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구연동화
1. 동화구연이란 무엇인가?
구연이란 문서에 의하지 않고 입으로써 연기하는 것을 뜻하는데 동화구연은 말로써 동화를 연출하듯이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구연하기는 이야기가 문자로 기록되어지기 훨씬 전부터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는데 이야기가 기록되면서 구연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되어 갔다. 그러나 여전히 구연하기는 글자를 잘 읽을 수 없는 유아들에게 이야기를 듣는 즐거움을 안겨주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구연에 적합한 동화는 어떤 것인가?
1) 구연에 적합한 동화의 내용
① 내용이 흥미 있어야 한다.
유아에게 흥미로운 내용은 이야기의 줄거리가 단순하고 등장인물이 소수이며 적당한 반복, 스릴, 유머, 구체적인 행동 등이 있는 이야기이다.
② 유아의 공상, 환상, 상상력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내용으로서 미지의 세계, 경이적인 사건 또는 난장이나 거인들의 세계를 그린 내용이 적합하다.
③ 동화의 내용이 직접적이며 활동성이 있어야 한다. 이야기 전체가 동적인 성격을 가진 이야기가 적합하다.
④ 동화의 내용이 유아의 생활경험과 관련된 것이 좋다. 즉, 유아가 경험할 수 있는 감정을 소재로 한 내용으로서 유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이야기가 적합하다.
2) 구연에 적합한 동화의 구성
① 단순한 구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고, 등장인물의 수는 가능한 적은 것이 적합하다.
② 기승전결의 형식이 적합하다.
③ 점진적인 이야기 구성: 갈수록 흥미를 더해가면서 명쾌하게 대단원으로 끌어가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이야기는 ‘돼지 3형제’, ‘커다란 무’, ‘팬 케이크’ 등이다.
3. 구연에 적합하도록 동화를 개작하기 위해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는가?
① 작품이 지니고 있는 내용의 본질이나 품위를 보존하면서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도록 개작한다.
② 읽는 동화를 듣는 동화로 고친다.
- 설명부분을 대화체로 고친다.
- 접속사를 줄인다.
- 긴 문장을 짧고 리듬감이 있으면서 말하기 쉽게 고친다.
- 의성어, 의태어를 적절히 넣어 생동감을 불어 넣는다.
- 어미 처리를 변화 있게 한다.
- 과장법이나 점층법을 사용하여 흥미를 살린다.
- 어휘의 반복, 사건의 반복 등으로 리듬이 있도록 한다.
③ 유아가 경험하기 쉬운 상황으로서 이해에 용이하게 개작한다.
④ 이야기의 길이를 조정한다.
⑤ 등장인물의 심리묘사를 보다 극적으로 대비되게 한다.
⑥ 비교육적인 부분을 교육적으로 개작한다.
- 교훈의 수단이나 도구로 창조된 동화는 개작되어야 한다. 기계적인 방법으로 교훈을 주는 것은 도덕 교과서이지 동화로서의 가치가 없다. 훌륭한 동화는 동화 전체에 교훈이 스며들어 있다.
- 선인과 악인의 문제에서는 유아도 선과 악을 구별할 수 있도록 동화를 통해 교육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무리하게 악인을 제외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잔인한 악인이나 유아가 모방하기 쉬운 악한 일은 제외되어야 한다.
- 공포심을 유발하는 이야기를 개작한다. 우리나라 전래동화에는 도깨비나 귀신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것을 제외시키면 이야기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깨비나 귀신, 마귀 할멈 등을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나쁜 인물로 인식하도록 유도한다.
- 잔인한 이야기는 제외한다.
- 특정인물에 대한 고정관념을 피한다. 장애자를 나약하게 묘사한다든가 계모와 그의 자녀들을 악인으로 그리는 전형적인 인물 묘사는 개작되어야 한다.
4. 동화 구연은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① 구연을 하기 전에 동화내용에 대해 충분히 알아야 하고 구연에 활용되는 모든 자료가 준비되어야 한다.
② 구연시 사용되는 목소리, 매체나 제스처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고 선정된 매체와 제스처가 동화의 내용 전달에 효과적일 수 있도록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전 연습을 통해 구연가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③ 등장 배역의 성격 설정을 적절히 한다.
- 대사가 있는 등장 역할의 수를 결정한다. 기본적으로 해설자의 대사가 있기 때문에 등장인물에 1을 더한 숫자가 구연자가 맡아야 할 역할의 수가 된다.
- 내용에 맞추어서 성격을 설정하는데 서로 대조적으로 하면 구연시 표현하기에 쉽다. 예를 들면, ‘여우 이모’에서 여우는 날렵한 느낌의 젊은 여성, 늑대는 거친 남성 소리로 설정한다.
- 목소리는 이야기 중 배역의 크기, 나이, 성별, 내용 중 성격 묘사 등을 염두에 두고 소리의 굵기, 높낮이, 맑고 탁함, 여성 또는 남성, 소리의 연령, 가성, 비음 등을 참고해서 설정한다.
- 중요한 것은 전체적인 이야기의 흐름이므로 등장인물이 지나치게 많을 때에는 과감하게 대사를 줄이고, 각 인물의 연기에 너무 집착하지 않도록 한다.
④ 유아들에게 시선을 골고루 주면서 구연한다.
⑤ 제목을 소개하고 약간의 여유를 둔 후 구연을 시작한다.
⑥ 도입부는 여유 있으면서도 탄력 있게 유도한다.
⑦ 호흡할 곳을 적절히 조절한다.
- 성악이나 연극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식호흡에 기초한 소리의 절제, 곧 리듬감 있는 표현이 구연에 생동감을 불어 넣어 준다.
⑧ 모든 대사는 또박또박 힘주어 전달한다.
⑨ 대사의 전 후에 있는 해설 부분은 대사와 구별되도록 한다.
⑩ 표정연기와 제스처를 곁들인다.
⑪ 각 단어의 의미나 문맥의 상황 등을 충분히 살린다.
- 구연자는 구연을 하기 전에 크게는 상황의 변화, 작게는 단어의 느낌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⑫ 불필요한 습관은 버리고 구연을 자연스럽게 한다.
- ‘에 -’, ‘저 -’, ‘응 -’ 등의 불필요한 언어 습관을 고치려면 우선 책을 크게 읽는 연습을 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서 들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유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7. 융판동화 (0) | 2022.11.04 |
---|---|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6. 그림동화 (0) | 2022.11.04 |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4. 반응중심 유아문학교육 (0) | 2022.11.03 |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3. 유아문학이란 무엇인가? (0) | 2022.11.02 |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2. 전래동요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