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84강. 하이브리드 구조 및 특징 2 84강. 하이브리드 구조 및 특징 2 마. 구동모터의 상세 구조 ① 리어 플레이트 & 레졸버 엔진 블록과 모터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 회전자(로우터)의 위치 및 속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레졸버(Resolver) 센서가 장착된다. ② 모터 하우징 엔진과 무단변속기 사이에 장착되며, 모터 고정자와 회전자 등 모터 구동 관련 부 품들이 내장되어 있다. ③ 고정자 어셈블리 3상의 계자 코일이 Y-결선 형태로 감겨져 있으며, 각 상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회전자 구동을 위한 호전 자계가 만들어지는 부위이다. ④ 회전자 어셈블리 영구 자석이 내장된 로우터이며, 모터 고정자에 형성된 회전 자계에 의해 발생된 회전 토오크를 변속기 입력 축으로 전달한다. * 모터의 출력 특성(YF 소나타의 예) 바. 기동..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83강. 하이브리드 구조 및 특징 1 83강. 하이브리드 구조 및 특징 1 가. 구동모터의 역할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모터는 주 동력원인 엔진과 무단변속기(CVT) 사이에 장착되 어, 엔진 시동 및 발진, 가속 시 엔진의 동력을 보조하는 역할과 차량 감속 또는 제동 시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발전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구동모터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진가속 시와 완만한 가속 시에는 모터가 구동 된다. 그러나 가속이나 급가속 시에는 엔진이 함께 작동하고, 고속 정속 시나 감속 시에 는 엔진이 구동되거나 정지하며 발전을 하게 된다. 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장치 아래 그림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모터 고정자 는 엔진과 무단 변속기 하우징에 체결되고 실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회전자 즉, ..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82강. 하이브리드 구동모터의 개요 및 작동원리 82강. 하이브리드 구동모터의 개요 및 작동원리 1.개요 및 작동원리 하이브리드자동차에서는 주 동력원인 엔진의 출력을 보조하는 보조 동력원으로, 연 료전지 차량에서는 엔진을 대체할 수 있는 주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등, 친환경 자동차 의 전기 동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부품이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모터의 경 우 AC(교류)의 높은 전압으로 동작하는 고출력 영구자석 형 동기 모터로 엔진 시동제어 와 발진 및 가속 시 엔진의 동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모터의 작동원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설명되는데, 자기장 내의 도체에 전류 를 흘려주면 도체와 자기장 모두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전자기적인 힘(전자력)이 발생된다. 회전형 모터는 이 전자력을 이용해 자기장내의 도체(회전자)에 회전형 토크 를..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81강.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구조 81강.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구조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배출가스 저감의 목적과 더불어 연비를 증대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배출가스저감 및 연비향상을 위한 신기술을 엔진본체에 적용하게 되며 가솔린이 나 디젤엔진, LPG엔진등이 사용되며, 기존의 엔진과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가. 엔진제어시스템 (1) 엔진컨트롤 모듈(ECM : engine control module) 엔진을 제어하는 장치는 일반 제어장치와 거의 비슷하다. 엔진제어 컨트롤모듈(ECM) 로 각종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데, 공기유량센서(AFS) 신호, 흡기온도 센서(ATS) 신호 냉각수온 센서(WTS) 신호, 스로틀위치 센서(TPS) 신호, 그랭크 위치센서(CKP) 신호, 캠 위치센서(CMP) 신호, 산소센서 신호, 노크센서 신호, 자동차 속도..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80강.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모드 80강.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모드 가. 개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모드는 시동, 발진, 가속, 정속, 감속, 정지의 형태로 엔 진에 모터의 동력을 같이 사용함으로서 각 주행모드별로 엔진과 모터의 작동이 차이가 나며, 이러한 현상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차량 성능 향상에 중요한 영항을 미친다. 또 하이브리드 자동차 계기판의 경우 주행하면서 운전자에게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드별 작동을 알려주고 있다. 계기판의 Charge(충전)로 눈금 표시가 되는 경우는 불필요한 동력을 모터가 발전 제 어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이며, 계기판에 Assist(모터작동)로 눈금표시가 될 경우 모터가 엔진을 도와 차량성능을 향상시키는 상태이다. 배터리 표시는 구동 중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며, 충전상태는 차량 운행 ..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79강.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구성 79강.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구성 가. 하이브리드자동차의 동력 특성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 + 고출력 전기 모터와 무단변속기로 구성을 하고 있 다. 이렇게 고출력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엔진동력을 도와주므로 모터의 구동을 위해 전 기 에너지를 구동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고전압 배터리, 모터 제어기(motor controller)와 같은 부품이 장착된다. 또한 저연비 고효율 자동차를 실현하기위해 전기 모터 방식의 파워스티어링의 적용과 고전압 배터리의 충·방전 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 기 위한 별도의 쿨링시스템을 구성하며 차량 밀림방지시스템이 추가적으로 적용된다. 배터리 컨트롤 유닛(battery control unit)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상태, 배터리 전동팬 등의 상태를 하이브리드 자동..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78강.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방식 78강.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방식 가.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개요 (1)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하이브리드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두 가지 기능이나 역할이 하나로 합쳐진다라는 뜻 을 가지고 있으며, 요즘시대에서 많은 분야에서 하이브리드의 말이 사용되고 있다. 예 를 들어 태양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목적으로 집광형 태양전지나 태양 열 컬렉터를 결 합시킨 해 광열 하이브리드 발전등 여러 분야에 하이브리드라고 하는 말이 사용되고 있 으며, 하이브리드 자동차도 이와 같이 시대에서 여러 형태로 발전되고 있는 환경의 변 화의 경우 일 것이다. (2)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성 개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주동력원인 전기배터리에 보조동력장치(일반적으로 내연기관) 를 조합, 연결하여 운행되는 자동차이다. 이 자동차는 축전지만으로..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77강.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적용배경 77강.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적용배경 최근 산업조사 전문기관인 데이코 산업연구소가 발표한 ‘미래형자동차 시장동향과 전 망’에 따르면 휘발유와 경유를 축으로 하는 내연기관 자동차는 2015년경을 정점으로 감 소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했 다. 이에 따라 오는 2025년 하이브리드 차의 판매는 전 세계 자동차 판매 대수의 58%인 5천만대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며, 수소연료전지 차는 2020년부터 성장기가 시작되 어 2040년에 전 세계 자동차 판매의 90%(약 8천만대)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자동차메이커들은 수소연료전지, 바이오디젤, 태양광, 전기 등 석유 대 체 에너지를 적용한 차세대 연료 자동차들을 개발, 모터쇼 등을 통해 세계의..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