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복지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7. 고대의 장애인관과 장애인복지의 역사

728x90
반응형

7. 고대의 장애인관과 장애인복지의 역사

1. 시대적 배경
고대시대의 장애인관은 원시적이고 미신적인 것에 치중하고, 장애인에 대한 처우 또한 유기, 학대,
방임, 살해 등이 일반적으로 행해졌는데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장애인에 대해 그 영(靈)이 악하기
때문에 분노한 신에 의해 장애인이 되었다고 보았고, 장애인의 대다수는 죽임을 당하거나 노예가
되거나 신체적 학대와 유기, 방치의 대상이 되었다.
☞ 고대시대에서는 절대적인 가부장제로 인하여 아버지가 아이의 생사 문제를 결정할 수 있는 절대권을
가졌고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남자아이의 출생은 매우 높이 평가된 반면, 딸이나 장애를 가진
아이의 출생은 그 가족에게 치욕이 되었다. 그 시대에는 동물이나 강자로부터 노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건강한 신체는 필수불가결한 조건이었기 때문이며 고대사회에서는 자기 생명과 종족의 보존이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 고대 대부분의 도시국가에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을 그 나이에 상관없이 외곽지역에 버려 죽게
만들었으며, 그리스와 로마시대에는 기형아를 둔 아버지가 벼랑에서 아이를 떨어뜨려 죽이거나
노예로 팔았다.
☞ 장애는 악령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는 미신 숭배에 의해 심신질환(장애)의 원인이라고 간주된 악령을
빠져나가게 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머리에 구멍을 뚫기도 하였다.
☞ 히포크라테스의 당대를 기점으로 심신의 질환을 의학적으로 진단 치료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그리스인들은 장애인을 식충이라 하여 산야에 버리고 자살을 방임했으며, 신체 기형아를
절벽에서 던져버리거나 유아살해를 허용하였다.
☞ 로마인들은 청각장애인들을 리베르 강에 던져 익사시키거나 투기장과 흥행장, 귀족들 연회의
노리갯감으로 이용하고, 네로왕은 장애인을 활쏘기 연습의 표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 자연과 동물 그리고 강자로부터의 자기생명과 종족의 보존이 최우선으로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기원전 5세기경 히포크라테스의 당대를 기점으로 하여 심신질환을 의학적으로 치료하려는
노력이 일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2. 장애인을 보호하는 기독교 사상
☞ 구약성서는 장애인에 대하여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존엄한 존재로서, 장애인이 있게 된 것은
하나님의 뜻이고, 장애인을 보호해야 한다는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견해를 볼 수 있지만,동시에
장애인에 대해 차별의 대상, 죄의 대가로서 부정적 견해를 함께 엿볼 수 있다.
☞ 신약성서는 장애인관에 대하여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표현하였다.

 

3. 장애인에 대한 시각
☞ 플라톤은 장애인을 완벽한 사회로 가는 길을 가로 막는 장애물로 여겨 “장애인의 자식이나 불구자는
발견되지 않는 아무도 모르는 곳으로 당연히 보내져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Mackelprang &Salsgiver, 1999)
☞ 로마법에서는 모체에서 출생하여 인간의 형체를 갖추지 못한 경우에는 이를 살해하거나 유기하는
것이 왕법 아래 인정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출생의 법적 효과는 인정되지 않고 그 밖의 장애인들의
경우 법적 권리능력은 인정되었으나 행위능력에 있어서 일정한 제한이 가해졌다.(정무성 외,2000)
☞ 스파르타에서는 미와 건강을 가치 기준으로 존중하여 장애인을 추한 인간표본으로 생각하였다.
☞ 리쿠르구스(Lycurgus) 법전에 의하면 국가적 번영과 인간 최고의 존엄이라는 사상에 입각하여
신체허약자, 지능열등자, 기타 장애인을 산중에 버리는 것을 허용하였다.

[참고자료]
Ÿ 로마법에서는 모체에서 출생한 것이 인간의 형체를 갖추지 못한 경우에 이를 살해하거나
유기하는 것이 왕법 및 12표법 이래 인정되었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출생의 법적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숭실대학교 장애인복지연구회, 2004 : 136)



4. 장애인에 인식 변화
☞ 야만스러운 고대시대에도 이집트인들은 유아살해를 범죄로 보았고, 고대 중국에서는 정신병이 있는
사람의 처지에 관심이 있었고 음악가나 철학자와 같이 독특한 재능을 가진 맹인을 존경했다는
기록이 있다.
☞ 에드워즈(Edwards, 1997)는 고대 그리스 시대의 장애인들의 경우 신체적 장애를 갖게 된 상황과
장애인이 누구인지에 따라 지위가 다양하게 나뉘었다고 주장하였으며 전쟁터에서 부상을 당한
그리스인에게는 공적 지원을 제공하였고 보장구를 사용하기도 하였다는 것이다.
6세기 유스티니아누스 법은 장애인의 권리를 구체적으로 분류하였고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라
권리를 기술하였고(이선우, 2009 재인용), 고대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부정적이었지만, 장애인을 동정이나 보호의 대상으로 보려는 인식과 장애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취급하는 등 예외적인 경우도 발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