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사상과 이론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6. 경제사상과 이론 기출문제, 예상문제 정리

728x90
반응형

16. 경제사상과 이론 기출문제, 예상문제 정리

주관식 연습문제와 해설

 

중상주의 시대의 경제사상과 흄(David Hume)의 비판에 대해 아는 대로 쓰라.

 

 

모범답안:

 

중상주의(mercantilism)15-18세기의 300여년에 걸쳐 자본주의 이행기에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 경제사조이론정책을 총괄적으로 표현한 개념으로서, 상업을 중시한 경제체제를 가리킨다. 15-18세기는 정치적으로는 절대왕정기에 해당한다. 국가권력은 상인자본가를 위해 관료제금융군사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국가권력 또한 그 과정에서 막대한 재정수입을 확충하여 중앙집권적 국가 체계를 강화하였다. 요컨대, 중상주의 시대를 지배한 주체는 국가권력(왕실, 관료)과 상인(상인자본)이었다.

중상주의 정책은 중금주의, 무역차액주의, 보호무역주의의 3단계로 전개되었다. 중상주의는 금(화폐)을 중시하였다. 국가의 정책기조가 부국강병이었는데, 국부의 척도는 귀금속 중심의 화폐 보유량이었다. , 국부=(gold)(silver)이었으며, 금과 은이 국가재정의 주요 수입(왕실수입)이 되었다. 중상주의의 1단계에 해당하는 중금주의에서 매 거래마다 흑자를 추구하였다. 이는 배가 한 번 나갔다 들어올 때마다 이익을 실현해야 했으며, 그 때마다 귀금속의 양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관점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후 100-200년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업이 더욱 발달하고, 상품의 종류가 증가하게 되었고, 따라서 중상주의의 2단계에 해당하는 무역차액주의에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일련의 총 거래에서 수출이 수입보다 많도록, 즉 흑자를 유지하도록 하면 되었다. 특정 거래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일정 기간의 무역수지가 흑자이면 된다는 생각에 해당한다. 보호무역주의는 국내의 유치산업(infant industry)을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중상주의의 3단계에는 국부의 원천이 상업(이윤)보다는 공업(산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에, 특정 산업의 생산력 증대를 위한 집중지원(특혜)이 이루어졌다.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은 중상주의를 비판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흄의 중상주의 비판은 화폐수량설(quantity theory of money)에 기반한다. 소위 피셔의 방정식(Fisher Equation)이라고 하는

를 상기하면, 단기적으로 QV는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에서와 같이 M의 증가는 P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통화량 물가). 흄의 비판 내용은 가격-정화 플로우 메커니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금본위제도 아래에서의 국제수지 조정은 화폐수량설에 기반한 가격-정화 플로우 메커니즘(price specie-flow mechanism)에 의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수출 증가 무역수지 흑자 금의 유입 통화량 증가 물가 상승 수입 증가 무역수지 적자 금의 유출 통화량 감소 물가 하락 수출 증가.

따라서 데이비드 흄은 금(gold)을 무한히 많이 가지려는 중상주의적 사고(e.g. 콜베리즘)가 내적 모순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였으며, 이는 목표와 수단의 불일치 가능성, 즉 중상주의의 딜레마(mercantilist dilemma)를 낳게 됨을 의미한다.

 

 

 

 

애덤 스미스(Adam Smith)의 경제사상과 이론에 대하여 아는 대로 쓰고, 그것이 현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예를 들어 설명하라.

 

 

모범답안:

 

우리가 흔히 󰡔국부론󰡕으로 약칭하는 스미스의 저서 제목은 본래 국부의 본질과 원인에 관한 연구(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1776)이다. 여기서 본질(Nature), 즉 국부의 본질은 중상주의에서와 같은 귀금속의 축적이 아니라 전인구의 생활 수준에 해당한다. 또한 원인(Causes)으로서 스미스는 궁극적으로 정부 정책을 적절히 줄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애덤 스미스는 이기심(이기적 관심)의 추구가 시장 체제를 작동시켜서 전반적인 번영을 증대시킨다고 주장하였다. 시장 체제가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에 의해 움직인다고 본 것이다.

애덤 스미스가 생각한 정부의 적당한기능으로는 국방(National defence), 소유권(Establish property rights), 사법치안(Establish legal system), 자유무역 증진(Promote free trade), 기반산업 투자(Invest in trade-promoting infra-structure) 등이 있다. 이는 자유방임 사상에 근거한(Laissez faire describes this policy orientation.) 최소정부론 또는 야경국가론에 해당한다.

애덤 스미스의 사상은 현대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밀턴 프리드먼이 그의 저서 자본주의와 자유(Capitalism and Freedom)에서 펼치는 견해는 애덤 스미스의 주장과 유사성을 보인다. 마치 애덤 스미스가 재림(再臨)한 것과 같아 보일 정도이다.

 

* 위의 내용에 더하여 스미스의 생산이론, 가치론 등을 추가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함.

 

 

애덤 스미스의 경제사상과 󰡔국부론󰡕에 대해 설명하라.

 

 

모범답안:

 

당시 유럽의 지배적인 경제사조는 중상주의였지만, 스미스는 그 중상주의 사상을 비판하였다. 스미스의 견해는 자연법 사상에 근거하였는데, 자연법 사상은 스코틀랜드(Scotland) 사회사상으로서, 스미스는 허치슨(Hutcheson)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또한 스미스는 중농주의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하였는데, 이는 스미스도 중농주의와 마찬가지로 자연법사상에 근거하여 자유방임을 제창하였음을 통해 알 수 있다.

󰡔국부론󰡕만큼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국부론󰡕보다 앞선 스미스의 대표 저작이 󰡔도덕감정론󰡕(Theory of Moral Sentiments, 1759)이다. 󰡔국부론󰡕의 분석은 특이한 전제로부터 시작하였다. 전작인 󰡔도덕감정론󰡕에서는 인간이 다른 인간에 대한 동감(‘sympathy’)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였지만, 󰡔국부론󰡕에서는 인간이 이기적(‘selfish’)이라고 가정하였다. 도덕주의자들은 흔히 이를 비판했지만, 애덤 스미스는 이 점이 사회적으로 유용하다고 주장했다.

 

* 위의 내용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단편적 서술들을 일부 추가할 수 있어야 함.

 

󰡔국부론󰡕에서는 국부의 원천이 연간노동(재화)이라고 설명한다.

 

󰡔국부론󰡕에서는 분업은 시장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또는 분업은 자본축적과 함께 진전한다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분업 발전의 환경적 조건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국부론󰡕의 핀 제조공장(매뉴팩처) 사례에서는, 분업을 하지 않는다면 1명의 노동자가 매일 20개의 핀을 생산하는 반면에 분업을 하게 되면 10명의 노동자가 매일 48,000개의 핀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하여, 생선성이 240배 향상됨을 보인 바 있다.

 

 

데이비드 리카도(David Ricardo)의 차액지대(differential rent)에 관하여 논하라.

 

 

모범답안:

 

지대(地代, rent)란 원초적으로 파괴될 수 없는 지력(地力)의 사용에 대해 지주에게 지불되는 토지생산물의 일정 부분을 가리킨다. 리카도에게 있어서 지대 발생의 이유는 경작되는 토지의 비옥도(肥沃度) 차이이다. , 지대의 크기는 우등지와 최열등지에서의 생산물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 리카도의 차액지대론(theory of differential rent)”이다.

차액지대(differential rent)는 비옥한 토지와 비옥하지 않은 토지 간의 생산성 차이를 가리킨다. 같은 비용을 투입할 경우, 비옥한 토지의 소출(A=100쿼터)은 당연히 비옥하지 않은 토지의 소출(B=90쿼터)보다 많을 것이다. 두 토지 간의 소출의 차이(A-B=차액지대=10쿼터)는 지주(地主)에게 지대로 납부될 것이다. 따라서 리카도는 지대를 비옥도가 서로 다른 토지들 간의 이윤율을 평활화하기 위해 지주에게 지불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리카도는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경작하기 어려운 열악한 땅이 경작될수록 지대는 커진다고 생각했다.

 

사회발전·인구증가 곡물의 수요증가 곡물의 가격등귀 열등지(劣等地) 경작 우등지지대(優等地地代差額地代) 발생 지대는 사회경제의 발전에 수반하여 생기는 불로소득

 

생산성이 더 낮은 토지까지 경작될 경우 생산성 격차는 더 벌어질 것이고, 결국 지대가 발생하는 원인은 농산물에 대한 수요와 가격의 증가이다. 반대로 지대가 올랐기 때문에 농산물 가격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리카도의 설명이다. , 지대는 가격을 결정하는 것(price-determining)이 아니라 가격에 의해 결정되는 것(price-determined)이다.

리카도는 곡물가격도 높고 지대도 높은 상황이라면, 높은 지대 때문에 곡물가격이 높은 것이 아니라, 높은 곡물가격 때문에 지대가 높게 결정된 것이라고 보았으며, 이는 맬서스나 스미스와는 정반대의 견해에 해당한다.

 

* 그래프나 그림을 그려서 설명하는 것도 좋은 방법임.

 

 

존 스튜어트 밀의 상호수요이론에 대하여 아는 대로 쓰라.

 

 

모범답안:

 

존 스튜어트 밀(J. S. Mill)의 국제무역이론에서는 리카도의 비교우위이론을 비판한다. 왜냐하면 리카도는 교역조건 결정시에 수요의 역할을 강조하지 않았으며, 교역조건이 수요와는 독립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반면에 J.S.밀은 국제교역조건은 국제적인 수요방정식에 의존한다라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상호수요이론(reciprocal demand)이라고 한다.

리카도가 확인한 비교생산비는 교역조건의 한계를 정할 뿐이고 교역조건 그 자체의 결정은 양국의 상호수요에 의존한다는 것이 밀의 주장이며, 이는 현대무역론의 원형을 이룬다. 또한 상품의 교환가치는 수요 또는 소비자들의 성향 및 사정과는 독립적으로 결정된다”(노동가치설, 생산비설)는 고전파경제학의 한계성을 분명히 하였다. 결국 밀의 국제무역이론에서, 교역조건은 양국에 의해 수입된 생산물의 수요에 의존한다.

밀은 무역을 해서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것을 최초로 말한 사람이며, 관세를 통해 무역의 억제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 오퍼 곡선을 활용하여 설명할 것을 권장함.

 

 

맬서스(Robert Malthus)의 인구이론에 대하여 아는 대로 쓰라.

 

 

모범답안:

 

맬서스 인구 이론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제와 한 가지 가정이 있다.

전제 1) 식량은 생존을 위해 필요하다

전제 2) 양성간의 정욕은 필요한 것이며 앞으로도 거의 현상대로 머무를 것이다

가정 1) 인간의 번식력은 인간을 위해 식량을 산출하는 토지의 힘보다 무한정하게 크다.

맬서스 인구이론의 가정은 인구는 기하급수적(1,2,4,8,)으로 증가하지만, 그 생계수단인 식량생산은 산술급수적(1,2,3,4,)으로 증가한다는 것으로서, 과잉인구는 빈곤과 악덕에 의해 제약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이 계속 생존하려면 인구의 증가를 억제하는 강력하고 영속적인 제거작용이 있어야 한다.

빈곤과 악덕은 한 가지 인구억제방법 또는 제거작용으로서 󰡔인구론󰡕 1판의 적극적 억제(positive check)’에 해당한다. 2판에서는 도덕적 억제=예방적 억제(preventive check)’가 추가되었는데, 결혼의 연기, 결혼생활 내에서의 금욕, 피임 등이다.

맬서스 모형에서 인구는 균형 상태에 이를 때까지 증가한다. 맬서스는 인구의 증가를 억제(check)하기 전까지는 인구가 무한정 증가할 것이라고 믿었다. 인구의 규모는 기술이나 자본 축적에 의해 결정되는 경제의 규모에 의존하므로, 맬서스의 견해에 따르면 더 크고 더 생산적인 경제가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 되는 산업혁명은 인구 폭발을 일으킨다.

소득은 인구 증가의 억제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데,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낮고,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높다.

맬서스 이론은 사회 개혁 시도를 부정할 근거로 활용되기도 하였는데, 구빈법(Poor Law)이나 혁명 등을 통해서 가난한 사람들의 소득을 올려 주고자 하는 시도를 하게 될 경우 사망률을 낮추고 출생률을 높이게 된다(예방적 억제의 경우). 그러면 소득 수준이 다시 균형점으로 회복하게 될 때까지 가난한 사람들의 숫자는 마구 늘어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가난한 사람들의 소득을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칼 마르크스(Karl Marx)의 경제이론 중 한 가지를 설명하라.

 

 

모범답안: “사적 유물론에 대한 모범 답안

 

마르크스는 인류사를 자연사적 과정으로 보지 않고, 자연사적 과정과는 다른 사회사적 과정으로 보았다. 아담 스미스가 이야기하듯이 자연적으로 주어진 인간(homo economicus)에 의해서 사회가 움직여 가는 것이 아니라, 생산에 있어서 맺어진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 의해 사회가 움직여 간다는 것이다. 이를 생산관계라 하고, 이것의 법률적 표현이 소유관계이며, 생산수단의 소유 유무로 보았을 때는 계급관계라 한다. , 마르크스에게 인간의 역사는 자연사적 과정이 아니라 생산수단을 둘러싸고 형성되는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이다. 생산관계, 소유관계, 계급관계 등에 의해서 인간의 생활은 이루어진다.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생산관계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생산관계는 항상 생산력과 조응관계에 있다. 생산력의 발전수준에 조응하는 생산관계가 항상 형성된다. (생산력은 항상 연속적으로 발전한다. 인류 역사상 몇 단계인가?) 생산력과 생산관계를 통일적으로 파악하는 양식으로서 마르크스는 생산양식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한 사회 속에는 하나의 생산양식만 있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두 개 내지 세 개의 생산양식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늘날의 사회는 도시의 경우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고, 농촌의 경우 비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다. 마르크스는 제생산양식(諸生産樣式)을 통괄해서 경제구조라 하였다. 이 경제구조가 인류 사회의 하부구조(=토대, base)이다. 상부구조(superstructure)는 법률적 제관계와 이데올로기적 제관계 등이다.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통일적으로 파악해서 경제적 사회구성체라 한다.

 

인류사는 경제적 사회구성체의 교대(交代) 과정. 계급사회에 관해서만 보면 다음과 같다.

1. 공납제 - 아시아적 생산양식

2. 고대노예제사회(그리스, 로마) - 노예제적 생산양식

3. 중세봉건제사회 - 봉건적 생산양식

4. 근대자본주의사회 - 자본제적 생산양식

 

인류사는 이러한 여러 생산양식의 교대과정이다. 이러한 생산양식이 어떻게 교대되는가? 그 저변에는 생산력의 끊임없는 발전이 있는데, 이에 비해 생산관계는 상대적으로 고정적이어서 생산력의 발전에 상응하여 따라 가지 못한다. 생산력과 생산관계가 조응관계에 서지 못할 때 혁명이 일어나고, 새로운 생산관계 및 사회구성체가 형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인류사는 계급 혁명의 역사이다. 마르크스는 인류(人類)의 전사(前史)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인간다운 인간의 역사가 없었음을 뜻한다. 아직도 제대로 이루어진 적은 없으며, 이 이후의 인간다운 역사가 바로 현대 사회주의·공산주의라는 것이다.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사상에서 나타나는 혁신성에 대하여 아는 대로 쓰라.

 

 

모범답안:

 

케인스는 마셜 사상의 혁신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한 바 있다.

