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가족생활교육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5. 성교육의 이해 55. 성교육의 이해 1) 성교육의 개념 및 목적 ⑴ 성교육의 개념 ∙ Darling & Hollon(2003) : 성에 대한 태도와 가치와 신념을 형성하고 정보를 얻음으로써 성적 건강을 위한 강력한 기초를 만드는 전생애 과정 동안의 학습. ∙ Hoyman(1974) : 전인적 성장을 위한 교육의 한 분야이며, 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건전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건전한 인간양육과 인간존중의 정신을 바탕으로 인격형성 및 전인적 발달을 돕는 교육의 일부분. ⑵ 성교육의 필요성 ∙ 체계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성에 대한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고 있으며, 성지식이 비공식적인 통로(예를 들면 ..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4. 노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54. 노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1) 유민지, & 이기숙. (2002). 노년기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노년학, 21, 91-109. ⑴ 목적 및 하위목표 ∙ 목적 : 노인들과 그의 가족과의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 ∙ 하위목표 ① 프로그램 참여 의의를 알고, 자기소개를 통해 친밀감을 가질 수 있다. ② 노년기 부부관계의 중요성을 알고, 부부관계 회상을 통해 올바른 부부관계를 정립할 수 있다. ③ 성인자녀의 세대와 입장을 이해하고, 성인자녀와의 원만한 관계 향상을 위해 노력할 수 있다. ④ 손자녀 세대를 이해하며, 좋은 조부모가 될..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3. 노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53. 노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1) 노인의 이해 ⑴ 노인과 노년기 ∙ 표준국어대사전 :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 ∙ 국제노년학회(1951) : 인간의 노령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 및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형태의 과정에 있는 사람 - 환경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자체조직에서 결핍이 있는 사람 - 자신을 통합하려는 능력이 감퇴되어 가는 시기에 있는 사람 - 인체기관, 조직기능 등에 있어서 감퇴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는 사람 - 생활자체의 적응이 정신적으로 결손 되어 가고 있는 사람 - 인체의 조직 및 기능저장의 소모로 적응이 감퇴되어 가는 시..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2. 중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52. 중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1) 중년기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예 ∙ 김영자. (1999). 중년기 부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① 목적 - 중년기의 발달 특성을 알고, 현상적으로 보이는 변화를 통해 자신을 발견하게 한다. - 중년기에 나타나는 위기의 현상들을 알고 이해한다. -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과 높은 자존감으로 자신을 사랑하고 배우자를 사랑하며, 가족과 이웃을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 한다. - 중년기 위기에 대한 구체적인 극복 및 대처 방안을 모색케 함으로써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모색케 한다. - 부부와의 대화, 성에 대..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1. 중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51. 중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1) 중년기의 이해 ⑴ 중년기의 정의 ∙ Borland(1978) : 연령과 관계없이 막내자녀의 독립으로부터 은퇴까지 ∙ 두산백과 : 노년기가 시작되기 직전 인간의 성인 단계. 일반적으로 약 40~60세까지. ∙ 가족주기를 기준으로 ‘마지막 자녀가 독립하면서부터 시작하여 배우자 중 한 명이 은퇴를 하거나 사망하기까지의 기간’ ⑵ 중년기의 범위 ∙ Sigelman(1999) : 40~60세   Specht & Craig(1987) : 40~70세   Zastrow & Kirst-Ashman(1987) : 30~65세 ∙ Duvall(1985) : - 이 시기의 자녀는 심리적·물리적..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0. 맞벌이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50. 맞벌이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1) 맞벌이 가족의 개념 ∙ 조추용 등(2009)은 ‘맞벌이가족’이라는 용어에서는 가정의 경제적 필요성에 중심을 두는 이미지가 있고, ‘취업부부가족’이라는 용어는 이 가족의 가장 큰 문제로 꼽을 수 있는 자녀양육부분의 이미지가 없으므로 ‘취업부모가족’이라는 용어로 정의내림. 하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맞벌이가족’이라는 용어가 학습자들에게 익숙하므로 본 수업에는 ‘맞벌이가족’을 사용함. ∙ 남편과 아내가 동시에 직업을 가짐으로써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인 지위를 갖게 되며, 가정경제에 기여함으로써 자아만족과 행복감을 경험하는 가족형태를 말함. ..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9.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49.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1)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⑴ 다문화가족이란? ∙ 한국에 유입되는 대표적인 이주민 집단으로는 크게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음. ∙ ‘다문화가족’이라 함은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라 넓은 의미로는 외국인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 자녀,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을 모두 포함하고, 좁은 의미로는 한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하여 구성한 가족을 의미함. ⑵ 다문화가족의 유형  다문화가족의 유형 ∙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정의) 1. "다문화가족"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가족을 말한다. 가.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더보기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8. 이혼 및 재혼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48. 이혼 및 재혼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1) 이혼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⑴ 이혼의 개념 ∙ 법률상으로 완전 유효하게 성립된 혼인을 결혼당사자들이 모두 생존한 동안에 그 결혼관계를 협의 또는 재판상의 절차를 거쳐 소멸시키는 것 ∙ 이혼가족이란 : 이혼으로 인하여 새롭게 구성된 가족으로 이혼 전의 가족에 비해 축소된 형태의 가족을 의미한다. 이혼가족은 재혼을 하지 않고 독신으로 남는다면 독신가구로, 재혼을 한다면 재혼가구로, 자녀들을 키우며 재혼을 하지 않는다면 모자(母⼦)가족 또는 부자(⽗⼦)가족 형태의 한부모가족 등으로 재구성됨. ⑵ 이혼가족교육의 정의 ∙ 이혼을 준비하는 부부, 이혼 과정..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