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장애인복지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13. 생태체계적 이론 13. 생태체계적 이론 Ÿ 장애인복지에 대한 관점은 생태체계적 관점과 임파워먼트 관점으로 나눠지는데 장애인에 대한 의식과 권리 등에서 기존의 개인 책임을 부정하고 사회적 관계에서 장애인문제를 규정한다. 1. 생태체계적 관점 Ÿ 생태체계론은 체계이론과 생태학 이론이 결합된 것으로 사회체계의 상호작용과 관계의 변화와 적응을 중심으로 환경적 특성을 강조하는 관점이다. Ÿ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변화와 균형의 반복적 과정을 통하여 성장한다는 관점을 지니고 있으며 경계를 가지며 경계 내에서 생존을 위한 경쟁, 적응, 합의 등의 상호작용 과정을 거쳐 구성원 간의 결속력과 소속감을 강조한다. 2. 생태체계적 관점의 특성 1) 총체성 Ÿ 체계가 부분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체계 자체의 독특한 성격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더보기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12. 의료, 심리사회적, 사회적 기능주의 실천모델의 이론 12. 의료, 심리사회적, 사회적 기능주의 실천모델의 이론 1. 장애인복지 관점의 변화 동향 Ÿ 장애인복지의 관점은 사회문화적 수준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아 왔다는데 비장애인이 중심이 되는 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시각은 사회적 약자 혹은 소수자에 대한 입장을 견지하여 왔다. Ÿ 소수자 관점은 장애인이 우리 사회에서 정당한 권리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주류로부터 배제 당하고 무시당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Ÿ 장애인의 문제는 본인들의 문제이며, 장애인과 함께 동일한 사회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것으로 차별과 사회적 불평등이 당연하고 정당하다는 입장을 가진다. Ÿ 장애인이 신체적ㆍ정신적 손상으로 인하여 능력이 부족하므로 주류 사회에 동참하지 못하는 것은 바로 그들의 책임이라는 것이다. .. 더보기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11. 한국의 장애인복지 역사 11. 한국의 장애인복지 역사 1. 정부 수립 이전 1) 삼국시대 Ÿ 국가는 자연재해나 전쟁 기간 중 피해를 당한 백성이나 자활, 자립할 수 없는 환과고독(蝶霧孤獨) 노병빈핍(老病貧乏)한 백성을 대상으로 안정책과 위무책을 사용하였다. Ÿ 구제사업으로 관곡진급(官穀眼給),사궁구휼(四窮救曲), 조조감면(租開滅免), 종자 및 식량급여, 이재민에 대한 군주의 친순 및 위문, 역농방재(力農防災), 종묘(宗廟) 및 불사기도(佛寺祈祿) 등이 있다. (1) 구제사업에 관한 제도 Ÿ 고구려 고국천왕 16년 7월에 환과고독과 노병빈핍으로 불능지존자들을 구휼케 하였다. - 불능지존자 : 더 이상 갈 곳이 없는 사람 - 구휼 : 사회적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을 당한 사람이나 빈민에게 금품을 주어 구제함 Ÿ 고국원왕 2년 .. 더보기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10. 현대의 장애인관 10. 현대의 장애인관 1. 현대 장애인복지 Ÿ 현대적 장애인복지가 태동된 시기는 제 2차 세계대전으로 미국,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장애인의 의료재활, 교육재활, 직업재활 등을 중심으로 장애인제도를 마련하였다. 이는 장애인의 사회통합이 현대 장애인복지의 이념으로 정착됨과 동시에 현대 장애인복지의 기본적인 틀이 마련되는 시기이다. (한국복지연구회, 1995; 한국재활재단, 1997; 함세남, 2001; 박광준, 2002; 감정기 외, 2002; 한국장애인 재활협회, 2006) 1) 제1기(1910∼1960년대) Ÿ 이 시기에는 주로 경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우선 장애인의 직업재활이 활성화되었고 중증장애인에게는 수용시설 대상자에게 의료재활을 중심으로 심리, 사회, 교육 등 각 영역의 재활을 도입하여 장애인복.. 더보기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9. 