 

제번스는 솥이 끓는 것을 보고 아이들처럼 소리를 질렀고, 마셜은 솥이 끓는 것을 보았으나 말없이 않아서 증기엔진을 만들었다.”

 

*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사례를 들어 서술할 것.

 

- 수요(wants)와 공급(activities)의 상대적 중요성: 제본스나 멩거처럼 수요측만 강조한 것이 아니라 고전파 경제학처럼 공급측을 강조

 

- 시간의 문제(The Problem with Time): 기간(Period) 구분

초단기(market period) : 아주 짧은 기간으로서 공급량이 결정되어 있음 공급이 완전 비탄력적.

단기(short run) : 공장 규모 등은 고정요소

장기(long run) : 공장의 규모도 가변요소

초장기(secular period=very long run) : 기술이나 인구가 변화. 세대간 가격의 이동을 분석.

 

- ‘가위의 양날’(The Marshallian Cross)

마셜은 한계효용의 원리와 한계생산비의 원리를 하나의 수요-공급법칙의 구성원리로 보았다. 마셜(Alfred Marshall)은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가격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이 일반적임을 알게 되었다.

수요공급의 원리를 '가위의 양날'에 비유: 가위의 위쪽날과 아래쪽날 중 어느 쪽이 종이를 끊느냐를 논쟁하는 것이 무의미하듯이, 수요측과 공급측 요인은 모두가 가격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

 

- 마샬의 수요’(Marshall on Demand):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가격 탄력성 계수(the coefficient of price elasticity), 가격 탄력적(price elastic), 가격 비탄력적(price inelastic),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 소득효과(income effect), 정상재(normal good), 열등재(하급재, inferior good), 기펜재(Giffen Goods), 소비자 잉여(Consumer’s surplus)

 

- 마샬의 공급’(Marshall on Supply): 내부경제(internal economies), 외부경제(external economies), 포락선(envelope curve), 규모수익체증(IRS), 규모수익불변(CRS), 규모수익체감(DRS)

 

- 마샬의 분배’(Marshall on Distribution)=한계생산성이론(한계생산력설) : “Marginal Productivity Theory”

수확체감의 법칙(principle of diminishing returns).

생산함수(production functions): 총생산(total product) 평균생산(average product) 한계생산(marginal product).

한계생산물의 가치(value of the marginal product; VMP).

노동의 가격(price of labor) = 노동의 한계생산물(marginal physical product of labor) × 생산물의 가격(price of output)

 

- 마셜의 지대이론 = 준지대(quasi-rent): 지대가 토지의 임대료라는 점에서 토지와 같이 고정성이 강한 내구자본설비의 임대료를 흔히 지대(rent)라고 부른다. 또한 이와 같은 내구적 설비의 증산·증설은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것의 필요성이 증대하였을 때 그것을 소유하는 사람은 일시적으로 독점자적인 이익을 얻게 된다. 이것을 마셜은 준지대라고 불렀다. 다시 말하면, 내구설비의 생산은 매우 장기간을 요하며 그 증가는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을 때는 그 설비의 소유자는 일시적이나마 독점이윤을 얻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일시적 독점이윤의 성질이 지대의 성질과 닮았다는 점에서 준지대라고 하는 것이다.

 

현실적인 측면에서 케인스의 이론이 가지는 의의에 대하여 설명하라.

 

 

모범답안:

 

현실적인 측면에서 케인스의 독특한 방법론에 주목할 수 있다. 케인스 이론은 현실적 기반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발전한 20세기 전반기를 배경으로 하여, 실질변수가 아닌 명목변수로 이자율이나 임금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출발점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고려였다. 장래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인간의 행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도출된 케인스의 3대 심리법칙은 국민소득이나 고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3가지 심리 법칙(psychological law)

소비 법칙: 소비성향(marginal prospensity to comsume; MPC)

투자 함수: 투자의 한계 효율(marginal efficiency of investment; MEI)

화폐 수요: 유동성 선호(liquidity preference)

 

이러한 측면으로 인해 케인스의 이론을 비논리적인 것으로 치부하기도 한다. 케인스 이론에는 논리적 비약이 있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현실작 측면이 케인스 이론의 정수(精髓)에 해당한다.

 

* 보다 넓은 차원에서 케인스 이론의 의의를 추가로 설명하되, 다음 네 가지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시장의 자동조절에 대한 신념을 폐기

시경제학 분야를 독립시킴

부정책의 타당성을 뒷받침

기적 문제보다 단기적 현상에 치중

밀턴 프리드먼의 경제이론과 󰡔자본주의와 자유󰡕에 대해 설명하라.

 

모범답안:

 

18-19세기 스미스류 자유주의는 20세기 국가간섭주의를 거쳐 신자유주의로 재탄생하게 된다. 따라서 밀턴 프리드먼의 저술인 자본주의와 자유은 마치 스미스의 재림(再臨)을 보는 듯하다.

밀턴 프리드먼은 피셔(I. Fisher)의 화폐수량설(MV=PT)을 발전시킨 신화폐수량설과 소비함수에 관한 실증 연구의 결과인 항상소득가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프리드먼에 따르면, 자유인에게 국가란 개인의 집합일 뿐이다. 자유인은 국가가 무엇을 해 주기를 바라지도 않으며, 국가를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한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자유인은 자유를 수호하기 위하여 정부를 수단으로 활용하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가 해야만 하는 일은 다음의 몇 가지로 한정된다.

준칙을 만들어 심판하는 것: 게임의 법칙(The Rules Of The Game)

준칙을 수정하는 방법의 마련

준칙의 해석에 대한 견해의 차이를 중재

자유시장이 할 수 없는 일’ : 기술적 독점이나 외부효과(external effect)

프리드먼은 화폐정책에 대한 규칙을 법정화할 것을 주장하였다. 화폐량의 일정한 증가율을 규정하고 통화당국으로 하여금 이 규정을 지키게 하는 규칙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또한 프리드먼은 사회를 위해서 정부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여러 가지 항목을 정하고, 이에 대한 지출 계획을 세우는 수준에서 재정정책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세금은 소득세의 누진율을 일정하게 정해 놓고 지출계획을 메꾸는 데 충분한 세입이 들어오도록 계획하면 된다고 보았다.

 

객관식 연습문제와 해설

 

 

1. 경제사상사를 학습하는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우물 안 개구리처럼 현대경제학 이론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기 위해서

경제현실과 경제학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경제학의 제국주의적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새로운 경제이론 개발을 위한 직관을 얻기 위해서

 

정답 :

해설 : 경제학의 응용분야가 광범위해지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담보할 뿐이다. 경제학 그 자체가 우월한 학문일 수는 없다.

 

 

2. 다음 중 중세의 경제사상과 무관한 것은?

공정가격

크세노폰

고리대 금지

스콜라 철학

 

정답 :

해설 : 크세노폰(Xenophon, 440-355 B.C.)은 소크라테스의 제자로서, 고대 그리스의 경제사상가이다.

 

 

3. 다음 중 주류경제학이 아닌 것은?

케임브리지학파

오스트리아학파

신오스트리아학파

제도학파

 

정답 :

해설 : 마르크스 경제학, 역사학파 경제학, 제도학파 경제학, 신제도주의 등은 비주류 경제학에 속한다.

 

 

 

4. 경제학의 정의(definition)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인간의 경제생활과 사회의 경제적 현상을 지배하는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

인류의 일상적 경제생활을 다루는 학문

생산, 소비, 분배 등의 경제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학문

가계를 효율적으로 경영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정답 :

해설 : “가계를 효율적으로 경영하는 기술은 경제학의 정의라기보다 어원(etymology)에 해당한다.

 

5. 경제학을 사회과학의 여왕이라고 표현한 경제학자는?

칼 마르크스(Karl Marx)

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애덤 스미스(Adam Smith)

 

정답 :

해설 : 폴 새뮤얼슨은 경제학(Economics)을 사회과학의 여왕(the Queen of the Social Sciences)이라고 한 바 있다. 이는 수학(Mathematics)이 과학의 여왕(the Queen of the Sciences)인 것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6. 미라보가 꼽은 세계 3대 발명이 아닌 것은?

종이의 발명

문자의 발명

경제표의 발명

화폐의 발명

 

정답 :

해설 : 케네의 친구이자 제자인 중농주의 경제학자 미라보(Mirabeau)는 문자의 발명, 화폐의 발명, 경제표(economic table)의 발명을 세계 3대 발명으로 꼽았다.

 

 

 

7. “토지는 부의 어머니요, 노동은 부의 아버지이다라고 한 사람은?

윌리엄 페티

빅토르 미라보

데이비드 흄

토마스 아퀴나스

 

정답 :

해설 : 윌리엄 페티는 가치 문제에 접근한 대표적 중상주의 학자로서,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노동가치설의 개념에 대하여 접근하였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8. 다음 중 케네(François Quesnay)의 대표 저작은?

① 󰡔고립국󰡕(Der isolierte Staat)

② 󰡔가정론󰡕(Oeconomicus)

③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

④ 󰡔경제표󰡕(Tableau Économique)

 

정답 :

해설 : 󰡔고립국󰡕은 튀넨(J. H. von Thünen), 󰡔가정론󰡕은 크세노폰(Xenophon), 󰡔국부론󰡕은 애덤 스미스(Adam Smith)의 저작이다.

 

9. 다음 중 중상주의 경제정책의 역사적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지금주의

보호무역

금본위제도

무역차액주의

 

정답 :

해설 : 중상주의 경제정책은 중금주의(지금주의)무역차액주의(화폐차액주의)보호무역주의의 순으로 발전하였다.

 

10. 다음 중 절대왕정과 관계 없는 것은?

재정기반

상비군

관료제

자유무역

 

 

 

정답 :

해설 : 절대왕정에서는 관료제와 상비군을 유지하기 위한 재정기반의 확보를 위해 보호무역 정책에 해당하는 중상주의를 추구하였다.

 

 

11. 다음 중 애덤 스미스에게 영향을 준 사상이 아닌 것은?

중상주의

중농주의

한계주의

자연법 사상

 

정답 :

해설 : 애덤 스미스는 고전파 경제학자이고, 한계주의는 신고전파경제학의 형성에 영향을 준 사상이다.

 

12. 다음은 어떤 책의 일부인가?

 

우리가 매일 식사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은 정육점주인과 양조장 주인, 그리고 빵집 주인의 자비심 때문이 아니라, 그들 자신의 이익을 위한 그들의 고려 때문이다. 우리는 그들의 자비심에 호소하지 않고 그들의 자애심에 호소하며, 그들에게 우리 자신의 필요를 말하지 않고 그들 자신에게 유리함을 말한다.”

 

① 󰡔정의론󰡕

② 󰡔국부론󰡕

③ 󰡔자본론󰡕

④ 󰡔연애론󰡕

 

정답 :

해설 : 애덤 스미스는 이기심(이기적 관심)의 추구가 시장 체제를 작동시켜서 전반적인 번영을 증대시킨다고 주장하였다. 󰡔정의론󰡕은 존 롤즈(John Rawls), 󰡔자본론󰡕은 칼 마르크스(Karl Marx), 󰡔연애론󰡕은 스탕달(Stendhal)의 저작이다.

 

 

13. 다음의 경제학자 중에서 영국 출신이 아닌 사람은?

스미스(A. Smith)

맬서스(T. Malthus)

제번스(W. S. Jevons)

하이에크(F. A. Hayek)

 

정답 :

해설 : 애덤 스미스는 스코틀랜드에서, 토머스 맬서스는 잉글랜드에서, 제번스도 잉글랜드(리버풀)에서 출생하였다. 하이에크는 오스트리아 출신이다.

 

14. 애덤 스미스가 규정한 어느 상품의 가격이 토지의 지대와 노동에 대한 임금과 자본의 이윤을 그것들의 자연율에 따라서 지불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주어지는것은?

균형가격

자연가격

유보가격

미래가격

 

정답 :

해설 : 시장가격(market price)이 수요공급에 따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가격으로서, 자연가격(natural price)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자연가격은 시장가격의 중심가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미시경제학에서의 장기균형가격(long-run equilibrium price)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5. 분업이 생산성을 높이는 이유가 아닌 것은?

절대 우위

숙련도 향상

기계 발명 가능성이 높아짐

작업 이동 시간 단축

 

정답 :

해설 : 분업이 생산성을 높이는 이유는 (1) 숙련도 향상, (2) 작업 이동 시간 단축, (3) 기계 발명 가능성의 증대, (4) 비교 우위 등이다.

 

 

 

16. 다음 중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가장 중요한 전제는 무엇인가?

인간은 이기적이다.

인간은 다른 인간에 대한 동감을 가지고 있다.

우주 만물은 하나님의 섭리 덕분에 잘 운행된다.

공공이익을 증진시키려는 의도가 사회를 발전시킨다.

 

정답 :

해설 :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인간은 이기적(selfish)이라고 가정하였다.

 

 

17.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표현은 몇 번 등장하는가?

1

2

3

4

 

정답 :

해설 : 다음 문구에서 단 한 번만 등장한다. “각 개인이 최선을 다해 자기 자본을 본국 노동의 유지에 사용하고 노동생산물이 최대의 가치를 갖도록 노동을 이끈다면, 각 개인은 필연적으로 사회의 연간수입이 가능한 한 최대의 가치를 갖도록 노력하는 것이 된다. 사실 그는, 일반적으로 말해서, 공공의 이익을 증진시키려고 의도하지도 않고, 공공의 이익을 그가 얼마나 촉진하는지도 모른다. 외국 노동보다 본국 노동의 유지를 선호하는 것은 오로지 자기 자신의 안전을 위해서고, 노동생산물이 최대의 가치를 갖도록 그 노동을 이끈 것은 오로지 자기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다. 이 경우 그는, 다른 많은 경우에서처럼,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려서 그가 전혀 의도하지 않았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그가 의도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해서 반드시 사회에 좋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가 자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흔히, 그 자신이 진실로 사회의 이익을 증진시키려고 의도하는 경우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그것을 증진시킨다. 나는 공공이익을 위해 사업한다고 떠드는 사람들이 좋은 일을 많이 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사실 상인들 사이에 이러한 허풍은 일반적인 것도 아니며, 그런 허풍을 떨지 않게 하는 데는 몇 마디 말이면 충분하다.

 

18. 리카도가 말한 비옥도가 서로 다른 토지들 간의 이윤율을 평활화하기 위해 지주에게 지불하는 것이란?

시간

생산비

지대

가격

 

정답 :

해설 : 다음 문구를 상기하라. “If, then, good land existed in quantity much more abundant than the production of food for an increasing population required, or if capital could be indefinitely employed without a diminished return on the old land, there could be no rise of rent; for rent invariably proceeds from the employment of an additional quantity of labour with a proportionally less return.

 

 

19. 다음 중 리카도의 경제이론이 아닌 것은?

차액지대론

과소소비론

비교우위론

이윤잔여설

 

정답 :

해설 : 과소소비론은 맬서스의 이론이다.

 

 

20. 리카도는 지대가 발생하는 이유를 어디에서 발견하였나?

내구적 자본설비의 보유

경작되는 토지의 위치 차이

경작되는 토지의 비옥도 차이

농산물의 생산비와 가격간의 차이

 

정답 :

해설 : 리카도의 차액지대는 비옥한 토지와 비옥하지 않은 토지 간의 생산성 차이를 가리킨다. 같은 비용을 투입할 경우, 비옥한 토지의 소출은 당연히 비옥하지 않은 토지의 소출보다 많을 것이다. 두 토지 간의 소출의 차이는 지주에게 지대로 납부될 것이며, 이것이 바로 차액지대에 해당한다.

