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강 경제사상사와 학설사의 연구
강의요약
- 대부분의 경제사상사 강의는 경제학의 족보를 따져 나가는 과정, 즉 경제학의 계보 찾기. 흔히 애덤 스미스를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처럼 현대경제학은 애덤 스미스 경제사상의 자손들에 해당함. 따라서 경제학의 역사는 200년 남짓.
- 경제학의 정의(Definition of Economics)
경제학은 인간의 경제생활과 사회의 경제적 현상을 지배하는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 경제학(Economics)은 본래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이라고 불리웠음. 경제학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들이 나오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그러한 이론들의 보편성과 한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의 정의
“경제학(Political Economy)이란 인류(mankind)의 일상적 경제생활(ordinary business of life)을 다루는 학문”
- 사회과학의 여왕(Queen of the Social Sciences)
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은 경제학(Economics)을 사회과학의 여왕(the Queen of the Social Sciences)이라고 한 바 있다.
- 경제사상사의 정의(Definition of History of Economic Thought)
본 강의는 《경제사상사》와 《경제학사》가 통합된 《경제사상과 이론》이다.
경제사상은 다양한 경제문제를 보는 사람들의 의식의 산물이다.
사회와 인간,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보려는 철학, 그 철학 중에서도 경제문제를 중심으로 한 인간의 사유과정을 살피려는 철학이 경제사상이다.
경제사상은 사회사상이나 정치사상 등과 엄밀하게 분리된다고 할 수 없으며, 상호침투와 긴밀한 연관성을 맺고 있다.
- 경제사상사 연구의 방법론
핵심적 방법은 경제현실에 대한 냉정한 관찰이다.
경제사상은 경제현실의 반영이므로, 해당 시대의 사회경제구조를 명확히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이 경제사상 연구의 출발이 되어야 한다.
경제현실의 이해를 위해서는 경제현실의 변천사에 해당하는 경제사(economic history)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경제현실 정리 → 경제사 지식 → 경제사상 이해 → 경제이론 발전 → 경제정책 시행 → 경제현실 변화 : 이렇게 피드백(feedback)이 이루어지는 과정
- 서양 고대의 주요 경제사상가로는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던 크세노폰(Xenophon, 440-355 B.C.), 플라톤(Platon, 427-347 B.C.),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384-322 B.C.) 등이 있다.
- 중세의 경제사상은 신학(theology)에 기반한다. 대표적 조류가 스콜라 철학(Scholasticism)이다.
대표적 사상가는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55-74)이며, 그는 공정가격(just price)의 강제, 고리대(usury) 금지 등을 주장하였다.
경제사회학자 막스 베버(Max Weber)는 중세의 경제사상을 “천민자본주의(Pariakapitalismus)”라고 명명한 바 있다. 세익스피어의 희곡 <베니스의 상인>에 나오는 비극의 주인공인 샤일록(Shylock)처럼 하층 유태인이 대금업을 담당하였다.
'경제사상과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6. 존 스튜어트 밀의 경제학 (0) | 2023.01.18 |
---|---|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5. 맬서스의 경제사상과 이론 (0) | 2023.01.18 |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4. 리카도의 경제사상과 이론 (0) | 2023.01.17 |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3. 애덤 스미스의 경제사상과 이론 (0) | 2023.01.17 |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2. 근대 이전의 경제학 (0)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