근대의 장애인관과 장애인복지의 역사 9. 근대의 장애인관과 장애인복지의 역사 1. 시대적 배경 1) 근대시대 ü 근대시대는 르네상스 시대의 전개와 더불어 의학의 발달, 종교의 개혁, 철학 사상의 변화 등으로 인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인식의 전환은 크게 가져오지 못하였다. ü 특히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은 근대사회에서도 일반적인 사회적 통념으로 이어져 내려왔다. Ÿ 르네상스와 인문주의 교육사상으로 인간중심주의로 환원하려는 특정을 갖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인문주의자들의 사상은 장애인의 본성과 장애의 본질을 현실적 근거에서 합리로 이해하도록 하였으며 장애인에 대한 교육적 기능성을 탐색하도록 하였다. 2) 종교개혁사상 ü 종교개혁사상은 인문주의 교육사상의 인간성 본위의 사상에서 진일보하여 보통 .. 더보기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8. 중세의 장애인관과 장애인복지의 역사 8. 중세의 장애인관과 장애인복지의 역사 1. 시대적 배경 1) 중세의 장애인복지 이념 Ÿ 중세 초기에는 그리스 로마시대와 별 다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중세 말 르네상스 휴머니즘의 영향으로 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이라는 차원에서 보호받아야 할 대상으로 받아들여 진 시기이다. 2) 중세 초기 Ÿ 종교적 자선사업이 시작되면서 장애인이나 빈민을 구제하기 위한 시설을 설립하기 시작하였으며, 중세 봉건사회가 산업화에 따른 도시의 발달과 더불어 붕괴의 길을 걷게 되면서 구빈대책도 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Ÿ 성직자들은 빈민, 장애인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을 설립하기 시작하였고, 이후에는 수도원이 주축이 되어 실시되었으며 봉건체계 붕괴 이후에는 도시를 중심으로 장애인의 수용 보호사업이 이루어졌다. Ÿ 농촌으.. 더보기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7. 고대의 장애인관과 장애인복지의 역사 7. 고대의 장애인관과 장애인복지의 역사 1. 시대적 배경 ☞ 고대시대의 장애인관은 원시적이고 미신적인 것에 치중하고, 장애인에 대한 처우 또한 유기, 학대, 방임, 살해 등이 일반적으로 행해졌는데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장애인에 대해 그 영(靈)이 악하기 때문에 분노한 신에 의해 장애인이 되었다고 보았고, 장애인의 대다수는 죽임을 당하거나 노예가 되거나 신체적 학대와 유기, 방치의 대상이 되었다. ☞ 고대시대에서는 절대적인 가부장제로 인하여 아버지가 아이의 생사 문제를 결정할 수 있는 절대권을 가졌고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남자아이의 출생은 매우 높이 평가된 반면, 딸이나 장애를 가진 아이의 출생은 그 가족에게 치욕이 되었다. 그 시대에는 동물이나 강자로부터 노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건강한 신체는 필수불가결한.. 더보기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6. 자립생활 이념 6. 자립생활 이념 1. 자립의 의미 Ÿ 자립이란 성인이 되어 신체적으로 성숙하여 직업을 가지고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것 또는 결혼을 하여 부모로부터 떨어져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자립생활 이념 Ÿ 미국 자립생활조사연구소(Independent Living Research Utilization)의 자립생활 이념에 대한 정의를 보면 “자립생활이란 의사 결정 또는 일상생활에 있어서 타인에게 의존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자신이 납득할 수 있는 선택에 기초하여 자신의 생활을 관리하는 것”이라 한다. Ÿ 생활의 관리에는 신변 자립 지역에서의 일상생활의 참가, 사회적 역할의 수행, 자기결정, 신체적 및 심리적으로 타인에 의존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1) 자기실현 Ÿ 자기실현은 개인의 노력에 의..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