 

 

 

21. 다음 중 리카도 경제이론에서의 지대(rent)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원초적으로 파괴될 수 없는 지력의 사용에 대해 지주에게 지불되는 토지생산물의 일정 부분

비옥한 토지와 비옥하지 않은 토지 간의 생산성 차이

사회경제의 발전에 수반하여 생기는 근로소득

비옥도가 서로 다른 토지들 간의 이윤율을 평활화하기 위해 지주에게 지불하는 것

 

정답 :

해설 : 리카도 이론에서의 지대는 근로소득이 아닌 불로소득에 해당한다.

 

 

22. 다음 중 리카도의 국제무역이론에 해당하는 것은?

보호무역주의

상호수요이론

비교우위론

절대우위론

 

정답 :

해설 : 보호무역주의는 중상주의, 상호수요이론은 J. S. , 절대우위론은 애덤 스미스의 국제무역이론이다.

 

 

23. 15-18세기에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 상업을 중시한 경제체제?

중상주의

중농주의

자유방임주의

절대주의

 

정답 :

해설 : 중상주의(重商主義)15-18세기의 300여년에 걸쳐 자본주의 이행기에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 경제사조이론정책을 총괄적으로 표현한 개념이다. 당시 사람들이 중상주의라고 스스로 지칭한 것은 아니며, 후대 학자들이 붙여준 명칭이다.

 

 

24. 다음 중 중상주의의 국제무역이론과 관계 없는 것은?

보호무역주의

무역차액주의

비교우위론

중금주의

 

정답 :

해설 : 비교우위론은 데이비드 리카도의 국제무역이론이다.

 

 

25. 다음 중 맬서스의 󰡔인구론󰡕 제목에 들어있지 않은 단어?

principle

population

wealth

occasions

 

정답 :

해설 : 맬서스의 󰡔인구론󰡕 제목은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or, a View of its Past and Present Effects on Human Happiness; with an Inquiry into our Prospects Respecting the Future Removal or Mitigation of the Evils which it Occasions이다.

 

 

26. 다음 중 맬서스의 일생과 관계 없는 것은?

직업이 목사였다.

리카도와 친구 사이였다.

장남이었다.

인구와 사회의 관계에 대해 파고든 가장 위대한 사회과학자였다.

 

정답 :

해설 : 맬서스는 대지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27. 맬서스 인구 이론의 전제나 가정이 아닌 것은?

식량은 생존을 위해 필요하다.

양성간의 정욕은 필요한 것이다.

인간의 번식력은 토지의 식량 산출 능력보다 훨씬 크다.

양성간의 정욕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다.

 

정답 :

해설 : 맬서스는 양성간의 정욕이 거의 현상대로 머무를 것이라고 전제하였다.

 

 

28. 맬서스의 인구이론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빈곤은 적극적 억제(positive check)이다.

만혼은 예방적 억제(preventive check)이다.

피임을 중시한 것은 신맬서스주의(Neo-Malthusianism)이다.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수준이 낮다.

 

정답 :

해설 :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낮고,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높다.

 

 

29. 도덕적 억제와 관계 없는 것은?

결혼의 연기

피임

결혼생활 내에서의 금욕

빈곤과 악덕

 

정답 :

해설 : 빈곤(가난), 질병, 악덕, 범죄, 전쟁 등은 적극적 억제, 만혼(晩婚), 금욕, 피임 등은 예방적 억제(도덕적 억제)에 해당한다.

 

 

30. 인구 증가의 억제 방식과 소득 간의 관계에 대한 해설로서 잘못된 것은?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 평균 소득 수준이 높다.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 소득이 감소하면 출생률이 떨어진다.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 인구의 증가는 사망률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 출생률의 감소는 인구압력을 경감한다.

 

정답 :

해설 :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낮다.

 

 

31. 다음 중 J. S. 밀과 관계 없는 것은?

심리적 경기변동론

② 󰡔여성의 종속󰡕

상호수요이론

예방적 억제

 

정답 :

해설 : 예방적 억제(preventive check)는 토머스 맬서스가 󰡔인구론󰡕 2판에서 도입한 개념이다.

 

 

32. 존 스튜어트 밀의 임금기금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밀은 노동자들의 임금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길이 산아제한 교육이라고 생각했다.

밀은 임금과 노동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관계를 밝혔다.

밀은 자신의 임금기금설을 철회하였다.

밀은 처음부터 노동자의 단결과 파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정답 :

해설 : 존 스튜어트 밀의 임금기금설은 처음에는 노동조합 활동의 억압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1869년 손톤(Thornton)의 저서에 대한 서평에서 임금기금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시인하였다.

 

 

33. 다음 중 J. S. 밀의 저작이 아닌 것은?

자서전(Autobiography)

여성의 종속(The Subjection of Women)

자유론(On Liberty)

부의 생산에 관한 소고(An Essay on the Production of Wealth)

 

정답 :

해설 : 󰡔부의 생산에 관한 소고󰡕는 로버트 토런스(Robert Torrens)1821년 저작이다.

 

 

34. 다음 중 상호수요이론에 대한 부적절한 해설은?

존 스튜어트 밀은 교역조건이 두 나라에 의해 수입된 생산물의 수요에 의존한다고 보았다.

존 스튜어트 밀은 수출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맬서스를 비판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관세를 통한 무역 억제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무역을 해서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것을 최초로 말한 사람이다.

 

정답 :

해설 : 존 스튜어트 밀은 관세를 통한 무역 억제가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35. 다음 중 오퍼곡선(offer curve)의 도출 과정에서 등장하지 않는 개념은?

사회무차별곡선(social indifference curve)

생산가능곡선(production possibility curve)

교역조건(terms of trade)

전반적 공급과잉(general oversupply)

 

정답 :

해설 : 전반적 공급과잉은 J. S. 밀의 심리적 경기변동론(psychological theory of business cycles)에서 등장하는 개념이다.

 

 

36. 마르크스 주의의 세 가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독일 철학

프랑스 사회주의

영국 경제학

자연법 사상

 

 

정답 :

해설 :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구성 요소는 독일의 철학(헤겔 변증법),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이다.

 

 

37. 다음 중 마르크스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① 「데미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의 자연철학의 차이점

② 󰡔자본론󰡕

③ 󰡔공산당선언󰡕

④ 󰡔도덕감정론󰡕

 

정답 :

해설 : 󰡔도덕감정론󰡕은 애덤 스미스의 저작이다.

 

 

38. 상품의 사용가치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질을 달리하는 노동을 가리키는 용어는?

구체적 유용노동

추상적 인간노동

필요노동

잉여노동

 

정답 :

해설 : 구체적 유용노동이란 면화로 면사를 만드는 방적노동’, 철광석으로 선철을 만드는 제철노동등 각 노동의 목적, 대상, 수단, 방법, 결과가 각 상품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것을 말하며, 상품의 사용가치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질(quality)을 달리하는 노동이다.

 

 

39. 다음 중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

헤겔의 변증법

영국의 고전파 정치경제학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

 

정답 :

해설 : 찰스 다윈의 진화론은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학에 영향을 미친 바 있다.

 

 

 

40. 다음 중 마르크스의 가치론에서 상품의 가치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불변자본

가변자본

잉여가치

교환가치

 

정답 :

해설 : 상품의 가치 = 불변자본 + 가변자본 + 잉여가치

 

 

41. 다음 중 잉여가치율(rate of surplus value)의 정의는?

잉여가치 ÷ (불변자본 + 가변자본)

잉여가치 ÷ 가변자본

잉여가치 ÷ 불변자본

잉여가치 ÷ 생산가격

 

정답 :

해설 : 잉여가치율은 자본가가 노동자를 착취하는 정도를 나타내므로 착취율이라고도 하며, 잉여가치를 가변자본으로 나눈 값에 해당한다.

 

 

42. 다음 중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기변동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불변자본

가변자본

고정자본

유동자본

 

정답 :

해설 :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에 나타나는 가치구성은 가변자본+잉여가치인 데 반해, 마르크스에 와서는 불변자본+가변자본+잉여가치로서 불변자본이 들어오기 때문에,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산업순환(産業循環), 즉 경기변동(business cycle)이 발생한다.

 

 

 

 

43. 다음 중 튀넨(J. H. von Thünen)과 관계 없는 것은?

① 󰡔고립국󰡕

정상임금은 필요생활비와 노동성과의 기하평균

묘비공식

교역체

 

정답 :

해설 : 교역체(trading body)는 제번스가 만든 개념이다.

 

 

44. 다음 중 한계혁명의 선구자가 아닌 사람은?

제닝스

쿠르노

고쎈

피구

 

정답 :

해설 : 한계혁명의 선구자(pioneers)로는 제닝스(Jennings), 듀피(Dupuit), 쿠르노(Cournot), 튀넨(von Thünen), 고쎈(Gossen) 등이 있다. 피구(Pigou)는 케임브리지학파에 해당한다.

 

 

45. 다음 중 한계혁명을 주도한 경제학자가 아닌 사람은?

제번스(W. S. Jevons)

멩거(C. Menger)

발라(M. E. L. Walras)

듀젠베리(J. Duesenberry)

 

정답 :

해설 : 한계혁명(marginal revolution)을 추진한 트리오(trio)는 제번스, 발라, 멩거이다.

 

 

46. 다음 중 발라(L. Walras)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① 󰡔순수경제학요론󰡕

② 󰡔사회경제학연구󰡕

③ 󰡔수리심리학󰡕

④ 󰡔응용경제학연구󰡕

 

정답 :

해설 : 󰡔수리심리학󰡕은 에지워스의 저작이다.

 

 

47. 파레토(V. Pareto)는 다음 중 누구의 후계자인가?

슘페터(J. A. Schumpeter)

케인스(J. M. Keynes)

발라(M. E. L. Walras)

멩거(C. Menger)

 

정답 :

해설 : 발라의 후계자는 파레토이며, 그 밖에 약간의 이탈리아인 학자를 포함하여 로잔학파라고 한다.

 

 

48. 다음 중 에서 멩거(C. Menger)와 관계 없는 것은?

① 󰡔국민경제학원리󰡕

황태자의 교사

③ 󰡔사회과학, 특히 경제학의 방법에 관한 연구󰡕

파리 광산 학교

 

정답 :

해설 : 파리 광산 학교(Ècole des Mines de Paris)는 발라(M. E. L. Walras)가 입학한 학교이다.

 

 

49. 다음 중에서 제번스(W. S. Jevons)와 관계 없는 것은?

효용의 최종도(final degree of utility)

교역체(trading body)

교환방정식(equation of exchange)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

 

정답 :

해설 : 유동성 함정은 케인스의 이론이다.

 

 

50. 다음 중 멩거의 경제사상과 이론을 계승한 학파는?

케임브리지학파

오스트리아학파

로잔학파

북구학파

 

정답 :

해설 : 멩거는 오스트리아학파의 시조이다.

 

 

51. 다음 중 오스트리아 학파와 관계 없는 사람은?

미첼(Wesley Clair Mitchell)

비저(Friedrich von Wieser)

멩거(Carl Menger)

뵘바베르크(Eugen von Böhm-Bawerk)

 

정답 :

해설 :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로는 멩거, 비저, 뵘바베르크 등이 있다. 미첼은 전미경제연구소(NBER) 소장을 역임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52. 뵘 바베르크의 시차설과 관계 없는 것은?

당장 곤란한 경우에 현재가 미래보다 중요해 보인다

사람들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뵘 바베르크는 이자의 근거를 시간 선호를 이용하여 설명했다

현재재의 가치가 미래재의 가치보다 더 큰 주관적 가치를 가진다

 

정답 :

해설 : 뵘 바베르크는 시간 선호가 발생하는 이유로서 사람들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들었다.

 

 

53. 다음 중 북구 학파와 관계 없는 사람은?

빅셀

비저

카셀

뮈르달

 

정답 :

해설 : 북구학파 경제학자로는 빅셀, 카셀, 뮈르달 등이 대표적이다. 비저는 오스트리아 학파에 속한다.

 

 

54. 다음 중 마셜(Alfred Marshall)과 관계 없는 것은?

준지대

기간 구분

자연가치론

가격탄력성

 

정답 :

해설 : 자연가치론(natural value)은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비저의 이론이다.

 

 

55. 다음 중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이론이 아닌 것은?

준지대

수요가격과 공급가격

소비자잉여

교역체

 

정답 :

해설 : 교역체는 제번스의 경제이론에 해당한다.

 

 

56. 다음 중 마셜(Alfred Marshall)과 관계 없는 것은?

다른 조건이 같다면

뜨거운 가슴, 냉철한 두뇌

솥이 끓는 것을 보고 아이들처럼 소리를 질렀다

가위의 양날

 

정답 :

해설 : 케인스(J. M. Keynes)Jevons saw the kettle boil and cried out with the delighted voice of child; Marshall too had seen the kettle boil and sat down silently to build an engine.라고 한 바 있다.

 

 

57. 다음 중 케임브리지학파의 별칭은?

새케인스학파

신고전학파

신자유주의

새고전학파

 

정답 :

해설 : 신고전학파(neo-classical)요즘에는 일반균형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현대경제학의 주류(mainstream)를 가리키지만, 본래는 마셜에서 시작하는 케임브리지학파의 별칭이었다.

 

 

58. 다음 중 베블렌(T. B. Veblen)의 대표 저작은?

유한계급론(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부의 분배(Distribution of Wealth)

시장과 위계(Markets and Hierarchies)

서구 세계의 성장(The Rise of the Western World)

 

정답 :

해설 : 󰡔부의 분배󰡕는 클라크(J. B. Clark), 󰡔시장과 위계󰡕는 윌리엄슨(O. Williamson), 󰡔서구 세계의 성장󰡕은 노스(D. North)의 저작이다.

 

 

59. 다음 중 베블렌(T. B. Veblen)과 관계 없는 것은?

테디 베어

토지단일세

과시적 소비

금전적 고용

 

정답 :

해설 : 토지단일세를 주장한 경제학자는 헨리 조지(Henry George)이다.

 

 

60. 다음 중 베블렌의 경제이론과 관계 없는 것은?

진화적 경제학

급진적인 개혁사상

제작본능과 낭비본능

과시적 소비

 

정답 :

해설 : 급진적인 개혁사상은 헨리 조지의 경제사상에 해당한다.

 

 

61. 다음 중 미첼(W. C. Mitchell)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① 󰡔유한계급론󰡕

② 󰡔그린백의 역사󰡕

③ 󰡔경기순환󰡕

④ 󰡔, 가격, 임금󰡕

 

정답 :

해설 : 󰡔유한계급론󰡕은 베블렌(T. B. Veblen)의 대표 저작이다.

 

 

62. 다음 중 전미경제연구소(NBER)의 설립자는?

갤브레이스(J. K. Galbraith)

코먼스(J. R. Commons)

미첼(W. C. Mitchell)

뮈르달(G. Myrdal)

 

정답 :

해설 : 전미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는 미첼에 의해 1920년에 설립되었다.

 

 

63. 다음 중 토지단일세를 주장한 급진적 경제학자는?

