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문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20. 독서치료 20장. 독서치료 1. 독서치료란 무엇인가? 독서치료란 책, 문학이란 뜻의 ‘biblion’과 병을 고쳐주다라는 의미의 ‘therapeia’, 이 두 가지 그리스어가 합쳐진 말로서 그 의미는 넓게 해석한다면, 발달적 혹은 특정하고 심각한(clinical) 문제를 가지고 있는 참여자가 다양한 문학 작품들을 매개로 하여 치료자와 일 대 일이나 집단으로 토론, 글쓰기, 그림 그리기, 역할극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자신의 적응과 성장 및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얻는 것이다. 2. 독서치료는 독서클리닉과 어떻게 다른가?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독서클리닉은 주로 읽기 부진아나 읽기 장애아가 그 대상이 된다. 읽기 부진아란 정상적인 지능을 가진 어린이가 신체․인지․정서․환경․교육적 ..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9. 인형극 19장. 인형극 1. 인형극이란 무엇인가? 인형극이란 인형을 손, 줄, 막대기 등에 연결하여 만들어서 이야기의 내용에 미술, 음악, 율동 등을 통합하여 표현하는 극의 한 형태이다. 2. 인형극은 어떤 교육적 가치가 있는가? ① 다양한 형태의 인형극을 감상함으로써 문학적 경험을 폭넓게 하고 바람직한 문학 감상 태도를 길러준다. ② 인형극의 감상을 통해 유아의 상상력과 창의적 표현력을 길러준다. 인형과 말을 주고받는 인형극을 보면서 유아들은 인형을 대화의 상대로 생각하고 자신의 감정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하게 된다. ③ 인형극은 유아가 집중하여 몰입하게 됨으로써 불안이나 긴장을 해소시킬 수 있다. ④ 인형극을 통해 또래간의 상호작용이 증대되고 협동심이 길러진다. ⑤ 극 중의 여러 상황을 통하여 문제해결력..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8. 극화활동 18강. 극화활동 1. 극화활동이란 무엇인가? 극화활동(dramatic activities)이란 들은 이야기나 경험들에 기반을 두고 역할, 사건, 상황, 행동, 사물 등에 대해 모방해보거나 가상적인 표현을 통해 극의 형식으로 꾸미는 모든 활동이다. 유아들은 극화 활동을 통해서 문학 작품과 많은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2. 역할놀이란 무엇인가? ① 역할놀이란 주변 생활의 경험이나 이야기에서의 역할을 선택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놀이를 말한다. 가령, 가족 중의 아버지나 어머니 역할이나 이야기의 등장인물의 역할을 회상하거나 상상하면서 놀이를 하게 된다. ②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들이 역할 놀이를 잘 할 수 있도록 시간, 공간, 소품 등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소꿉놀이 영역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7. 융판동화 17장. 융판동화 1. 융판동화란 무엇인가? 융판(flannel board)은 나무판, 하드보드판 등에 융이나 펠트 천을 입힌 판이다. 융판동화는 동화의 내용에 따라 준비된 그림자료를 융판 위에 붙이거나 떼면서 이야기를 진행하는 그림동화의 한 종류이다. 2. 융판동화에 적합한 동화는 어떤 특성을 가진 것인가? ① 이야기의 플롯이 구나 문장이 하나씩 더해지는 누적적인 이야기가 가장 적당하다. (예: ‘커다란 무’나 ‘매우 배가 고픈 애벌레’ 등) ② 등장인물의 수가 제한되어 있고 배경이 중요하지 않고, 사건이 분명하면서도 간단한 이야기가 적당하다. ③ 유머가 있으면서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이야기가 적당하다. 3. 융판동화 제작시 유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① 융판 위에 제시될 그림 자료는 동화의 내용을 파악..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6. 그림동화 16장. 그림동화 1. 그림동화란 무엇인가? 그림동화란 동화에 기초하여 그린 그림들을 이야기 순서대로 정리하여 그림과 함께 들려주는 문학의 전달 매체 중의 하나이다. 2. 그림동화에 적합한 그림책의 선정시 유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① 질 높은 그림책을 선택한다. ② 기승전결의 플롯이 탄탄하고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이야기 전개를 갖추어야 한다. ③ 편견 없는 내용을 선택한다. 정형화된 성역할이나 장애인에 대한 불공정한 태도, 문화적 편견, 공격성 유발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경우는 선택하지 않는다. ④ 필요한 부분을 잘 선택하여 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작품을 선택한다. 3. 낱장식 동화란 무엇인가? 낱장식 동화는 동화의 장면을 몇 장의 낱장 그림으로 그려서 유아들에게 보여줄 때 한 장씩..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5. 구연동화 15. 구연동화 1. 동화구연이란 무엇인가? 구연이란 문서에 의하지 않고 입으로써 연기하는 것을 뜻하는데 동화구연은 말로써 동화를 연출하듯이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구연하기는 이야기가 문자로 기록되어지기 훨씬 전부터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는데 이야기가 기록되면서 구연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되어 갔다. 그러나 여전히 구연하기는 글자를 잘 읽을 수 없는 유아들에게 이야기를 듣는 즐거움을 안겨주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구연에 적합한 동화는 어떤 것인가? 1) 구연에 적합한 동화의 내용 ① 내용이 흥미 있어야 한다. 유아에게 흥미로운 내용은 이야기의 줄거리가 단순하고 등장인물이 소수이며 적당한 반복, 스릴, 유머, 구체적인 행동 등이 있는 이야기이다. ② 유아의 공상, 환상, 상상력에 대한 ..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4. 반응중심 유아문학교육 14장. 반응중심 유아문학교육 1. 반응중심유아문학교육이란 무엇인가? ① 문학에 대한 반응은 1938년에 로젠블렛(L. Rosenblatt)에 의해 ‘독자반응이론’이 처음으로 구체화되었다. ② 독자반응이론의 관점은 독자와 이야기의 텍스트간의 교류를 포함하는데 독자는 텍스트가 제공하는 ‘청사진’에 개인적 경험을 불러내어 문학적 의미를 구성한다고 본다. ③ 문학에 대한 반응은 독자가 글을 재창조하고, 작품 속의 의미를 추출해 내는 내적 활동으로서 옳고 그름이 없고 개인적이며 광범위하다. ④ Rosenblatt(1989)의 반응 유형: - 정보 추출식 반응(efferent response): 독자가 텍스트로부터 정보를 얻을 때 일어나는 반응 - 심미적 반응(aesthetic response): 독자가 이야기를.. 더보기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3. 유아문학이란 무엇인가? 13장. 유아문학이란 무엇인가? 1. 유아문학교육에서 문학에 대한 교육은 무엇이고 어떻게 접근하는 것인가? 좋은 그림책은 그 자체로도 교육적 가치가 충분히 있으나 그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른 교육활동과 연계하기 위해 그 작품에 대해 더 잘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문학에 대한 교육을 하게 되는 데 구체적으로 유아에게 책을 제시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① 경험적 접근법(experience approach): 동화를 읽어 준 후 동화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이야기하고 등장인물과의 동일시를 통하여 유아로 하여금 동화 속의 일을 경험하는 등의 심미적인 감상에 의한 문학적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가령, 이야기를 들려 준 후에 “이 이야기 속의 등장 인물은 어떻게 느꼈을까?..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