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9. 구조화 정도에 따른 면접의 구분

728x90
반응형

29. 구조화 정도에 따른 면접의 구분

채용 면접은 인사선발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 면접관과 지원자간의 상호작용
○  지원자의 객관적인 자격요건 이외에 다양한 요인들이 면접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성, 인
종, 태도 유사성, 미소, 손동작, 언어적 단서(말소리 높이, 말의 속도 등)
○  면접은 일반 정신능력 검사보다 더 역동적인 측정방법
○  면접에서 물어보는 질문들은 가급적 직무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도출되어야 함
○  면접은 구조화된 정도에 따라 비구조화된 면접과 구조화된 면접으로 구분.
○  구조화란? 모든 직무 지원자들에게 면접이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정도


1) 구조화된 면접


○  미리 정해져 있는 면접 질문의 목록을 가지고 특정 직무의 모든 지원자들에게 동일하게 사용하
는 방법
○  면접관의 편견에 의해 크게 좌우되지 않음
○  훈련을 받지 않았거나 경험이 없는 면접관도 어려움 없이 면접을 수행할 수 있음
○  예측 타당도가 높음. 직무지식,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 문제 해결능력 같은 내용을 파악


2) 비구조화된 면접


○  정해진 양식 없이 지원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질문 내용, 형식, 방법도 면접관의 개인
적인 판단에 근거함
○  지원자 평가에 일관성이 결여됨
○  지원자의 배경, 경험, 태도 등 다른 측면에 흥미를 나타낼 수 있고 결국 지원자들의 객관적인
능력보다는 면접관들의 특성이나 편견이 더 반영
○  일반지능, 교육수준, 작업경험, 흥미 등을 파악
면접의 구조화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직무분석에 의거해서 질문하기
○  면접관이 답을 재촉하지 않기
○  각 질문에 대한 답을 평정하기
○  한 지원자당 여러 명의 면접관 사용하기
○  사전 면접 훈련을 한 사람들이 뽑힐 가능성이 조금 더 높음
○  일반 면접의 타당도는 약 .30정도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