헨리 조지(Henry George)

올리버 윌리엄슨(Oliver Williamson)

로널드 코즈(Ronald Coase)

더글러스 노스(Douglass C. North)

 

정답 :

해설 : 헨리 조지는 극단적으로 지대를 전부 세금으로 흡수하고, 반대로 그 이외의 대상에 부과되는 세금은 모두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조지는 자신의 이름으로 세상에 알린 진보와 빈곤이라는 책에서 빈곤의 원인은 경제가 성장하면서 희소한 자연자원인 토지에 대한 지대가 급격히 올라가서 임금으로 지불할 몫을 줄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면서, 지대를 전부 세금으로 흡수해 사실상 토지를 공동소유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64. 다음 중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관계 없는 것은?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전통에 기반함

제한적 합리성을 강조

적정자본주의를 주장

시장이나 계약이 아닌 조직의 역할을 강조

 

정답 :

해설 : 적정자본주의를 주장한 경제학자는 제도학파에 속하는 코먼스(J. R. Commons)이다.

 

 

65 다음 중 신제도주의 경제학자가 아닌 사람은?

올리버 윌리엄슨

로널드 코즈

존 갤브레이스

더글러스 노스

 

정답 :

해설 : 존 갤브레이스는 신제도학파에 속한다.

 

 

66. 다음 중 슘페터의 대표 저작이 아닌 것은?

① 󰡔시장과 위계󰡕

② 󰡔경제발전의 이론󰡕

③ 󰡔경기순환론󰡕

④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정답 :

해설 : 󰡔시장과 위계󰡕는 윌리엄슨(O. Williamson)의 저작이다.

 

 

67. 다음 중 기술혁신에 대한 슘페터의 견해와 거리가 것은?

기술혁신을 통해 독과점 체제가 생기고 이러한 독점이윤이 또다시 기술혁신을 위한 자금이 되므로 독과점체제가 기술혁신에 유리하다

기술혁신은 단지 발명이나 공정혁신과 다르므로 시간이 걸린다

모든 기술혁신은 항상 다른 기술혁신을 유발한다

불황기가 오래 계속되면 기존 기업활동에 묶였던 인력 시설 등이 풀리므로 점차적으로 기술혁신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정답 :

해설 : 기술혁신 중에서 증기기관이나 내연기관과 같은 커다란 기술혁신이 다른 기술혁신을 유발하여 자본주의의 장기적인 호황을 가져오는 계기가 될 수도 있었지만, 모든 기술혁신이 그러한 것은 아니다.

 

 

 

68. 다음 중 슘페터(J. A. Schumpeter)와 관계 없는 개념은?

기술혁신(innovation)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고착효과(lock-in effect)

 

정답 :

해설 : 고착효과는 진화경제학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이다.

 

 

69. 다음 중 슘페터가 구분한 경기순환의 역사적 단계와 관계 없는 것은?

1787-1842년간 = 산업혁명기

1938-1945년간 = 완전한 자본주의의 시대

1898-1938년간 = 신중상주의 콘트라티에프

1843-1892년간 = 철도혁명의 시대

 

정답 :

해설 : 슘페터가 완전한 자본주의의 시대라고 평가한 기간은 1843-1892년간이다.

 

 

70. “최초의 주어진 시점의 정보에서 출발하여 관심을 가지는 변수의 매 시점의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는?

부분균형분석(partial equilibrium analysis)

시뮬레이션 기법(simulation technique)

귀납법(induction)

계량경제학(econometrics)

 

정답 :

해설 : 진화경제학의 시뮬레이션 기법에서는 장기적 결과를 추적하기 위해서 (t-1)기로부터 주어진 정보를 여건으로 하여 t기의 결과를 얻고, 다시 이 결과로부터 주어진 정보로 여건을 형성하여 (t+1)기의 결과를 낳는 과정을 반복하여 계산하는 것이 요구된다.

 

 

71. 다음 중 진화경제학의 이론적 연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진화생물학

게임이론

복잡계경제학

기술혁신

 

정답 :

해설 : 진화경제학의 이론적 연원으로는 진화생물학, 게임이론, 카오스이론(복잡계경제학) 등이 있다.

 

 

72. 20세기 초반 경제학의 전문화 추세와 관계 없는 것은?

계량경제학회

런던의 금융중심가(Lombard Street)

NBER

코울즈 위원회

 

정답 :

해설 : 1920년대 후반부터 제2차 세계대전 직후까지의 경제학은 미국을 중심으로 하여 전문화와 국제화가 진행되었다.

 

 

73. 다음 중 J. M. 케인스가 거쳤던 직업이 아닌 것은?

변호사

공무원

보험회사 회장

교수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경제학자이면서 공무원, 교수, 보험회사 회장 등의 직업을 거쳤으며, 미술 작품을 수집하고, 극장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74. 다음 중 J. M. 케인스 이론의 ‘3가지 심리 법칙무관한 것은?

한계소비성향

유동성 선호

투자의 한계효율

합리적 기대

 

정답 :

해설 : 합리적 기대는 시카고 대학의 루카스(Robert E. Lucas, Jr.)를 중심으로 창설된 새고전파의 경제이론이다.

 

 

75. 다음 중 J. M. 케인스의 생애와 관계 없는 것은?

평생 결혼을 하지 않고 독신으로 지냈음

아버지보다 일찍 사망하였음

인도에서 공무원 생활을 한 적이 있음

젊은 시절에는 동성애자였음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42세때 발레리나와 결혼했다.

 

 

76. 다음 중 J. M. 케인스의 경제사상 또는 경제이론과 관계 없는 것은?

화폐환상(money illusion)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

현시선호(revealed preference)

 

정답 :

해설 : 현시선호는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이론이다.

 

 

77. 케인스의 유효수요론에 관한 다음 설명중 잘못된 것은?

국민소득(national income)은 저량(stock)이다.

저축(saving)은 누출(leakage)로서 국민소득 순환을 감소시킨다.

케인스는 세이의 법칙을 부정하는 입장에 있었다.

현실에서 투자의 결정은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에 의해 지배된다.

 

정답 :

해설 : 국민소득은 유량(flow)이다.

 

 

78. 케인스의 3대 심리법칙이 아닌 것은?

소비성향

결국은 우리는 모두 죽는다.”

투자의 한계효율

유동성 선호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소비성향, 투자의 한계효율, 유동성 선호가 국민소득이나 고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보았으며, 이를 3대 심리법칙이라고 한다.

 

 

79. 다음 중 J. M. 케인스의 경제이론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아닌 것은?

거시경제학이 독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단기적인 문제보다 장기적인 문제를 중요시하였다.

정부정책의 타당성을 뒷받침하였다.

유효수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장기적 문제보다 단기적 현상에 치중하였다.

 

 

80. 다음 중 유동성 선호설에서 말하는 사람들이 화폐를 보유하려 하는 동기아닌 것은?

투기적 동기

계산적 동기

거래적 동기

예비적 동기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거래적 동기, 예비적 동기, 투기적 동기를 화폐 보유의 이유로 들고 있으며, 거래적 동기, 예비적 동기는 소득의 함수이고, 투기적 동기는 이자율의 함수이다.

 

 

 

81. 다음 중 새케인스학파와 거리가 것은?

상대소득가설

신용할당

조정실패

효율성임금가설

 

정답 :

해설 : 새게인스학파의 경제이론으로는 메뉴비용이론, 중첩가격 설정 모형, 효율성임금가설, 묵시적 계약이론, 내부자-외부자 이론, 신용할당, 복수균형과 조정실패 등이 있다. 상대소득가설은 듀젠베리(J. Duesenberry)의 경제이론이다.

 

 

82. 다음 중 폴 새뮤얼슨과 거리가 것은?

현시선호이론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

③ 󰡔경제학󰡕

메뉴비용

 

정답 :

해설 : 메뉴비용은 그레고리 맨큐(N. G. Mankiw)의 이론으로서 새케인스학파에 해당한다.

 

 

83.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새뮤얼슨(Paul Samuelson)은 언제 사망하였나?

2009

1999

1989

1979

 

정답 :

해설 : 새뮤얼슨은 20091213, 향년 94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84. 다음 중 폴 새뮤얼슨의 저작이 아닌 것은?

① 󰡔경제분석의 기초󰡕

② 󰡔경제학󰡕

③ 󰡔논문집󰡕

④ 󰡔이단의 경제학󰡕

 

정답 :

해설 : 󰡔이단의 경제학󰡕은 폴 새뮤얼슨에 대하여 비판한 여류 경제학자 로빈슨의 저작이다.

 

 

85. 다음 중 폴 새뮤얼슨의 󰡔경제학󰡕에 대한 적절한 설명은?

① 󰡔경제학󰡕은 새케인즈학파 경제이론을 중심으로 한다.

② 󰡔경제학󰡕의 번역은 극히 일부 국가에서만 이루어졌다.

③ 󰡔경제학󰡕에서 단순케인스모형의 45도 직선이 처음 사용되었다.

④ 󰡔경제학󰡕11판까지 출판되었다.

 

정답 :

해설 : 지금은 모든 경제학도에게 익숙한 단순케인스모형의 그림, 45도 직선과 그것을 가로지르는 총수요곡선으로 이루어진 그림은 1948년에 폴 새뮤얼슨의 󰡔경제학󰡕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86. 다음 중 새뮤얼슨이 쓴 경제학 교과서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것은?

1판부터 제11판까지 단독으로, 12판부터는 공저로 쓰여졌다.

이 교과서는 세계 각국에 널리 보급되었다.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도 이 교과서에 소개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 교과서의 제목은 󰡔경제학원리󰡕(Principles of Economics)이다.

 

정답 :

해설 : 새뮤얼슨이 저술한 초급 교과서는 경제학(Economics)이며, 1948년에 처음 출판되었다. 이 교과서는 케인스의 거시경제학과 마셜의 미시경제학을 결합한 바 있다.

 

 

87. 다음 중 하이에크(F. A. Hayek)의 저작이 아닌 것은?

① 󰡔자본의 순수이론󰡕(The Pure Theory of Capital)

② 󰡔자본주의와 자유󰡕(Capitalism and Freedom)

③ 󰡔노예의 길󰡕(The Road to Serfdom)

④ 󰡔, 입법 그리고 자유󰡕(Law, Legislation and Liberty)

 

정답 :

해설 : 󰡔자본주의와 자유󰡕는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의 저작이다.

 

 

88. 다음 중 하이에크(F. A. Hayek)의 저작은?

① 󰡔진보와 빈곤󰡕

② 󰡔자본주의와 자유󰡕

③ 󰡔노예의 길󰡕

④ 󰡔인구론󰡕

 

정답 :

해설 : 하이에크는 󰡔자본의 순수이론󰡕(The Pure Theory of Capital), 󰡔예종에의 길󰡕(The Road to Serfdom), 󰡔, 입법 그리고 자유󰡕(Law, Legislation and Liberty) 등을 저술하였다.

 

 

89. 다음 중 프리드먼(M. Friedman)과 관계 없는 것은?

1976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성격이 낙천적이었다.

복지국가 사상이 세력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어빙 피셔의 화폐수량설을 발전시켰다.

 

정답 :

해설 : 프리드먼의 경제이론은 신자유주의에 해당한다.

 

 

90. 다음 중 밀턴 프리드먼의 경제사상과 무관한 것은?

신자유주의

신화폐수량설

생애주기가설

항상소득가설

 

정답 :

해설 : 생애주기가설(life-cycle hypothesis)은 모딜리아니(F. Modigliani), 브룬버그(R. Brumberg), 앤도(A. Ando)에 의하여 제기된 소비함수에 대한 가설이다.

 

 

91. 프리드먼(M. Friedman)의 경제사상과 관계 없는 것은?

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

“There is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

국가적 혁신 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

게임의 준칙(The rules of the game)

 

정답 :

해설 : 국가적 혁신 체제는 신슘페터주의 기술경제학의 연구 대상이다.

 

 

92. 다음 중 합리적 기대”(rational expectation)와 가장 거리가 것은?

루카스비판(Lucas critique)

적응적 기대(adaptive expectation)

새고전파 거시경제학(new classical macroeconomics)

정책무력성(policy ineffectiveness)

 

정답 :

해설 : 적응적 기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대안으로 대두된 가설이 합리적 기대이다.

 

 

93. 다음 설명은 무엇을 지칭하는가?

 

통화정책이 빈발할수록 통화정책에 대한 효과가 없어지고 인플레이션이라는 해악만 생긴다. 과거의 관행이나 통계에 기초해 고안한 정책은 쓸모가 없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경험을 통해 특정한 정책에 대한 판단과 행동을 달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루카스비판(Lucas critique)

적응적 기대(adaptive expectation)

새고전파 거시경제학(new classical macroeconomics)

정책무력성(policy ineffectiveness)

 

정답 :

해설 : 대부분의 경제정책은 과거의 계량분석을 통해 수립되기 때문에 루카스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루카스는 정책의 영향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보다 근본적인 경제변수를 바탕으로 경제를 분석할 것을 권한다. 이 제안은 그 후 실물경기(Real Business Cycle) 분석학파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94. 다음 중 새고전파 거시경제학자가 아닌 사람은?

토머스 사전트

로버트 루카스

그레고리 맨큐

에드워드 프레스콧

 

정답 :

해설 : 그레고리 맨큐는 새케인스학파 경제학자이다.

 

 

95. 다음 중 뮈르달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① 󰡔아프리카의 드라마󰡕

② 「경제적 변화과정 중의 가격결정문제

③ 󰡔경제이론과 저개발지역󰡕

④ 󰡔풍요에의 도전󰡕

 

정답 :

해설 : 뮈르달의 저작으로는 󰡔경제이론과 저개발지역󰡕(Economic Theory and Underdeveloped Regions), 󰡔풍요에의 도전󰡕(Challenge to Affluence), 󰡔아시아의 드라마󰡕(Asian Drama) 등이 있다.

 

 

96. 다음 중 근대화론을 비판하고 종속이론을 주장한 대표적 경제학자는?

프랑크(A. G. Frank)

왈러스타인(I. Wallerstein)

로스토(W. W. Rostow)

뮈르달(K. G. Myrdal)

 

정답 :

해설 : 대표적인 종속이론가로는 프랑크(A. G. Frank)와 아민(S. Amin)이 있다.

 

 

97. 다음 중 프랑크(A. G. Frank)가 주장하였던 이론은?

종속이론(dependency theory)

근대화론(modernization theory)

조절이론(regulation theory)

게임이론(game theory)

 

정답 :

해설 : 프랑크(A. G. Frank)는 대표적인 종속이론가이다.

 

 

98. 다음 설명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미숙련 노동자를 투입하여 표준화된 제품을 생산했던 예전의 경직된 대량 생산 라인에서 벗어나, 시장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범용 기계와 숙련 노동자들로 구성되는 혁신적인 생산 체제

 

테일러주의(Taylorism)

포스트 포드주의(Post-Fordism)

스탈린주의(Stalinism)

도요타주의(Toyotism)

 

정답 :

해설 : 포스트 포드주의는 분업을 최소화시켜 직무를 수평적·수직적으로 통합하고, 권위주의적인 수직적 의사 결정 구조를 수평적으로 전환하며, 노동자들에게는 직무에 대한 폭넓은 자율권을 보장하는 등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보다 인간적인 작업 환경을 마련하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99. 다음 중 마르크스 이후의 대표적 마르스크경제학자가 아닌 사람은?

루돌프 힐퍼딩

로자 룩셈부르크

블라디미르 레닌

구스타프 카셀

 

정답 :

해설 : 구스타프 카셀은 북구학파 경제학자이다.

 

 

100. 다음 중에서 20세기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힐퍼딩의 󰡔금융자본론󰡕

마르크스의 󰡔자본론󰡕

레닌의 󰡔제국주의론󰡕

룩셈부르크의 󰡔자본축적론󰡕

 

정답 :

해설 : 󰡔금융자본론󰡕1910년에, 󰡔자본축적론󰡕1913년에, 󰡔제국주의론󰡕1917년에 출판되었다. 󰡔자본론󰡕19세기의 저작물이다. 

