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준거의 정의와 종류 : 개념 준거, 실제 준거
1) 준거(Criteria)의 정의
○ 사물, 사람, 절차 혹은 집단들의 질을 결정(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평가적 기준
○ 좋은 영화, 친구, 배우자, 선생님의 기준은?
○ 의견이 불일치하다면? 서로 준거가 다르기 때문
○ 산업심리학에서 준거는?
: 근로자의 우수함 또는 무능함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는 평가 기준
○ 준거는 대인관계의 문제, 국가 복지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침
○ 준거를 통해 우리는 직원의 성과를 평가 할 뿐만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도 평가하고, 인재 채용,
그리고 해고와 승진을 위한 결정들을 하는데 사용
○ 판단을 내리는 데 있어서 동일한 기준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항상 동일한 결론에 도달하는 것
은 아님
○ 중요한 많은 결정들이 준거들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에 의사결정 과정에서 적절한 준거의 중요성
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음
2) 준거(Criteria)의 종류
(1) 개념 준거(Conceptual Criteria)
: 연구자가 연구를 통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이론적인 기준,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측정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
:산업심리학에서는 성공적인 직무수행이라 정의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포함한 이론적인 구성개념
예) 행정 사무원의 직무에 대한 개념 준거를 정의하고 싶다?
■ 타이핑 속도 ■ 타이핑 품질 ■ 정리 효율성 ■ 고객과의 상호 작용 ■ 동료와의 상호 작용 ■ 창의력 |
■ 서면 소통 ■ 구두 의사 소통 ■ 인내력 ■ 컴퓨터 능력 ■ 상사들과의 상호 작용 ■ 시간 준수, 조절 ■ 주도성 |
(2) 실제 준거(Actual Criteria)
: 연구자가 측정하거나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조작적 혹은 실제적 기준
: 개념 준거의 모든 부분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고, 측정 가능한 요소만
실제 준거로 고려한다.
: 준거의 측정에 들어가는 시간, 노력, 비용과 같은 실용적인 부분을 염두 해야 한다. 조직
에서 실행하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
○ 측정하기를 원하지만 측정할 수 없는 개념 준거를 실제로 측정하기 위해 실제 준거를 만들거나 얻어야 함
예) 여러분이 생각하는 우수한 사원의 기준은?
(3) 개념 준거와 실제 준거
개념 준거 | 실제 준거 |
성실성 | 고등학교 출석일 수 , 대학 평균 학점 |
창의성 | 창의성 심리검사 점수 |
이타성 | 그 동안 가입한 자원봉사 단체 수 및 봉사 시간 |
(4) 좋은 준거의 조건
○ Wherry ( 1957 )
요소 | 정의 |
예시 /설명 |
적절성 | 실제 준거 측정의 개념 준거와의 연관 정도 |
개념 준거의 중요 요소들을 잘 나타내는 측 정, 즉, 직무수행을 잘 반영 |
신뢰성 | 실제 준거 측정의 안정성이나 일 관적인 정도 |
가까운 시점에서 같은 직원을 측정한 경우 다 른 결과를 보이지 않는 측정의 일관성 |
민감도 | 실제 준거가 유능한 직원과 그렇 지 않는 직원을 변별할 수 있는 정도 |
직원들의 수행 차이를 일관성 있게 변별할 수 있는 측정, 즉, 모두의 수행이 같게 평가되지 않도록 함 |
실용성 | 실제 준거가 의사 결정권을 갖는 사람들이 결정들을 할 때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게 될 정도 |
비교적 합리적인 시간 내에 완료될 수 있고 지나친 서류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측정 |
공정성 | 직원들이 해당 실제 준거 측정을 정당하고 합리적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정도 |
남자가 여자보다 항상 높게 평가되지 않는 측 정, 역으로도 마찬가지 |
“만약 우리가 잘못된 것을 측정하고 있다면 그것을 더 잘 측정하려고 해도 아무 소용이 없
을 것이다.”
○ Wallace ( 1965 )
“진정으로 알고자 하는 개념 준거들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실제 준거가 무엇인지를 찾
아내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3. 맥락수행(조직 시민 행동) (1) | 2024.02.10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2. 객관적 준거와 주관적 준거 (3) | 2024.02.02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0. 직무 평가 : 점수 체계, 동일 가치 (2) | 2024.01.26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9. 직무 분석의 용도 : 선발, 배치, 평가, 훈련 등 (1) | 2024.01.21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8. 역량 모델링 (1)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