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문학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4. 반응중심 유아문학교육

728x90
반응형

14장. 반응중심 유아문학교육

1. 반응중심유아문학교육이란 무엇인가?

문학에 대한 반응은 1938년에 로젠블렛(L. Rosenblatt)에 의해 독자반응이론이 처음으로 구체화되었다.

독자반응이론의 관점은 독자와 이야기의 텍스트간의 교류를 포함하는데 독자는 텍스트가 제공하는 청사진에 개인적 경험을 불러내어 문학적 의미를 구성한다고 본다.

문학에 대한 반응은 독자가 글을 재창조하고, 작품 속의 의미를 추출해 내는 내적 활동으로서 옳고 그름이 없고 개인적이며 광범위하다.

Rosenblatt(1989)의 반응 유형:

- 정보 추출식 반응(efferent response): 독자가 텍스트로부터 정보를 얻을 때 일어나는 반응

- 심미적 반응(aesthetic response): 독자가 이야기를 감정적으로나 지적으로 깊이 맛봄으로써 텍스트를 체험할 때 일어나는 반응이다. 심미적 반응은 심미적 감상에 의해 일어나는데 독자가 중심이 되어 읽는 동안 배경과 등장인물의 이미지를 창조하고 읽은 후에도 이야기를 생생하게 경험한다(상상하고, 그림을 그리고, 연상하고, 확장시키고, 가설을 세우고, 회고하는 것 등을 포함).

정보 추출식 반응과 심미적 반응은 서로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2. 반응중심유아문학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유아들에 의한 반응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격려하며 유아로 하여금 반응이 즐거운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는 유아들에게 다양한 책을 제공하고 읽고 탐색할 시간, 듣거나 읽은 책에 대해 이야기하고, 쓰고, 그리고, 극화할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유아들이 감상한 문학 작품을 생활과 관련시키고,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봄으로써 독서를 통해 언어를 배울 수 있도록 돕는다.

유아들이 책을 통해 자신들과 세상에 대해 더욱 많은 것을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환상의 세계에서만 가능한 이야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간접 경험, 시로부터 느끼는 감정, 지식을 전달하는 책을 통한 경험 등을 통해 유아들은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된다.

 

3. 반응중심유아문학교육은 실제로 어떻게 접근하는 것인가?

문학에 대한 반응을 격려하는 것은 유아로 하여금 책을 깊이 이해하고 책의 진가를 알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독서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유아를 위한 책은 다양하기 때문에 유아교육과정의 각 분야에서 포괄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에게 좋은 책을 선택하여 유아교육과정에 통합적 활용을 계획하고 책의 감상에 따른 반응을 격려하는 것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반응은 반드시 관찰할 수 있는 활동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반응이 나올 수 있게 도와주고 궁극적인 목적은 유아로 하여금 문학적 경험을 즐기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응중심유아문학교육의 실제 방법의 예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책의 내용 제시: 유아에게 소리 내어 읽어주기, 구연하기, 책과 관련짓기 등

그림책에 대한 반응활동을 실행: 반응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책의 주제와 관련하여 거미줄 모형으로 활동을 구성한다. 반응활동으로는 언어반응활동(이야기나누기, 쓰기, 토론하기 등), 극화활동, 미술활동, 음악, 동작활동 등이다.

 

4. 문학에 대한 유아의 반응 연구는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Applebee(1978): 문학에 대한 태도나 반응이 나이에 따라 다르게 발달된다고 보고 인지 발달 단계와 관련지워 그 특성을 기술

Jalongo(1988): 문학에 대한 유아들의 신체적 반응, 주의 집중 반응, 말로 나타내는 반응, 예술적 반응, 비판적 언급 등의 반응을 분류

PurvesMonson(1984):

- 정서적 반응: 이야기를 읽거나 들을 때 유아의 몸 동작이나 얼굴 표정에 나타나는 개인적인 반응

- 해석적 반응: 문학의 형식이나 이야기의 전후를 추론해보거나 인물의 특성과 배경이나 동기 등을 추론

- 문학적 판단 및 비판적 반응: 문학적 질이나 등장인물, 언어, 스타일 등에 대한 반응

- 평가적 반응 및 규정적 판단: 유아에게서 자주 나타나지 않지만 절대적인 기준에 근거해서 등장인물이 행동해야 할 방향에 대해 반응

Janet Hickman(1992): 유아들의 이야기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을 관찰

- 5세경의 유아들은 손뼉치기, 움직이기, 고함지르기 등 신체를 이용하여 반응하였고, 조금 나이가 많은 유아들은 이야기에서 다음에 일어날 일을 예상하거나, 긴장과 안도의 분명한 표시를 보이면서 플롯에 초점을 맞춘다. 9-10세 어린이들은 의미나 작가의 스타일에 대해 자유롭게 토의하였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