중상주의 시대의 경제사상과 흄(David Hume)의 비판에 대해 아는 대로 쓰라.

 

 

모범답안:

 

중상주의(mercantilism)15-18세기의 300여년에 걸쳐 자본주의 이행기에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 경제사조이론정책을 총괄적으로 표현한 개념으로서, 상업을 중시한 경제체제를 가리킨다. 15-18세기는 정치적으로는 절대왕정기에 해당한다. 국가권력은 상인자본가를 위해 관료제금융군사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국가권력 또한 그 과정에서 막대한 재정수입을 확충하여 중앙집권적 국가 체계를 강화하였다. 요컨대, 중상주의 시대를 지배한 주체는 국가권력(왕실, 관료)과 상인(상인자본)이었다.

중상주의 정책은 중금주의, 무역차액주의, 보호무역주의의 3단계로 전개되었다. 중상주의는 금(화폐)을 중시하였다. 국가의 정책기조가 부국강병이었는데, 국부의 척도는 귀금속 중심의 화폐 보유량이었다. , 국부=(gold)(silver)이었으며, 금과 은이 국가재정의 주요 수입(왕실수입)이 되었다. 중상주의의 1단계에 해당하는 중금주의에서 매 거래마다 흑자를 추구하였다. 이는 배가 한 번 나갔다 들어올 때마다 이익을 실현해야 했으며, 그 때마다 귀금속의 양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관점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후 100-200년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업이 더욱 발달하고, 상품의 종류가 증가하게 되었고, 따라서 중상주의의 2단계에 해당하는 무역차액주의에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일련의 총 거래에서 수출이 수입보다 많도록, 즉 흑자를 유지하도록 하면 되었다. 특정 거래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일정 기간의 무역수지가 흑자이면 된다는 생각에 해당한다. 보호무역주의는 국내의 유치산업(infant industry)을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중상주의의 3단계에는 국부의 원천이 상업(이윤)보다는 공업(산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에, 특정 산업의 생산력 증대를 위한 집중지원(특혜)이 이루어졌다.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은 중상주의를 비판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흄의 중상주의 비판은 화폐수량설(quantity theory of money)에 기반한다. 소위 피셔의 방정식(Fisher Equation)이라고 하는

를 상기하면, 단기적으로 QV는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에서와 같이 M의 증가는 P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통화량 물가). 흄의 비판 내용은 가격-정화 플로우 메커니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금본위제도 아래에서의 국제수지 조정은 화폐수량설에 기반한 가격-정화 플로우 메커니즘(price specie-flow mechanism)에 의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수출 증가 무역수지 흑자 금의 유입 통화량 증가 물가 상승 수입 증가 무역수지 적자 금의 유출 통화량 감소 물가 하락 수출 증가.

따라서 데이비드 흄은 금(gold)을 무한히 많이 가지려는 중상주의적 사고(e.g. 콜베리즘)가 내적 모순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였으며, 이는 목표와 수단의 불일치 가능성, 즉 중상주의의 딜레마(mercantilist dilemma)를 낳게 됨을 의미한다.

 

 

 

 

애덤 스미스(Adam Smith)의 경제사상과 이론에 대하여 아는 대로 쓰고, 그것이 현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예를 들어 설명하라.

 

 

모범답안:

 

우리가 흔히 󰡔국부론󰡕으로 약칭하는 스미스의 저서 제목은 본래 국부의 본질과 원인에 관한 연구(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1776)이다. 여기서 본질(Nature), 즉 국부의 본질은 중상주의에서와 같은 귀금속의 축적이 아니라 전인구의 생활 수준에 해당한다. 또한 원인(Causes)으로서 스미스는 궁극적으로 정부 정책을 적절히 줄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애덤 스미스는 이기심(이기적 관심)의 추구가 시장 체제를 작동시켜서 전반적인 번영을 증대시킨다고 주장하였다. 시장 체제가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에 의해 움직인다고 본 것이다.

애덤 스미스가 생각한 정부의 적당한기능으로는 국방(National defence), 소유권(Establish property rights), 사법치안(Establish legal system), 자유무역 증진(Promote free trade), 기반산업 투자(Invest in trade-promoting infra-structure) 등이 있다. 이는 자유방임 사상에 근거한(Laissez faire describes this policy orientation.) 최소정부론 또는 야경국가론에 해당한다.

애덤 스미스의 사상은 현대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밀턴 프리드먼이 그의 저서 자본주의와 자유(Capitalism and Freedom)에서 펼치는 견해는 애덤 스미스의 주장과 유사성을 보인다. 마치 애덤 스미스가 재림(再臨)한 것과 같아 보일 정도이다.

 

* 위의 내용에 더하여 스미스의 생산이론, 가치론 등을 추가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함.

 

 

애덤 스미스의 경제사상과 󰡔국부론󰡕에 대해 설명하라.

 

 

모범답안:

 

당시 유럽의 지배적인 경제사조는 중상주의였지만, 스미스는 그 중상주의 사상을 비판하였다. 스미스의 견해는 자연법 사상에 근거하였는데, 자연법 사상은 스코틀랜드(Scotland) 사회사상으로서, 스미스는 허치슨(Hutcheson)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또한 스미스는 중농주의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하였는데, 이는 스미스도 중농주의와 마찬가지로 자연법사상에 근거하여 자유방임을 제창하였음을 통해 알 수 있다.

󰡔국부론󰡕만큼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국부론󰡕보다 앞선 스미스의 대표 저작이 󰡔도덕감정론󰡕(Theory of Moral Sentiments, 1759)이다. 󰡔국부론󰡕의 분석은 특이한 전제로부터 시작하였다. 전작인 󰡔도덕감정론󰡕에서는 인간이 다른 인간에 대한 동감(‘sympathy’)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였지만, 󰡔국부론󰡕에서는 인간이 이기적(‘selfish’)이라고 가정하였다. 도덕주의자들은 흔히 이를 비판했지만, 애덤 스미스는 이 점이 사회적으로 유용하다고 주장했다.

 

* 위의 내용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단편적 서술들을 일부 추가할 수 있어야 함.

 

󰡔국부론󰡕에서는 국부의 원천이 연간노동(재화)이라고 설명한다.

 

󰡔국부론󰡕에서는 분업은 시장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또는 분업은 자본축적과 함께 진전한다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분업 발전의 환경적 조건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국부론󰡕의 핀 제조공장(매뉴팩처) 사례에서는, 분업을 하지 않는다면 1명의 노동자가 매일 20개의 핀을 생산하는 반면에 분업을 하게 되면 10명의 노동자가 매일 48,000개의 핀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하여, 생선성이 240배 향상됨을 보인 바 있다.

 

 

데이비드 리카도(David Ricardo)의 차액지대(differential rent)에 관하여 논하라.

 

 

모범답안:

 

지대(地代, rent)란 원초적으로 파괴될 수 없는 지력(地力)의 사용에 대해 지주에게 지불되는 토지생산물의 일정 부분을 가리킨다. 리카도에게 있어서 지대 발생의 이유는 경작되는 토지의 비옥도(肥沃度) 차이이다. , 지대의 크기는 우등지와 최열등지에서의 생산물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 리카도의 차액지대론(theory of differential rent)”이다.

차액지대(differential rent)는 비옥한 토지와 비옥하지 않은 토지 간의 생산성 차이를 가리킨다. 같은 비용을 투입할 경우, 비옥한 토지의 소출(A=100쿼터)은 당연히 비옥하지 않은 토지의 소출(B=90쿼터)보다 많을 것이다. 두 토지 간의 소출의 차이(A-B=차액지대=10쿼터)는 지주(地主)에게 지대로 납부될 것이다. 따라서 리카도는 지대를 비옥도가 서로 다른 토지들 간의 이윤율을 평활화하기 위해 지주에게 지불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리카도는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경작하기 어려운 열악한 땅이 경작될수록 지대는 커진다고 생각했다.

 

사회발전·인구증가 곡물의 수요증가 곡물의 가격등귀 열등지(劣等地) 경작 우등지지대(優等地地代差額地代) 발생 지대는 사회경제의 발전에 수반하여 생기는 불로소득

 

생산성이 더 낮은 토지까지 경작될 경우 생산성 격차는 더 벌어질 것이고, 결국 지대가 발생하는 원인은 농산물에 대한 수요와 가격의 증가이다. 반대로 지대가 올랐기 때문에 농산물 가격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리카도의 설명이다. , 지대는 가격을 결정하는 것(price-determining)이 아니라 가격에 의해 결정되는 것(price-determined)이다.

리카도는 곡물가격도 높고 지대도 높은 상황이라면, 높은 지대 때문에 곡물가격이 높은 것이 아니라, 높은 곡물가격 때문에 지대가 높게 결정된 것이라고 보았으며, 이는 맬서스나 스미스와는 정반대의 견해에 해당한다.

 

* 그래프나 그림을 그려서 설명하는 것도 좋은 방법임.

 

 

존 스튜어트 밀의 상호수요이론에 대하여 아는 대로 쓰라.

 

 

모범답안:

 

존 스튜어트 밀(J. S. Mill)의 국제무역이론에서는 리카도의 비교우위이론을 비판한다. 왜냐하면 리카도는 교역조건 결정시에 수요의 역할을 강조하지 않았으며, 교역조건이 수요와는 독립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반면에 J.S.밀은 국제교역조건은 국제적인 수요방정식에 의존한다라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상호수요이론(reciprocal demand)이라고 한다.

리카도가 확인한 비교생산비는 교역조건의 한계를 정할 뿐이고 교역조건 그 자체의 결정은 양국의 상호수요에 의존한다는 것이 밀의 주장이며, 이는 현대무역론의 원형을 이룬다. 또한 상품의 교환가치는 수요 또는 소비자들의 성향 및 사정과는 독립적으로 결정된다”(노동가치설, 생산비설)는 고전파경제학의 한계성을 분명히 하였다. 결국 밀의 국제무역이론에서, 교역조건은 양국에 의해 수입된 생산물의 수요에 의존한다.

밀은 무역을 해서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것을 최초로 말한 사람이며, 관세를 통해 무역의 억제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 오퍼 곡선을 활용하여 설명할 것을 권장함.

 

 

맬서스(Robert Malthus)의 인구이론에 대하여 아는 대로 쓰라.

 

 

모범답안:

 

맬서스 인구 이론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제와 한 가지 가정이 있다.

전제 1) 식량은 생존을 위해 필요하다

전제 2) 양성간의 정욕은 필요한 것이며 앞으로도 거의 현상대로 머무를 것이다

가정 1) 인간의 번식력은 인간을 위해 식량을 산출하는 토지의 힘보다 무한정하게 크다.

맬서스 인구이론의 가정은 인구는 기하급수적(1,2,4,8,)으로 증가하지만, 그 생계수단인 식량생산은 산술급수적(1,2,3,4,)으로 증가한다는 것으로서, 과잉인구는 빈곤과 악덕에 의해 제약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이 계속 생존하려면 인구의 증가를 억제하는 강력하고 영속적인 제거작용이 있어야 한다.

빈곤과 악덕은 한 가지 인구억제방법 또는 제거작용으로서 󰡔인구론󰡕 1판의 적극적 억제(positive check)’에 해당한다. 2판에서는 도덕적 억제=예방적 억제(preventive check)’가 추가되었는데, 결혼의 연기, 결혼생활 내에서의 금욕, 피임 등이다.

맬서스 모형에서 인구는 균형 상태에 이를 때까지 증가한다. 맬서스는 인구의 증가를 억제(check)하기 전까지는 인구가 무한정 증가할 것이라고 믿었다. 인구의 규모는 기술이나 자본 축적에 의해 결정되는 경제의 규모에 의존하므로, 맬서스의 견해에 따르면 더 크고 더 생산적인 경제가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 되는 산업혁명은 인구 폭발을 일으킨다.

소득은 인구 증가의 억제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데,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낮고,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높다.

맬서스 이론은 사회 개혁 시도를 부정할 근거로 활용되기도 하였는데, 구빈법(Poor Law)이나 혁명 등을 통해서 가난한 사람들의 소득을 올려 주고자 하는 시도를 하게 될 경우 사망률을 낮추고 출생률을 높이게 된다(예방적 억제의 경우). 그러면 소득 수준이 다시 균형점으로 회복하게 될 때까지 가난한 사람들의 숫자는 마구 늘어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가난한 사람들의 소득을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칼 마르크스(Karl Marx)의 경제이론 중 한 가지를 설명하라.

 

 

모범답안: “사적 유물론에 대한 모범 답안

 

마르크스는 인류사를 자연사적 과정으로 보지 않고, 자연사적 과정과는 다른 사회사적 과정으로 보았다. 아담 스미스가 이야기하듯이 자연적으로 주어진 인간(homo economicus)에 의해서 사회가 움직여 가는 것이 아니라, 생산에 있어서 맺어진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 의해 사회가 움직여 간다는 것이다. 이를 생산관계라 하고, 이것의 법률적 표현이 소유관계이며, 생산수단의 소유 유무로 보았을 때는 계급관계라 한다. , 마르크스에게 인간의 역사는 자연사적 과정이 아니라 생산수단을 둘러싸고 형성되는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이다. 생산관계, 소유관계, 계급관계 등에 의해서 인간의 생활은 이루어진다.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생산관계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생산관계는 항상 생산력과 조응관계에 있다. 생산력의 발전수준에 조응하는 생산관계가 항상 형성된다. (생산력은 항상 연속적으로 발전한다. 인류 역사상 몇 단계인가?) 생산력과 생산관계를 통일적으로 파악하는 양식으로서 마르크스는 생산양식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한 사회 속에는 하나의 생산양식만 있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두 개 내지 세 개의 생산양식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늘날의 사회는 도시의 경우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고, 농촌의 경우 비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다. 마르크스는 제생산양식(諸生産樣式)을 통괄해서 경제구조라 하였다. 이 경제구조가 인류 사회의 하부구조(=토대, base)이다. 상부구조(superstructure)는 법률적 제관계와 이데올로기적 제관계 등이다.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통일적으로 파악해서 경제적 사회구성체라 한다.

 

인류사는 경제적 사회구성체의 교대(交代) 과정. 계급사회에 관해서만 보면 다음과 같다.

1. 공납제 - 아시아적 생산양식

2. 고대노예제사회(그리스, 로마) - 노예제적 생산양식

3. 중세봉건제사회 - 봉건적 생산양식

4. 근대자본주의사회 - 자본제적 생산양식

 

인류사는 이러한 여러 생산양식의 교대과정이다. 이러한 생산양식이 어떻게 교대되는가? 그 저변에는 생산력의 끊임없는 발전이 있는데, 이에 비해 생산관계는 상대적으로 고정적이어서 생산력의 발전에 상응하여 따라 가지 못한다. 생산력과 생산관계가 조응관계에 서지 못할 때 혁명이 일어나고, 새로운 생산관계 및 사회구성체가 형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인류사는 계급 혁명의 역사이다. 마르크스는 인류(人類)의 전사(前史)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인간다운 인간의 역사가 없었음을 뜻한다. 아직도 제대로 이루어진 적은 없으며, 이 이후의 인간다운 역사가 바로 현대 사회주의·공산주의라는 것이다.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사상에서 나타나는 혁신성에 대하여 아는 대로 쓰라.

 

 

모범답안:

 

케인스는 마셜 사상의 혁신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한 바 있다.

 

제번스는 솥이 끓는 것을 보고 아이들처럼 소리를 질렀고, 마셜은 솥이 끓는 것을 보았으나 말없이 않아서 증기엔진을 만들었다.”

