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7. 신뢰도의 개념과 신뢰도 검증방법

728x90
반응형

27. 신뢰도의 개념과 신뢰도 검증방법

1 신뢰도의 개념


대표적인 예측변인의 질은 신뢰도(Reliability)와 타당도(Validity), 즉 일관성과 정확성으로 이해
할 수 있음
▷  신뢰도: 측정 즉 검사점수의 일관성, 안정성 혹은 동등성에 의해 검사를 평가하는 기준
▷  측정치가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신뢰할 만한 측정치라면 항상 일관된 값을 지닐 것임
예) 몸무게 측정 – 값이 계속 변한다면?

 

2 신뢰도 검증 방법


1) 검사-재검사(Test-retest) 신뢰도
▷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
▷  두 시점에서 검사를 실시하고 그 점수들을 비교, 두 점수간의 상관계수 산출
▷  상관계수는 시간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안정계수로 불림
▷  상관계수는 높을수록 좋다. 학문적으로 받아들여지려면 .70의 계수를 가져야 함
▷  두 검사 간의 시간간격을 고려해야 함
▷  간격이 짧을수록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높아짐


2) 동등형(Equivalent-form) 신뢰도
▷  두 개의 검사 점수 간 동등성을 나타내는 신뢰도
▷  동일한 속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두 가지 다른 형태로 만들어 사람들에게 두 가지 모두를
실시
▷  두 가지 검수간의 상관관계를 구함, 동등계수라고 함. 두 검사가 동일한 개념을 어느 정도나 일
관되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알려줌
▷  많은 검사들이 동등형(지능, 성취)을 가지고 있지는 않음
▷  산업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덜 사용됨

 

3) 내적일치(Internal-consistency) 신뢰도
▷  검사 내 문항들 간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신뢰도의 한 가지 종류
▷  반분신뢰도: 검사를 홀수, 짝수(전반, 후반부)로 나눠 상관을 구함
▷  Cronbach a, KR 20: 각 문항을 하나의 검사로 간주하고 문항 간 상관계수를 기반으로 계산
▷  동질적이라면 계수가 높을 것, .65-.70이상,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4) 평가자간(Inter Rater) 신뢰도
▷  두 명 이상의 평가자들로부터의 평가가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신뢰도의 한 종류
▷  평가자들의 판단에 기초하여 평가가 이뤄질 때 평가자간 불일치가 발생, 같은 행동을 관찰하더
라도 다르게 평가할 수 있음
예) 면접관들 간의 지원자 평가
▷  두 평가자들 간 점수의 상관관계, 혹은 일치 비율로 판단(80% 이상)

X = 발생, A(A+D) = 17/(17+3) = 0.85 = 85%
▷  두 관찰자의 간격 기록법 비교
- A는 특정 행동발생 혹은 비발생이라는 관찰자간 일치를 나타내며, D는 관찰자 간 불일치
(한 관찰자는 행동발생으로, 나머지는 관찰자는 행동 비발생으로 기록)를 나타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