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73. 미국 장애인 복지제도의 종류와 특성
73. 미국 장애인 복지제도의 종류와 특성 1. 장애인의 정의 Ÿ 1990년 제정된 장애인법은 장애인을 ü “개인의 주요 일상생활 중 한 가지 이상을 현저히 제한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기능장애를 지닌 자, 이러한 기능장애의 기록이 있는 자, 이러한 기능장애를 가진 것으로 간주되는 자’’로 규정하고 있다. Ÿ 여기서 ‘주요 일상생활이란? 자기보호, 보기, 듣기, 말하기, 걷기, 숨쉬기, 손으로 하는 작업의 수행, 배우기, 일하기 등의 기능’을 뜻한다. ◉ 기능장애를 가진 것의 의미 (1) 주요 일상생활을 현저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고용인에 의해 그러한 제약을 가졌다고 취급되는 정신적 또는 신체적 기능장애를 가진 것 (2) 오직 기능장애에 대한 고용인의 태도의 결과로서 주요 활동을 제한하는 기능장애를 가진 ..
더보기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71. 자립생활서비스 유형
71. 자립생활서비스 유형 Ÿ 자립생활서비스는 장애인들이 자신의 가정이나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는데 필수적인 상품과 서비스가 포함된다. Ÿ 미국의 경우 자립생활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주요 서비스에는 동료상담, 활동보조서비스, 교통편의 제공, 자립생활기술훈련, 정보제공과 의뢰, 권익옹호, 주택서비스, 장비관리 수리 및 임대, 복지혜택에 대한 상담이 있다(장애인자립생활문제연구소, 1986; 김원경ㆍ정대영, 1994) 1. 자립생활 서비스의 기본사업 1) 동료상담 Ÿ 동료상담(Peer Counseling)은 자립생활을 경험한 동료장애인에 의하여 제공되는 상담으로 동료 역할 모델을 통해 자기신뢰(장애수용) 등을 목적으로 하며 장애로 인하여 파생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반 경험을 바탕으로 장애인이 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