 

*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사례를 들어 서술할 것.

 

- 수요(wants)와 공급(activities)의 상대적 중요성: 제본스나 멩거처럼 수요측만 강조한 것이 아니라 고전파 경제학처럼 공급측을 강조

 

- 시간의 문제(The Problem with Time): 기간(Period) 구분

초단기(market period) : 아주 짧은 기간으로서 공급량이 결정되어 있음 공급이 완전 비탄력적.

단기(short run) : 공장 규모 등은 고정요소

장기(long run) : 공장의 규모도 가변요소

초장기(secular period=very long run) : 기술이나 인구가 변화. 세대간 가격의 이동을 분석.

 

- ‘가위의 양날’(The Marshallian Cross)

마셜은 한계효용의 원리와 한계생산비의 원리를 하나의 수요-공급법칙의 구성원리로 보았다. 마셜(Alfred Marshall)은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가격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이 일반적임을 알게 되었다.

수요공급의 원리를 '가위의 양날'에 비유: 가위의 위쪽날과 아래쪽날 중 어느 쪽이 종이를 끊느냐를 논쟁하는 것이 무의미하듯이, 수요측과 공급측 요인은 모두가 가격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

 

- 마샬의 수요’(Marshall on Demand):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가격 탄력성 계수(the coefficient of price elasticity), 가격 탄력적(price elastic), 가격 비탄력적(price inelastic),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 소득효과(income effect), 정상재(normal good), 열등재(하급재, inferior good), 기펜재(Giffen Goods), 소비자 잉여(Consumer’s surplus)

 

- 마샬의 공급’(Marshall on Supply): 내부경제(internal economies), 외부경제(external economies), 포락선(envelope curve), 규모수익체증(IRS), 규모수익불변(CRS), 규모수익체감(DRS)

 

- 마샬의 분배’(Marshall on Distribution)=한계생산성이론(한계생산력설) : “Marginal Productivity Theory”

수확체감의 법칙(principle of diminishing returns).

생산함수(production functions): 총생산(total product) 평균생산(average product) 한계생산(marginal product).

한계생산물의 가치(value of the marginal product; VMP).

노동의 가격(price of labor) = 노동의 한계생산물(marginal physical product of labor) × 생산물의 가격(price of output)

 

- 마셜의 지대이론 = 준지대(quasi-rent): 지대가 토지의 임대료라는 점에서 토지와 같이 고정성이 강한 내구자본설비의 임대료를 흔히 지대(rent)라고 부른다. 또한 이와 같은 내구적 설비의 증산·증설은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것의 필요성이 증대하였을 때 그것을 소유하는 사람은 일시적으로 독점자적인 이익을 얻게 된다. 이것을 마셜은 준지대라고 불렀다. 다시 말하면, 내구설비의 생산은 매우 장기간을 요하며 그 증가는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을 때는 그 설비의 소유자는 일시적이나마 독점이윤을 얻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일시적 독점이윤의 성질이 지대의 성질과 닮았다는 점에서 준지대라고 하는 것이다.

 

현실적인 측면에서 케인스의 이론이 가지는 의의에 대하여 설명하라.

 

 

모범답안:

 

현실적인 측면에서 케인스의 독특한 방법론에 주목할 수 있다. 케인스 이론은 현실적 기반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발전한 20세기 전반기를 배경으로 하여, 실질변수가 아닌 명목변수로 이자율이나 임금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출발점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고려였다. 장래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인간의 행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도출된 케인스의 3대 심리법칙은 국민소득이나 고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3가지 심리 법칙(psychological law)

소비 법칙: 소비성향(marginal prospensity to comsume; MPC)

투자 함수: 투자의 한계 효율(marginal efficiency of investment; MEI)

화폐 수요: 유동성 선호(liquidity preference)

 

이러한 측면으로 인해 케인스의 이론을 비논리적인 것으로 치부하기도 한다. 케인스 이론에는 논리적 비약이 있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현실작 측면이 케인스 이론의 정수(精髓)에 해당한다.

 

* 보다 넓은 차원에서 케인스 이론의 의의를 추가로 설명하되, 다음 네 가지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시장의 자동조절에 대한 신념을 폐기

시경제학 분야를 독립시킴

부정책의 타당성을 뒷받침

기적 문제보다 단기적 현상에 치중

밀턴 프리드먼의 경제이론과 󰡔자본주의와 자유󰡕에 대해 설명하라.

 

모범답안:

 

18-19세기 스미스류 자유주의는 20세기 국가간섭주의를 거쳐 신자유주의로 재탄생하게 된다. 따라서 밀턴 프리드먼의 저술인 자본주의와 자유은 마치 스미스의 재림(再臨)을 보는 듯하다.

밀턴 프리드먼은 피셔(I. Fisher)의 화폐수량설(MV=PT)을 발전시킨 신화폐수량설과 소비함수에 관한 실증 연구의 결과인 항상소득가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프리드먼에 따르면, 자유인에게 국가란 개인의 집합일 뿐이다. 자유인은 국가가 무엇을 해 주기를 바라지도 않으며, 국가를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한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자유인은 자유를 수호하기 위하여 정부를 수단으로 활용하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가 해야만 하는 일은 다음의 몇 가지로 한정된다.

준칙을 만들어 심판하는 것: 게임의 법칙(The Rules Of The Game)

준칙을 수정하는 방법의 마련

준칙의 해석에 대한 견해의 차이를 중재

자유시장이 할 수 없는 일’ : 기술적 독점이나 외부효과(external effect)

프리드먼은 화폐정책에 대한 규칙을 법정화할 것을 주장하였다. 화폐량의 일정한 증가율을 규정하고 통화당국으로 하여금 이 규정을 지키게 하는 규칙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또한 프리드먼은 사회를 위해서 정부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여러 가지 항목을 정하고, 이에 대한 지출 계획을 세우는 수준에서 재정정책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세금은 소득세의 누진율을 일정하게 정해 놓고 지출계획을 메꾸는 데 충분한 세입이 들어오도록 계획하면 된다고 보았다.

 

객관식 연습문제와 해설

 

 

1. 경제사상사를 학습하는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우물 안 개구리처럼 현대경제학 이론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기 위해서

경제현실과 경제학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경제학의 제국주의적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새로운 경제이론 개발을 위한 직관을 얻기 위해서

 

정답 :

해설 : 경제학의 응용분야가 광범위해지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담보할 뿐이다. 경제학 그 자체가 우월한 학문일 수는 없다.

 

 

2. 다음 중 중세의 경제사상과 무관한 것은?

공정가격

크세노폰

고리대 금지

스콜라 철학

 

정답 :

해설 : 크세노폰(Xenophon, 440-355 B.C.)은 소크라테스의 제자로서, 고대 그리스의 경제사상가이다.

 

 

3. 다음 중 주류경제학이 아닌 것은?

케임브리지학파

오스트리아학파

신오스트리아학파

제도학파

 

정답 :

해설 : 마르크스 경제학, 역사학파 경제학, 제도학파 경제학, 신제도주의 등은 비주류 경제학에 속한다.

 

 

 

4. 경제학의 정의(definition)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인간의 경제생활과 사회의 경제적 현상을 지배하는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

인류의 일상적 경제생활을 다루는 학문

생산, 소비, 분배 등의 경제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학문

가계를 효율적으로 경영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정답 :

해설 : “가계를 효율적으로 경영하는 기술은 경제학의 정의라기보다 어원(etymology)에 해당한다.

 

5. 경제학을 사회과학의 여왕이라고 표현한 경제학자는?

칼 마르크스(Karl Marx)

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애덤 스미스(Adam Smith)

 

정답 :

해설 : 폴 새뮤얼슨은 경제학(Economics)을 사회과학의 여왕(the Queen of the Social Sciences)이라고 한 바 있다. 이는 수학(Mathematics)이 과학의 여왕(the Queen of the Sciences)인 것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6. 미라보가 꼽은 세계 3대 발명이 아닌 것은?

종이의 발명

문자의 발명

경제표의 발명

화폐의 발명

 

정답 :

해설 : 케네의 친구이자 제자인 중농주의 경제학자 미라보(Mirabeau)는 문자의 발명, 화폐의 발명, 경제표(economic table)의 발명을 세계 3대 발명으로 꼽았다.

 

 

 

7. “토지는 부의 어머니요, 노동은 부의 아버지이다라고 한 사람은?

윌리엄 페티

빅토르 미라보

데이비드 흄

토마스 아퀴나스

 

정답 :

해설 : 윌리엄 페티는 가치 문제에 접근한 대표적 중상주의 학자로서,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노동가치설의 개념에 대하여 접근하였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8. 다음 중 케네(François Quesnay)의 대표 저작은?

① 󰡔고립국󰡕(Der isolierte Staat)

② 󰡔가정론󰡕(Oeconomicus)

③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

④ 󰡔경제표󰡕(Tableau Économique)

 

정답 :

해설 : 󰡔고립국󰡕은 튀넨(J. H. von Thünen), 󰡔가정론󰡕은 크세노폰(Xenophon), 󰡔국부론󰡕은 애덤 스미스(Adam Smith)의 저작이다.

 

9. 다음 중 중상주의 경제정책의 역사적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지금주의

보호무역

금본위제도

무역차액주의

 

정답 :

해설 : 중상주의 경제정책은 중금주의(지금주의)무역차액주의(화폐차액주의)보호무역주의의 순으로 발전하였다.

 

10. 다음 중 절대왕정과 관계 없는 것은?

재정기반

상비군

관료제

자유무역

 

 

 

정답 :

해설 : 절대왕정에서는 관료제와 상비군을 유지하기 위한 재정기반의 확보를 위해 보호무역 정책에 해당하는 중상주의를 추구하였다.

 

 

11. 다음 중 애덤 스미스에게 영향을 준 사상이 아닌 것은?

중상주의

중농주의

한계주의

자연법 사상

 

정답 :

해설 : 애덤 스미스는 고전파 경제학자이고, 한계주의는 신고전파경제학의 형성에 영향을 준 사상이다.

 

12. 다음은 어떤 책의 일부인가?

 

우리가 매일 식사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은 정육점주인과 양조장 주인, 그리고 빵집 주인의 자비심 때문이 아니라, 그들 자신의 이익을 위한 그들의 고려 때문이다. 우리는 그들의 자비심에 호소하지 않고 그들의 자애심에 호소하며, 그들에게 우리 자신의 필요를 말하지 않고 그들 자신에게 유리함을 말한다.”

 

① 󰡔정의론󰡕

② 󰡔국부론󰡕

③ 󰡔자본론󰡕

④ 󰡔연애론󰡕

 

정답 :

해설 : 애덤 스미스는 이기심(이기적 관심)의 추구가 시장 체제를 작동시켜서 전반적인 번영을 증대시킨다고 주장하였다. 󰡔정의론󰡕은 존 롤즈(John Rawls), 󰡔자본론󰡕은 칼 마르크스(Karl Marx), 󰡔연애론󰡕은 스탕달(Stendhal)의 저작이다.

 

 

13. 다음의 경제학자 중에서 영국 출신이 아닌 사람은?

스미스(A. Smith)

맬서스(T. Malthus)

제번스(W. S. Jevons)

하이에크(F. A. Hayek)

 

정답 :

해설 : 애덤 스미스는 스코틀랜드에서, 토머스 맬서스는 잉글랜드에서, 제번스도 잉글랜드(리버풀)에서 출생하였다. 하이에크는 오스트리아 출신이다.

 

14. 애덤 스미스가 규정한 어느 상품의 가격이 토지의 지대와 노동에 대한 임금과 자본의 이윤을 그것들의 자연율에 따라서 지불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주어지는것은?

균형가격

자연가격

유보가격

미래가격

 

정답 :

해설 : 시장가격(market price)이 수요공급에 따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가격으로서, 자연가격(natural price)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자연가격은 시장가격의 중심가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미시경제학에서의 장기균형가격(long-run equilibrium price)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5. 분업이 생산성을 높이는 이유가 아닌 것은?

절대 우위

숙련도 향상

기계 발명 가능성이 높아짐

작업 이동 시간 단축

 

정답 :

해설 : 분업이 생산성을 높이는 이유는 (1) 숙련도 향상, (2) 작업 이동 시간 단축, (3) 기계 발명 가능성의 증대, (4) 비교 우위 등이다.

 

 

 

16. 다음 중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가장 중요한 전제는 무엇인가?

인간은 이기적이다.

인간은 다른 인간에 대한 동감을 가지고 있다.

우주 만물은 하나님의 섭리 덕분에 잘 운행된다.

공공이익을 증진시키려는 의도가 사회를 발전시킨다.

 

정답 :

해설 :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인간은 이기적(selfish)이라고 가정하였다.

 

 

17.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표현은 몇 번 등장하는가?

1

2

3

4

 

정답 :

해설 : 다음 문구에서 단 한 번만 등장한다. “각 개인이 최선을 다해 자기 자본을 본국 노동의 유지에 사용하고 노동생산물이 최대의 가치를 갖도록 노동을 이끈다면, 각 개인은 필연적으로 사회의 연간수입이 가능한 한 최대의 가치를 갖도록 노력하는 것이 된다. 사실 그는, 일반적으로 말해서, 공공의 이익을 증진시키려고 의도하지도 않고, 공공의 이익을 그가 얼마나 촉진하는지도 모른다. 외국 노동보다 본국 노동의 유지를 선호하는 것은 오로지 자기 자신의 안전을 위해서고, 노동생산물이 최대의 가치를 갖도록 그 노동을 이끈 것은 오로지 자기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다. 이 경우 그는, 다른 많은 경우에서처럼,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려서 그가 전혀 의도하지 않았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그가 의도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해서 반드시 사회에 좋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가 자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흔히, 그 자신이 진실로 사회의 이익을 증진시키려고 의도하는 경우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그것을 증진시킨다. 나는 공공이익을 위해 사업한다고 떠드는 사람들이 좋은 일을 많이 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사실 상인들 사이에 이러한 허풍은 일반적인 것도 아니며, 그런 허풍을 떨지 않게 하는 데는 몇 마디 말이면 충분하다.

 

18. 리카도가 말한 비옥도가 서로 다른 토지들 간의 이윤율을 평활화하기 위해 지주에게 지불하는 것이란?

시간

생산비

지대

가격

 

정답 :

해설 : 다음 문구를 상기하라. “If, then, good land existed in quantity much more abundant than the production of food for an increasing population required, or if capital could be indefinitely employed without a diminished return on the old land, there could be no rise of rent; for rent invariably proceeds from the employment of an additional quantity of labour with a proportionally less return.

 

 

19. 다음 중 리카도의 경제이론이 아닌 것은?

차액지대론

과소소비론

비교우위론

이윤잔여설

 

정답 :

해설 : 과소소비론은 맬서스의 이론이다.

 

 

20. 리카도는 지대가 발생하는 이유를 어디에서 발견하였나?

내구적 자본설비의 보유

경작되는 토지의 위치 차이

경작되는 토지의 비옥도 차이

농산물의 생산비와 가격간의 차이

 

정답 :

해설 : 리카도의 차액지대는 비옥한 토지와 비옥하지 않은 토지 간의 생산성 차이를 가리킨다. 같은 비용을 투입할 경우, 비옥한 토지의 소출은 당연히 비옥하지 않은 토지의 소출보다 많을 것이다. 두 토지 간의 소출의 차이는 지주에게 지대로 납부될 것이며, 이것이 바로 차액지대에 해당한다.

