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장. 그림동화
1. 그림동화란 무엇인가?
그림동화란 동화에 기초하여 그린 그림들을 이야기 순서대로 정리하여 그림과 함께 들려주는 문학의 전달 매체 중의 하나이다.
2. 그림동화에 적합한 그림책의 선정시 유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① 질 높은 그림책을 선택한다.
② 기승전결의 플롯이 탄탄하고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이야기 전개를 갖추어야 한다.
③ 편견 없는 내용을 선택한다. 정형화된 성역할이나 장애인에 대한 불공정한 태도, 문화적 편견, 공격성 유발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경우는 선택하지 않는다.
④ 필요한 부분을 잘 선택하여 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작품을 선택한다.
3. 낱장식 동화란 무엇인가?
낱장식 동화는 동화의 장면을 몇 장의 낱장 그림으로 그려서 유아들에게 보여줄 때 한 장씩 뒤로 넘기면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그림동화의 한 종류이다.
4. 낱장식 동화를 제작할 때 유의사항은 무엇인가?
① 동화의 내용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을 선택한다. 즉, 도입, 상승, 정점, 하강, 결말에 적합한 내용을 선택한다.
② 선택한 내용을 몇 장의 종이에 그릴 것인지를 정한다. 대상 유아들의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유아의 경우 15장을 넘지 않게 제작한다. 그림을 그릴 종이는 교사의 무릎이나 탁자 위에 세울 수 있도록 두꺼운 종이를 선택한다.
③ 등장인물이 여러 번 나올 경우 유아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 한 인물에 대해서는 같은 색을 사용한다.
④ 그림을 모두 그리게 되면 뒷면에 내용을 적은 종이를 붙이고 순서대로 번호를 적는다. 이 때 유의할 점은 낱장들을 교사가 한꺼번에 들고 한 장씩 넘겨가므로 맨 첫째 장의 내용이 맨 마지막장에 적혀 있어야 한다.
5. 낱장식 동화를 제시할 때 유의사항은 무엇인가?
① 제시하기 전에 낱장식 그림의 순서를 확인한다.
② 낱장식 동화의 높이, 유아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모두 잘 볼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한다.
③ 내용이 점증적인 만큼 어떤 것들이 나오는지 잘 들어 볼 것을 이야기하면서 기대감을 준다.
④ 유아들이 교사의 표정을 볼 수 있도록 얼굴이 가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낱장식 동화를 탁자에 놓고 들려주거나 교사의 무릎에 놓고 이야기해 준다.
⑤ 동화의 내용을 숙지하여 뒷면에 적힌 내용을 참고는 하되 그 내용에 눈을 떼지 않으면서 읽지 말고, 유아들의 눈을 맞추면서 이야기를 들려준다.
⑥ 유아들이 그림을 잘 볼 수 있도록 각 장면을 반원형으로 왼쪽, 중간, 오른쪽에서 잠시 멈추어 보여주면서 진행한다.
⑦ 교사의 목소리는 분명하고 뚜렷하게 하고 진행 속도는 유아의 반응에 따라 융통성 있게 하되 자연스럽게 진행한다.
⑧ 장면 전환이 분명한 이야기이다. 다음 장면으로 넘어갈 때 한 호흡 정도 멈추어 유아들의 주의를 모은다.
⑨ 이야기가 끝난 후 유아들이 다시 한 번 내용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교사는 구연하지 않고 그림만 처음부터 끝까지 보여준다.
6. 움직이는 동화란 무엇인가?
낱장식 동화에 움직임을 주고자 할 경우에 칼집을 내어 등장인물을 뒤에서 움직이는 경우나 자석을 통해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게 만든 그림동화를 말한다.
자석을 통해 움직임을 주고자 하는 경우는 움직이는 부분 뒤에 자석을 붙여 제작하고 뒷면에서 교사가 조금 큰 자석을 움직이면 된다. 일반적으로 교사가 움직이는 뒷면의 자석은 앞면의 자석보다 자력이나 크기가 커야 한다. 그림에 움직임을 주는 경우는 그림 그릴 종이의 장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작이 간편하고 유아들도 생동감 있는 장면을 볼 수 있어서 좋다.
'유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8. 극화활동 (0) | 2022.11.05 |
---|---|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7. 융판동화 (0) | 2022.11.04 |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5. 구연동화 (0) | 2022.11.03 |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4. 반응중심 유아문학교육 (0) | 2022.11.03 |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3. 유아문학이란 무엇인가?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