발 검사-”매우 현실성 있는 모의상황”
◆  기계공의 직무수행-도구 사용, 작업의 정확성, 전반적 기계능력
◆  행동의 적절성에 따라 점수 부여 (눈금을 보고 정비하면 10점, 감에 의해 정비하면 3점 등)
◆  타당도는 매우 좋음, 도구 사용과는 .66, 작업의 정확성은 .42, 전반적 기계능력은 .46
◆  Truxillo, Donahue, Kuang(2004): 작업표본이 직무 내용과 강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고, 지필이
아닌 수행에 의해 평가되기 때문에 그리고 공정하고 필요한 방식으로 여겨져, 지원자들이 선호 


제한점
◆  기계를 다루는 직무나 사물을 조작하는 노동직에 효과적
◆  현재 할 수 있는 것을 평가하는 것, 미래의 잠재력 평가는 아님
◆  훈련생보다는 경험이 있는 작업자를 선발하는 데 적합
◆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든다.


3) 검사 선택


◆  정신측정 연감(Mental Measurement Yearbook): 출판된 검사들에 관해 개관과 비평을 주기적
으로 제공하는 심리학에서의 참고서적
◆  검사분야 전문가들의 평가, 가격, 출판사, 검사 판수에 대한 정보가 수록

◆  www.unl.edu/buros에서 볼 수 있음


검사 선택 시 고려사항
◆  검사 사용자는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가지고 검사를 사용해야 함
◆  검사결과를 어디에 사용할 것인지를 충분히 고려하여 신중하게 검사를 선택해야 함
◆  검사점수에 의거하여 중요한 결정을 할 때 검사의 선택이 매우 중요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