 

 

 

21. 다음 중 리카도 경제이론에서의 지대(rent)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원초적으로 파괴될 수 없는 지력의 사용에 대해 지주에게 지불되는 토지생산물의 일정 부분

비옥한 토지와 비옥하지 않은 토지 간의 생산성 차이

사회경제의 발전에 수반하여 생기는 근로소득

비옥도가 서로 다른 토지들 간의 이윤율을 평활화하기 위해 지주에게 지불하는 것

 

정답 :

해설 : 리카도 이론에서의 지대는 근로소득이 아닌 불로소득에 해당한다.

 

 

22. 다음 중 리카도의 국제무역이론에 해당하는 것은?

보호무역주의

상호수요이론

비교우위론

절대우위론

 

정답 :

해설 : 보호무역주의는 중상주의, 상호수요이론은 J. S. , 절대우위론은 애덤 스미스의 국제무역이론이다.

 

 

23. 15-18세기에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 상업을 중시한 경제체제?

중상주의

중농주의

자유방임주의

절대주의

 

정답 :

해설 : 중상주의(重商主義)15-18세기의 300여년에 걸쳐 자본주의 이행기에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 경제사조이론정책을 총괄적으로 표현한 개념이다. 당시 사람들이 중상주의라고 스스로 지칭한 것은 아니며, 후대 학자들이 붙여준 명칭이다.

 

 

24. 다음 중 중상주의의 국제무역이론과 관계 없는 것은?

보호무역주의

무역차액주의

비교우위론

중금주의

 

정답 :

해설 : 비교우위론은 데이비드 리카도의 국제무역이론이다.

 

 

25. 다음 중 맬서스의 󰡔인구론󰡕 제목에 들어있지 않은 단어?

principle

population

wealth

occasions

 

정답 :

해설 : 맬서스의 󰡔인구론󰡕 제목은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or, a View of its Past and Present Effects on Human Happiness; with an Inquiry into our Prospects Respecting the Future Removal or Mitigation of the Evils which it Occasions이다.

 

 

26. 다음 중 맬서스의 일생과 관계 없는 것은?

직업이 목사였다.

리카도와 친구 사이였다.

장남이었다.

인구와 사회의 관계에 대해 파고든 가장 위대한 사회과학자였다.

 

정답 :

해설 : 맬서스는 대지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27. 맬서스 인구 이론의 전제나 가정이 아닌 것은?

식량은 생존을 위해 필요하다.

양성간의 정욕은 필요한 것이다.

인간의 번식력은 토지의 식량 산출 능력보다 훨씬 크다.

양성간의 정욕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다.

 

정답 :

해설 : 맬서스는 양성간의 정욕이 거의 현상대로 머무를 것이라고 전제하였다.

 

 

28. 맬서스의 인구이론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빈곤은 적극적 억제(positive check)이다.

만혼은 예방적 억제(preventive check)이다.

피임을 중시한 것은 신맬서스주의(Neo-Malthusianism)이다.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수준이 낮다.

 

정답 :

해설 :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낮고,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높다.

 

 

29. 도덕적 억제와 관계 없는 것은?

결혼의 연기

피임

결혼생활 내에서의 금욕

빈곤과 악덕

 

정답 :

해설 : 빈곤(가난), 질병, 악덕, 범죄, 전쟁 등은 적극적 억제, 만혼(晩婚), 금욕, 피임 등은 예방적 억제(도덕적 억제)에 해당한다.

 

 

30. 인구 증가의 억제 방식과 소득 간의 관계에 대한 해설로서 잘못된 것은?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 평균 소득 수준이 높다.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 소득이 감소하면 출생률이 떨어진다.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 인구의 증가는 사망률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예방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 출생률의 감소는 인구압력을 경감한다.

 

정답 :

해설 : 적극적 억제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평균 소득 수준이 낮다.

 

 

31. 다음 중 J. S. 밀과 관계 없는 것은?

심리적 경기변동론

② 󰡔여성의 종속󰡕

상호수요이론

예방적 억제

 

정답 :

해설 : 예방적 억제(preventive check)는 토머스 맬서스가 󰡔인구론󰡕 2판에서 도입한 개념이다.

 

 

32. 존 스튜어트 밀의 임금기금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밀은 노동자들의 임금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길이 산아제한 교육이라고 생각했다.

밀은 임금과 노동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관계를 밝혔다.

밀은 자신의 임금기금설을 철회하였다.

밀은 처음부터 노동자의 단결과 파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정답 :

해설 : 존 스튜어트 밀의 임금기금설은 처음에는 노동조합 활동의 억압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1869년 손톤(Thornton)의 저서에 대한 서평에서 임금기금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시인하였다.

 

 

33. 다음 중 J. S. 밀의 저작이 아닌 것은?

자서전(Autobiography)

여성의 종속(The Subjection of Women)

자유론(On Liberty)

부의 생산에 관한 소고(An Essay on the Production of Wealth)

 

정답 :

해설 : 󰡔부의 생산에 관한 소고󰡕는 로버트 토런스(Robert Torrens)1821년 저작이다.

 

 

34. 다음 중 상호수요이론에 대한 부적절한 해설은?

존 스튜어트 밀은 교역조건이 두 나라에 의해 수입된 생산물의 수요에 의존한다고 보았다.

존 스튜어트 밀은 수출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맬서스를 비판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관세를 통한 무역 억제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무역을 해서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것을 최초로 말한 사람이다.

 

정답 :

해설 : 존 스튜어트 밀은 관세를 통한 무역 억제가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35. 다음 중 오퍼곡선(offer curve)의 도출 과정에서 등장하지 않는 개념은?

사회무차별곡선(social indifference curve)

생산가능곡선(production possibility curve)

교역조건(terms of trade)

전반적 공급과잉(general oversupply)

 

정답 :

해설 : 전반적 공급과잉은 J. S. 밀의 심리적 경기변동론(psychological theory of business cycles)에서 등장하는 개념이다.

 

 

36. 마르크스 주의의 세 가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독일 철학

프랑스 사회주의

영국 경제학

자연법 사상

 

 

정답 :

해설 :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구성 요소는 독일의 철학(헤겔 변증법),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이다.

 

 

37. 다음 중 마르크스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① 「데미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의 자연철학의 차이점

② 󰡔자본론󰡕

③ 󰡔공산당선언󰡕

④ 󰡔도덕감정론󰡕

 

정답 :

해설 : 󰡔도덕감정론󰡕은 애덤 스미스의 저작이다.

 

 

38. 상품의 사용가치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질을 달리하는 노동을 가리키는 용어는?

구체적 유용노동

추상적 인간노동

필요노동

잉여노동

 

정답 :

해설 : 구체적 유용노동이란 면화로 면사를 만드는 방적노동’, 철광석으로 선철을 만드는 제철노동등 각 노동의 목적, 대상, 수단, 방법, 결과가 각 상품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것을 말하며, 상품의 사용가치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질(quality)을 달리하는 노동이다.

 

 

39. 다음 중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

헤겔의 변증법

영국의 고전파 정치경제학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

 

정답 :

해설 : 찰스 다윈의 진화론은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학에 영향을 미친 바 있다.

 

 

 

40. 다음 중 마르크스의 가치론에서 상품의 가치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불변자본

가변자본

잉여가치

교환가치

 

정답 :

해설 : 상품의 가치 = 불변자본 + 가변자본 + 잉여가치

 

 

41. 다음 중 잉여가치율(rate of surplus value)의 정의는?

잉여가치 ÷ (불변자본 + 가변자본)

잉여가치 ÷ 가변자본

잉여가치 ÷ 불변자본

잉여가치 ÷ 생산가격

 

정답 :

해설 : 잉여가치율은 자본가가 노동자를 착취하는 정도를 나타내므로 착취율이라고도 하며, 잉여가치를 가변자본으로 나눈 값에 해당한다.

 

 

42. 다음 중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기변동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불변자본

가변자본

고정자본

유동자본

 

정답 :

해설 :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에 나타나는 가치구성은 가변자본+잉여가치인 데 반해, 마르크스에 와서는 불변자본+가변자본+잉여가치로서 불변자본이 들어오기 때문에,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산업순환(産業循環), 즉 경기변동(business cycle)이 발생한다.

 

 

 

 

43. 다음 중 튀넨(J. H. von Thünen)과 관계 없는 것은?

① 󰡔고립국󰡕

정상임금은 필요생활비와 노동성과의 기하평균

묘비공식

교역체

 

정답 :

해설 : 교역체(trading body)는 제번스가 만든 개념이다.

 

 

44. 다음 중 한계혁명의 선구자가 아닌 사람은?

제닝스

쿠르노

고쎈

피구

 

정답 :

해설 : 한계혁명의 선구자(pioneers)로는 제닝스(Jennings), 듀피(Dupuit), 쿠르노(Cournot), 튀넨(von Thünen), 고쎈(Gossen) 등이 있다. 피구(Pigou)는 케임브리지학파에 해당한다.

 

 

45. 다음 중 한계혁명을 주도한 경제학자가 아닌 사람은?

제번스(W. S. Jevons)

멩거(C. Menger)

발라(M. E. L. Walras)

듀젠베리(J. Duesenberry)

 

정답 :

해설 : 한계혁명(marginal revolution)을 추진한 트리오(trio)는 제번스, 발라, 멩거이다.

 

 

46. 다음 중 발라(L. Walras)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① 󰡔순수경제학요론󰡕

② 󰡔사회경제학연구󰡕

③ 󰡔수리심리학󰡕

④ 󰡔응용경제학연구󰡕

 

정답 :

해설 : 󰡔수리심리학󰡕은 에지워스의 저작이다.

 

 

47. 파레토(V. Pareto)는 다음 중 누구의 후계자인가?

슘페터(J. A. Schumpeter)

케인스(J. M. Keynes)

발라(M. E. L. Walras)

멩거(C. Menger)

 

정답 :

해설 : 발라의 후계자는 파레토이며, 그 밖에 약간의 이탈리아인 학자를 포함하여 로잔학파라고 한다.

 

 

48. 다음 중 에서 멩거(C. Menger)와 관계 없는 것은?

① 󰡔국민경제학원리󰡕

황태자의 교사

③ 󰡔사회과학, 특히 경제학의 방법에 관한 연구󰡕

파리 광산 학교

 

정답 :

해설 : 파리 광산 학교(Ècole des Mines de Paris)는 발라(M. E. L. Walras)가 입학한 학교이다.

 

 

49. 다음 중에서 제번스(W. S. Jevons)와 관계 없는 것은?

효용의 최종도(final degree of utility)

교역체(trading body)

교환방정식(equation of exchange)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

 

정답 :

해설 : 유동성 함정은 케인스의 이론이다.

 

 

50. 다음 중 멩거의 경제사상과 이론을 계승한 학파는?

케임브리지학파

오스트리아학파

로잔학파

북구학파

 

정답 :

해설 : 멩거는 오스트리아학파의 시조이다.

 

 

51. 다음 중 오스트리아 학파와 관계 없는 사람은?

미첼(Wesley Clair Mitchell)

비저(Friedrich von Wieser)

멩거(Carl Menger)

뵘바베르크(Eugen von Böhm-Bawerk)

 

정답 :

해설 :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로는 멩거, 비저, 뵘바베르크 등이 있다. 미첼은 전미경제연구소(NBER) 소장을 역임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52. 뵘 바베르크의 시차설과 관계 없는 것은?

당장 곤란한 경우에 현재가 미래보다 중요해 보인다

사람들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뵘 바베르크는 이자의 근거를 시간 선호를 이용하여 설명했다

현재재의 가치가 미래재의 가치보다 더 큰 주관적 가치를 가진다

 

정답 :

해설 : 뵘 바베르크는 시간 선호가 발생하는 이유로서 사람들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들었다.

 

 

53. 다음 중 북구 학파와 관계 없는 사람은?

빅셀

비저

카셀

뮈르달

 

정답 :

해설 : 북구학파 경제학자로는 빅셀, 카셀, 뮈르달 등이 대표적이다. 비저는 오스트리아 학파에 속한다.

 

 

54. 다음 중 마셜(Alfred Marshall)과 관계 없는 것은?

준지대

기간 구분

자연가치론

가격탄력성

 

정답 :

해설 : 자연가치론(natural value)은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비저의 이론이다.

 

 

55. 다음 중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이론이 아닌 것은?

준지대

수요가격과 공급가격

소비자잉여

교역체

 

정답 :

해설 : 교역체는 제번스의 경제이론에 해당한다.

 

 

56. 다음 중 마셜(Alfred Marshall)과 관계 없는 것은?

다른 조건이 같다면

뜨거운 가슴, 냉철한 두뇌

솥이 끓는 것을 보고 아이들처럼 소리를 질렀다

가위의 양날

 

정답 :

해설 : 케인스(J. M. Keynes)Jevons saw the kettle boil and cried out with the delighted voice of child; Marshall too had seen the kettle boil and sat down silently to build an engine.라고 한 바 있다.

 

 

57. 다음 중 케임브리지학파의 별칭은?

새케인스학파

신고전학파

신자유주의

새고전학파

 

정답 :

해설 : 신고전학파(neo-classical)요즘에는 일반균형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현대경제학의 주류(mainstream)를 가리키지만, 본래는 마셜에서 시작하는 케임브리지학파의 별칭이었다.

 

 

58. 다음 중 베블렌(T. B. Veblen)의 대표 저작은?

유한계급론(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부의 분배(Distribution of Wealth)

시장과 위계(Markets and Hierarchies)

서구 세계의 성장(The Rise of the Western World)

 

정답 :

해설 : 󰡔부의 분배󰡕는 클라크(J. B. Clark), 󰡔시장과 위계󰡕는 윌리엄슨(O. Williamson), 󰡔서구 세계의 성장󰡕은 노스(D. North)의 저작이다.

 

 

59. 다음 중 베블렌(T. B. Veblen)과 관계 없는 것은?

테디 베어

토지단일세

과시적 소비

금전적 고용

 

정답 :

해설 : 토지단일세를 주장한 경제학자는 헨리 조지(Henry George)이다.

 

 

60. 다음 중 베블렌의 경제이론과 관계 없는 것은?

진화적 경제학

급진적인 개혁사상

제작본능과 낭비본능

과시적 소비

 

정답 :

해설 : 급진적인 개혁사상은 헨리 조지의 경제사상에 해당한다.

 

 

61. 다음 중 미첼(W. C. Mitchell)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① 󰡔유한계급론󰡕

② 󰡔그린백의 역사󰡕

③ 󰡔경기순환󰡕

④ 󰡔, 가격, 임금󰡕

 

정답 :

해설 : 󰡔유한계급론󰡕은 베블렌(T. B. Veblen)의 대표 저작이다.

 

 

62. 다음 중 전미경제연구소(NBER)의 설립자는?

갤브레이스(J. K. Galbraith)

코먼스(J. R. Commons)

미첼(W. C. Mitchell)

뮈르달(G. Myrdal)

 

정답 :

해설 : 전미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는 미첼에 의해 1920년에 설립되었다.

 

 

63. 다음 중 토지단일세를 주장한 급진적 경제학자는?

헨리 조지(Henry George)

올리버 윌리엄슨(Oliver Williamson)

로널드 코즈(Ronald Coase)

더글러스 노스(Douglass C. North)

 

정답 :

해설 : 헨리 조지는 극단적으로 지대를 전부 세금으로 흡수하고, 반대로 그 이외의 대상에 부과되는 세금은 모두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조지는 자신의 이름으로 세상에 알린 진보와 빈곤이라는 책에서 빈곤의 원인은 경제가 성장하면서 희소한 자연자원인 토지에 대한 지대가 급격히 올라가서 임금으로 지불할 몫을 줄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면서, 지대를 전부 세금으로 흡수해 사실상 토지를 공동소유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64. 다음 중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관계 없는 것은?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전통에 기반함

제한적 합리성을 강조

적정자본주의를 주장

시장이나 계약이 아닌 조직의 역할을 강조

 

정답 :

해설 : 적정자본주의를 주장한 경제학자는 제도학파에 속하는 코먼스(J. R. Commons)이다.

