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사상과 이론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6. 경제사상과 이론 기출문제, 예상문제 정리 16. 경제사상과 이론 기출문제, 예상문제 정리 주관식 연습문제와 해설 중상주의 시대의 경제사상과 흄(David Hume)의 비판에 대해 아는 대로 쓰라. 모범답안: 중상주의(mercantilism)란 15-18세기의 300여년에 걸쳐 자본주의 이행기에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 경제사조・이론・정책을 총괄적으로 표현한 개념으로서, 상업을 중시한 경제체제를 가리킨다. 15-18세기는 정치적으로는 “절대왕정기”에 해당한다. 국가권력은 상인자본가를 위해 관료제・금융・군사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국가권력 또한 그 과정에서 막대한 재정수입을 확충하여 중앙집권적 국가 체계를 강화하였다. 요컨대, 중상주의 시대를 지배한 주체는 국가권력(왕실, 관료)과 상인(상인자본)이었다. 중상주의 정책은 중금주의, 무역차액주.. 더보기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5. 제3세계 발전이론과 전후 마르크스주의 제15강 제3세계 발전이론과 전후 마르크스주의 강의요약 - 프랑크(Andre Gunder Frank, 1929-2005)의 종속이론 프랑크의 가설: 중심부(metropolis)는 발전하고 위성(satellites)은 저발전(underdeveloped)되는 경향이 있는 중심과 위성의 관계가 오늘날의 세계에 존재. 위성은 중심과의 유대가 가장 약해질 때 발전. 현재 봉건적이고 후진적으로 보이는 지역들은 사실 고립되어 있거나 전자본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세계적 중심부에 상당한 양의 자본과 1차산품을 제공해 줄 수 있음. 저발전 지역에서 라티푼디움 또는 대토지소유는 국가와 세계시장에 대응한 상업기업으로서 확립되었음. 일부 라티푼디움의 후진적, 봉건적 성격은 이 지역의 고립 때문이 아니라 세계적 중심부에 의해 방기.. 더보기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4. 신자유주의의 경제학 제14강 신자유주의의 경제학 강의요약 - 하이에크(F. A. Hayek, 1899-1992)의 생애 오스트리아 학파의 계보를 이음 1899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출생 빈 대학에서 법학박사, 정치학박사 197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 1992년, 사망 - 하이에크의 지적 이력 1기: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기순환론을 계승하면서 케인스 경제학과 대립하지만, 실패로 끝나 버리는 시기 2기: 시장을 자원배분 문제로 접근하는 신고전파 전통과는 달리 시장을 지식(정보)의 분업문제로 접근하는 그의 시장이론이 전개됨. 3기: 그의 자유주의사상이 진화적 질서론의 토대 위에 확립됨. - 하이에크의 주요 저작 󰡔자본의 순수이론󰡕(The Pure Theory of Capital, 1941) 󰡔예종에의 길󰡕(The Road to S.. 더보기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3. 신고전파 종합과 새뮤얼슨 제13강 신고전파 종합과 새뮤얼슨 강의요약 - 신고전파 종합의 경제이론 혼합경제의 타당성: 자유방임주의의 무용성과 혼합경제의 필요성 자유방임주의는 경제적으로 불안정을 낳는다 거대 과점기업의 존재를 인정: 반독점법은 가격체계 개선에 효율적 공공재의 존재를 강조 외부성의 존재를 강조 → 완전경쟁시장의 효율성이 발휘되기 어려운 상황을 지적 → 시장 실패를 보완하고자 정부가 선택적으로 개입 정부정책: 정부역할의 한계 정부는 시장 실패가 발생한 공공재, 외부성의 경우 외에는 미시적 정책에 개입하지 않음 완전고용, 경제성장 등 거시경제정책에 집중해야 함 신고전파 종합의 세계에서는 모든 변수가 작위적으로 변할 수 있음: 하지만 1970년에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했을 때에는 해결이 불가능했음 → 파산 선고 - 새뮤얼슨(.. 더보기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2. 케인스의 경제학 제12강 케인스의 경제학 강의요약 - 케인스의 이론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긍정적: 케인스의 이론은 경제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 것 부정적: 케인스의 이론은 새로운 것이라고는 전혀 없는 불완전한 시도에 불과 어떤 사상에 대한 현재적 의미의 해석은 그 사상 자체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전제로 해야 함 → 이론 고찰에 앞서 역사적 배경에 대한 논의가 필요 - 1930년대 이후의 거시경제학 한계혁명의 한계 → 케인즈 혁명 시대적 상황 ①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경제의 번영: 1920년대의 미국경제는 모든 자본주의경제에서 가장 발전하여 ‘20년대의 번영’ 또는 ‘영원의 번영’을 누렸음. ② 1929년 10월 증시 폭락(NYSE) → 세계대공황: 불황과 대규모 실업 ③ 시장의 실패(market failur.. 더보기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1. 슘페터의 경제학 제11강 슘페터의 경제학 강의요약 - 슘페터(Joseph Schumpeter, 1883-1950)의 생애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케인스와 더불어 20세기 경제학계의 쌍벽을 이루는 인물. 1883년 출생(케인스와 같은 해에,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에서 직물제조업자 아버지 밑에서 외아들로 태어남) 4세때 아버지가 죽고 10세때 어머니가 퇴역 장군과 재혼(그래서 슘페터는 최상급 학교를 다닐 수 있었음) 1901년, 빈(비엔나)대학 입학(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자에게 수학. 슘페터도 오스트리아학파 계통으로 분류) 체르노비츠, 그라즈대학에서 강의 1919년, 오스트리아 재무상 1920년, 민간은행장 1924년부터 독일 본 대학의 교수로 있다가 히틀러가 등장하자 1932년에 미국으로 이민.. 더보기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0. 제도학파 경제학 제10강 제도학파 경제학 강의요약 - 제도학파의 구분 구제도학파 : Veblen · Mitchell · Commons 신제도학파 : Galbraith · Myrdal · Colm 신제도주의 경제학 : Williamson(2009) · Coase(1991) · North(1993) ※ 괄호 안의 숫자는 노벨경제학상 수상 연도 - 헨리 조지(Henry George, 1839-1897)는 토지단일세를 주장했다. 『진보와 빈곤』(Progress and Poverty) 이라는 책에서 “빈곤의 원인은 경제가 성장하면서 희소한 자연자원인 토지에 대한 지대가 급격히 올라가서 임금으로 지불할 몫을 줄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면서, 지대를 전부 세금으로 흡수해 사실상 토지를 공동소유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 베블렌(Tho.. 더보기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9. 한계혁명과 신고전파 경제학의 형성(2) 제9강 한계혁명과 신고전파 경제학의 형성(2) 강의요약 - 비저(Friedrich von Wieser, 1851-1926)의 생애 1851, 빈 출생 1872, 빈대학 법학박사 하이델베르크, 라이프치히, 예나대학 등에서 경제학연구 1883, 빈대학 강사 프라하대학 조교수, 교수 1889, 『자연가치론』 1903, 빈대학 교수 (멩거의 후임) 상무장관 1914, 『사회경제학』 1922, 빈대학 퇴임 (명예교수) 1926, 사망 - 비저의 경제사상과 이론 한계효용가치론(Grenznutzen ← Grenze + Nutzen): 귀속가격의 후생경제학적 의미를 명확히하고, 선구적인 사회주의경제이론을 전개. 귀속(imputation): goods of higher order(가공을 거침)=고차재(생산요소), goo..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