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구조화 정도에 따른 면접의 구분
○ 채용 면접은 인사선발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 면접관과 지원자간의 상호작용
○ 지원자의 객관적인 자격요건 이외에 다양한 요인들이 면접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성, 인
종, 태도 유사성, 미소, 손동작, 언어적 단서(말소리 높이, 말의 속도 등)
○ 면접은 일반 정신능력 검사보다 더 역동적인 측정방법
○ 면접에서 물어보는 질문들은 가급적 직무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도출되어야 함
○ 면접은 구조화된 정도에 따라 비구조화된 면접과 구조화된 면접으로 구분.
○ 구조화란? 모든 직무 지원자들에게 면접이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정도
1) 구조화된 면접
○ 미리 정해져 있는 면접 질문의 목록을 가지고 특정 직무의 모든 지원자들에게 동일하게 사용하
는 방법
○ 면접관의 편견에 의해 크게 좌우되지 않음
○ 훈련을 받지 않았거나 경험이 없는 면접관도 어려움 없이 면접을 수행할 수 있음
○ 예측 타당도가 높음. 직무지식,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 문제 해결능력 같은 내용을 파악
2) 비구조화된 면접
○ 정해진 양식 없이 지원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질문 내용, 형식, 방법도 면접관의 개인
적인 판단에 근거함
○ 지원자 평가에 일관성이 결여됨
○ 지원자의 배경, 경험, 태도 등 다른 측면에 흥미를 나타낼 수 있고 결국 지원자들의 객관적인
능력보다는 면접관들의 특성이나 편견이 더 반영
○ 일반지능, 교육수준, 작업경험, 흥미 등을 파악
면접의 구조화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 직무분석에 의거해서 질문하기
○ 면접관이 답을 재촉하지 않기
○ 각 질문에 대한 답을 평정하기
○ 한 지원자당 여러 명의 면접관 사용하기
○ 사전 면접 훈련을 한 사람들이 뽑힐 가능성이 조금 더 높음
○ 일반 면접의 타당도는 약 .30정도 된다.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1. 면접 외 다양한 예측변인 (2) | 2024.02.21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0. 상황적 면접과 작업 표본 면접 (1) | 2024.02.20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8. 타당도의 개념과 타당도 검증방법 (0) | 2024.02.18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7. 신뢰도의 개념과 신뢰도 검증방법 (0) | 2024.02.17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6. 상황판단 검사와 작업표본 검사 (0)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