 

 

65 다음 중 신제도주의 경제학자가 아닌 사람은?

올리버 윌리엄슨

로널드 코즈

존 갤브레이스

더글러스 노스

 

정답 :

해설 : 존 갤브레이스는 신제도학파에 속한다.

 

 

66. 다음 중 슘페터의 대표 저작이 아닌 것은?

① 󰡔시장과 위계󰡕

② 󰡔경제발전의 이론󰡕

③ 󰡔경기순환론󰡕

④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정답 :

해설 : 󰡔시장과 위계󰡕는 윌리엄슨(O. Williamson)의 저작이다.

 

 

67. 다음 중 기술혁신에 대한 슘페터의 견해와 거리가 것은?

기술혁신을 통해 독과점 체제가 생기고 이러한 독점이윤이 또다시 기술혁신을 위한 자금이 되므로 독과점체제가 기술혁신에 유리하다

기술혁신은 단지 발명이나 공정혁신과 다르므로 시간이 걸린다

모든 기술혁신은 항상 다른 기술혁신을 유발한다

불황기가 오래 계속되면 기존 기업활동에 묶였던 인력 시설 등이 풀리므로 점차적으로 기술혁신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정답 :

해설 : 기술혁신 중에서 증기기관이나 내연기관과 같은 커다란 기술혁신이 다른 기술혁신을 유발하여 자본주의의 장기적인 호황을 가져오는 계기가 될 수도 있었지만, 모든 기술혁신이 그러한 것은 아니다.

 

 

 

68. 다음 중 슘페터(J. A. Schumpeter)와 관계 없는 개념은?

기술혁신(innovation)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고착효과(lock-in effect)

 

정답 :

해설 : 고착효과는 진화경제학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이다.

 

 

69. 다음 중 슘페터가 구분한 경기순환의 역사적 단계와 관계 없는 것은?

1787-1842년간 = 산업혁명기

1938-1945년간 = 완전한 자본주의의 시대

1898-1938년간 = 신중상주의 콘트라티에프

1843-1892년간 = 철도혁명의 시대

 

정답 :

해설 : 슘페터가 완전한 자본주의의 시대라고 평가한 기간은 1843-1892년간이다.

 

 

70. “최초의 주어진 시점의 정보에서 출발하여 관심을 가지는 변수의 매 시점의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는?

부분균형분석(partial equilibrium analysis)

시뮬레이션 기법(simulation technique)

귀납법(induction)

계량경제학(econometrics)

 

정답 :

해설 : 진화경제학의 시뮬레이션 기법에서는 장기적 결과를 추적하기 위해서 (t-1)기로부터 주어진 정보를 여건으로 하여 t기의 결과를 얻고, 다시 이 결과로부터 주어진 정보로 여건을 형성하여 (t+1)기의 결과를 낳는 과정을 반복하여 계산하는 것이 요구된다.

 

 

71. 다음 중 진화경제학의 이론적 연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진화생물학

게임이론

복잡계경제학

기술혁신

 

정답 :

해설 : 진화경제학의 이론적 연원으로는 진화생물학, 게임이론, 카오스이론(복잡계경제학) 등이 있다.

 

 

72. 20세기 초반 경제학의 전문화 추세와 관계 없는 것은?

계량경제학회

런던의 금융중심가(Lombard Street)

NBER

코울즈 위원회

 

정답 :

해설 : 1920년대 후반부터 제2차 세계대전 직후까지의 경제학은 미국을 중심으로 하여 전문화와 국제화가 진행되었다.

 

 

73. 다음 중 J. M. 케인스가 거쳤던 직업이 아닌 것은?

변호사

공무원

보험회사 회장

교수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경제학자이면서 공무원, 교수, 보험회사 회장 등의 직업을 거쳤으며, 미술 작품을 수집하고, 극장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74. 다음 중 J. M. 케인스 이론의 ‘3가지 심리 법칙무관한 것은?

한계소비성향

유동성 선호

투자의 한계효율

합리적 기대

 

정답 :

해설 : 합리적 기대는 시카고 대학의 루카스(Robert E. Lucas, Jr.)를 중심으로 창설된 새고전파의 경제이론이다.

 

 

75. 다음 중 J. M. 케인스의 생애와 관계 없는 것은?

평생 결혼을 하지 않고 독신으로 지냈음

아버지보다 일찍 사망하였음

인도에서 공무원 생활을 한 적이 있음

젊은 시절에는 동성애자였음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42세때 발레리나와 결혼했다.

 

 

76. 다음 중 J. M. 케인스의 경제사상 또는 경제이론과 관계 없는 것은?

화폐환상(money illusion)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

현시선호(revealed preference)

 

정답 :

해설 : 현시선호는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이론이다.

 

 

77. 케인스의 유효수요론에 관한 다음 설명중 잘못된 것은?

국민소득(national income)은 저량(stock)이다.

저축(saving)은 누출(leakage)로서 국민소득 순환을 감소시킨다.

케인스는 세이의 법칙을 부정하는 입장에 있었다.

현실에서 투자의 결정은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에 의해 지배된다.

 

정답 :

해설 : 국민소득은 유량(flow)이다.

 

 

78. 케인스의 3대 심리법칙이 아닌 것은?

소비성향

결국은 우리는 모두 죽는다.”

투자의 한계효율

유동성 선호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소비성향, 투자의 한계효율, 유동성 선호가 국민소득이나 고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보았으며, 이를 3대 심리법칙이라고 한다.

 

 

79. 다음 중 J. M. 케인스의 경제이론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아닌 것은?

거시경제학이 독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단기적인 문제보다 장기적인 문제를 중요시하였다.

정부정책의 타당성을 뒷받침하였다.

유효수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장기적 문제보다 단기적 현상에 치중하였다.

 

 

80. 다음 중 유동성 선호설에서 말하는 사람들이 화폐를 보유하려 하는 동기아닌 것은?

투기적 동기

계산적 동기

거래적 동기

예비적 동기

 

정답 :

해설 : 케인스는 거래적 동기, 예비적 동기, 투기적 동기를 화폐 보유의 이유로 들고 있으며, 거래적 동기, 예비적 동기는 소득의 함수이고, 투기적 동기는 이자율의 함수이다.

 

 

 

81. 다음 중 새케인스학파와 거리가 것은?

상대소득가설

신용할당

조정실패

효율성임금가설

 

정답 :

해설 : 새게인스학파의 경제이론으로는 메뉴비용이론, 중첩가격 설정 모형, 효율성임금가설, 묵시적 계약이론, 내부자-외부자 이론, 신용할당, 복수균형과 조정실패 등이 있다. 상대소득가설은 듀젠베리(J. Duesenberry)의 경제이론이다.

 

 

82. 다음 중 폴 새뮤얼슨과 거리가 것은?

현시선호이론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

③ 󰡔경제학󰡕

메뉴비용

 

정답 :

해설 : 메뉴비용은 그레고리 맨큐(N. G. Mankiw)의 이론으로서 새케인스학파에 해당한다.

 

 

83.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새뮤얼슨(Paul Samuelson)은 언제 사망하였나?

2009

1999

1989

1979

 

정답 :

해설 : 새뮤얼슨은 20091213, 향년 94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84. 다음 중 폴 새뮤얼슨의 저작이 아닌 것은?

① 󰡔경제분석의 기초󰡕

② 󰡔경제학󰡕

③ 󰡔논문집󰡕

④ 󰡔이단의 경제학󰡕

 

정답 :

해설 : 󰡔이단의 경제학󰡕은 폴 새뮤얼슨에 대하여 비판한 여류 경제학자 로빈슨의 저작이다.

 

 

85. 다음 중 폴 새뮤얼슨의 󰡔경제학󰡕에 대한 적절한 설명은?

① 󰡔경제학󰡕은 새케인즈학파 경제이론을 중심으로 한다.

② 󰡔경제학󰡕의 번역은 극히 일부 국가에서만 이루어졌다.

③ 󰡔경제학󰡕에서 단순케인스모형의 45도 직선이 처음 사용되었다.

④ 󰡔경제학󰡕11판까지 출판되었다.

 

정답 :

해설 : 지금은 모든 경제학도에게 익숙한 단순케인스모형의 그림, 45도 직선과 그것을 가로지르는 총수요곡선으로 이루어진 그림은 1948년에 폴 새뮤얼슨의 󰡔경제학󰡕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86. 다음 중 새뮤얼슨이 쓴 경제학 교과서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것은?

1판부터 제11판까지 단독으로, 12판부터는 공저로 쓰여졌다.

이 교과서는 세계 각국에 널리 보급되었다.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도 이 교과서에 소개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 교과서의 제목은 󰡔경제학원리󰡕(Principles of Economics)이다.

 

정답 :

해설 : 새뮤얼슨이 저술한 초급 교과서는 경제학(Economics)이며, 1948년에 처음 출판되었다. 이 교과서는 케인스의 거시경제학과 마셜의 미시경제학을 결합한 바 있다.

 

 

87. 다음 중 하이에크(F. A. Hayek)의 저작이 아닌 것은?

① 󰡔자본의 순수이론󰡕(The Pure Theory of Capital)

② 󰡔자본주의와 자유󰡕(Capitalism and Freedom)

③ 󰡔노예의 길󰡕(The Road to Serfdom)

④ 󰡔, 입법 그리고 자유󰡕(Law, Legislation and Liberty)

 

정답 :

해설 : 󰡔자본주의와 자유󰡕는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의 저작이다.

 

 

88. 다음 중 하이에크(F. A. Hayek)의 저작은?

① 󰡔진보와 빈곤󰡕

② 󰡔자본주의와 자유󰡕

③ 󰡔노예의 길󰡕

④ 󰡔인구론󰡕

 

정답 :

해설 : 하이에크는 󰡔자본의 순수이론󰡕(The Pure Theory of Capital), 󰡔예종에의 길󰡕(The Road to Serfdom), 󰡔, 입법 그리고 자유󰡕(Law, Legislation and Liberty) 등을 저술하였다.

 

 

89. 다음 중 프리드먼(M. Friedman)과 관계 없는 것은?

1976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성격이 낙천적이었다.

복지국가 사상이 세력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어빙 피셔의 화폐수량설을 발전시켰다.

 

정답 :

해설 : 프리드먼의 경제이론은 신자유주의에 해당한다.

 

 

90. 다음 중 밀턴 프리드먼의 경제사상과 무관한 것은?

신자유주의

신화폐수량설

생애주기가설

항상소득가설

 

정답 :

해설 : 생애주기가설(life-cycle hypothesis)은 모딜리아니(F. Modigliani), 브룬버그(R. Brumberg), 앤도(A. Ando)에 의하여 제기된 소비함수에 대한 가설이다.

 

 

91. 프리드먼(M. Friedman)의 경제사상과 관계 없는 것은?

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

“There is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

국가적 혁신 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

게임의 준칙(The rules of the game)

 

정답 :

해설 : 국가적 혁신 체제는 신슘페터주의 기술경제학의 연구 대상이다.

 

 

92. 다음 중 합리적 기대”(rational expectation)와 가장 거리가 것은?

루카스비판(Lucas critique)

적응적 기대(adaptive expectation)

새고전파 거시경제학(new classical macroeconomics)

정책무력성(policy ineffectiveness)

 

정답 :

해설 : 적응적 기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대안으로 대두된 가설이 합리적 기대이다.

 

 

93. 다음 설명은 무엇을 지칭하는가?

 

통화정책이 빈발할수록 통화정책에 대한 효과가 없어지고 인플레이션이라는 해악만 생긴다. 과거의 관행이나 통계에 기초해 고안한 정책은 쓸모가 없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경험을 통해 특정한 정책에 대한 판단과 행동을 달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루카스비판(Lucas critique)

적응적 기대(adaptive expectation)

새고전파 거시경제학(new classical macroeconomics)

정책무력성(policy ineffectiveness)

 

정답 :

해설 : 대부분의 경제정책은 과거의 계량분석을 통해 수립되기 때문에 루카스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루카스는 정책의 영향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보다 근본적인 경제변수를 바탕으로 경제를 분석할 것을 권한다. 이 제안은 그 후 실물경기(Real Business Cycle) 분석학파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94. 다음 중 새고전파 거시경제학자가 아닌 사람은?

토머스 사전트

로버트 루카스

그레고리 맨큐

에드워드 프레스콧

 

정답 :

해설 : 그레고리 맨큐는 새케인스학파 경제학자이다.

 

 

95. 다음 중 뮈르달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① 󰡔아프리카의 드라마󰡕

② 「경제적 변화과정 중의 가격결정문제

③ 󰡔경제이론과 저개발지역󰡕

④ 󰡔풍요에의 도전󰡕

 

정답 :

해설 : 뮈르달의 저작으로는 󰡔경제이론과 저개발지역󰡕(Economic Theory and Underdeveloped Regions), 󰡔풍요에의 도전󰡕(Challenge to Affluence), 󰡔아시아의 드라마󰡕(Asian Drama) 등이 있다.

 

 

96. 다음 중 근대화론을 비판하고 종속이론을 주장한 대표적 경제학자는?

프랑크(A. G. Frank)

왈러스타인(I. Wallerstein)

로스토(W. W. Rostow)

뮈르달(K. G. Myrdal)

 

정답 :

해설 : 대표적인 종속이론가로는 프랑크(A. G. Frank)와 아민(S. Amin)이 있다.

 

 

97. 다음 중 프랑크(A. G. Frank)가 주장하였던 이론은?

종속이론(dependency theory)

근대화론(modernization theory)

조절이론(regulation theory)

게임이론(game theory)

 

정답 :

해설 : 프랑크(A. G. Frank)는 대표적인 종속이론가이다.

 

 

98. 다음 설명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미숙련 노동자를 투입하여 표준화된 제품을 생산했던 예전의 경직된 대량 생산 라인에서 벗어나, 시장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범용 기계와 숙련 노동자들로 구성되는 혁신적인 생산 체제

 

테일러주의(Taylorism)

포스트 포드주의(Post-Fordism)

스탈린주의(Stalinism)

도요타주의(Toyotism)

 

정답 :

해설 : 포스트 포드주의는 분업을 최소화시켜 직무를 수평적·수직적으로 통합하고, 권위주의적인 수직적 의사 결정 구조를 수평적으로 전환하며, 노동자들에게는 직무에 대한 폭넓은 자율권을 보장하는 등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보다 인간적인 작업 환경을 마련하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99. 다음 중 마르크스 이후의 대표적 마르스크경제학자가 아닌 사람은?

루돌프 힐퍼딩

로자 룩셈부르크

블라디미르 레닌

구스타프 카셀

 

정답 :

해설 : 구스타프 카셀은 북구학파 경제학자이다.

 

 

100. 다음 중에서 20세기의 저작물이 아닌 것은?

힐퍼딩의 󰡔금융자본론󰡕

마르크스의 󰡔자본론󰡕

레닌의 󰡔제국주의론󰡕

룩셈부르크의 󰡔자본축적론󰡕

 

정답 :

해설 : 󰡔금융자본론󰡕1910년에, 󰡔자본축적론󰡕1913년에, 󰡔제국주의론󰡕1917년에 출판되었다. 󰡔자본론󰡕19세기의 저작물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