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1. 면접 외 다양한 예측변인

728x90
반응형

31. 면접 외 다양한 예측변인

1) 생활사 정보


과거 활동, 흥미, 일상생활에서의 행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을 평가하는 방식
○  행동, 태도, 가치는 일관성을 지니기 때문에 과거 경험으로부터 이런 요인들을 평가하면 미래의
경험을 예측할 수 있음
○  생활사에 관한 질문은 실제로 격은 사건들에 대해 물어야 한다. 가상적 상황이나 행동의도에
대한 질문은 안됨(Mael, 1991)
○  생의 초기경험이 나중에 직무에서의 성공을 예측할 뿐 아니라 일생을 통하여 개인적 및 경력성
취감을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줌
○  생활사 설문지가 승진, 연봉, 결근율, 생산성을 성공적으로 예측한다고 보고함
○  전체적인 타당도 .30-.40, 성격검사, 일반 정신능력 검사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력과 중복되지 않음

 

차원 견본 문항
대인관계
1. 사교성
2. 호감성 / 협조성
3. 인내심
4. 좋은 인상
자원봉사를 한다.
다른 사람에 비해 많이 다툰다
법을 어기는 사람을 보면 참지 못한다.
사람이 어떤 옷을 입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인생관
1. 침착성
2. 스트레스 인내
3. 낙천성
자주 서두른다.
좌절에서 벗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
모든 사람은 어느 정도 좋은 면을 가지고 있
다고 생각한다.
기타
1. 인생에 대한 만족
2. 성취욕구
3. 부모의 영향
4. 학교 성적
5. 직무 경력
전반적으로 얼마나 행복한가.
과거 직무에서의 서열
부모님과의 관계가 만족스러웠는가
수학성적
과거 직무의 좋은 점과 나쁜 점

 

2) 추천서


○  면접과 응시원서만큼 광범위하게 사용됨, 가장 타당도가 낮음
○  추천서 작성을 의뢰 받은 사람은 리더십 능력과 문서와 말에 의한 의사소통 기술과 같은 차원에
서 추천대상자를 평가함
○  범위의 축소현상-대부분 긍정적으로 기술
○  타당도 계수는 .13정도, 부정적인 내용이 기술되어 있을 때 문제 가능성을 암시
○  하지만 부정적 정보를 포함한 추천서는 드물다.


3) 약물 검사


○  불법약물남용을 탐지하는 검사를 말할 때 사용하는 용어
○  약물남용이란 불법약물의 남용, 알코올이나 기타 화학물질의 과용 및 불법 사용
○  약물남용은 사회적, 도덕적, 경제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포괄적인 문제
○  약물남용에 탐닉하는 종업원들은 자신의 복지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동료 종업원들과 타인들의 복지도 위태롭게 함
○  전형적으로 소변검사(머리카락)를 사용함
○  실험실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음 (약물 잠재기를 고려해야 함)
○  약물검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음, 필요 직무에서만 사용
○  Normand, Salyards, & Mahoney-5,465명 조사-1년 후 결근율 59.3%, 해고 47% 더 높음


4) 필적 분석


○  개인이 쓴 글씨의 특성을 평가하고 해석하는 측정방법
○  일부 유럽 국가에서 사용
○  글자 형태, 크기와 기울어짐, 얼마나 눌러쓰는 지와 같은 요인에 기초하고 필적 분석가가 지원
자 성격을 평가함
○  Rafaeli & Klimoski(1980): 20명의 필적 분석가의 필체분석 결과와 상사평가, 자기평가, 판매실

적과의 상관을 구함. 필적에 대한 평가는 준거와 상관이 없었음
○  Ben-Shakhar(1986): 필적 분석가들이 은행 종업원들의 직무수행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그저 우
연히 맞추는 수준 정도로만 예측


5) 정서 지능 검사


○  일터에서도 기분, 감정, 정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함
○  사회적 상황에서 정서 반응을 관리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을 나타내는 개념
○  정서 지능은 정서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러한 정보가 자신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Mayer 등, 2008).
○  정서를 다루는데 개인차가 있음
○  일부 이론가들은 정서가 지능과 다른 개념이 아닌 정서가 지능의 영역 안에 존재한다고 봄
○  Goleman(1995): 정서 지능이 높은 사람은 사회생활에서 안정감이 있고, 사교적이고, 명랑함. 그
들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동정적이고 타인을 배려함
○  “인지능력보다 정서 지능이 인간을 더 인간답게 만드는데 더 많은 기여를 한다.”
○  정서 지능의 하위 요인들: 자신의 정서 인식, 자신의 정서 관리, 자기 동기부여,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인식과 조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