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식생활 평가
<목차>
1. 식생활 평가의 이유 및 활용
2. 식생활 평가를 위한 조사방법
3. 식생활 평가의 실제
4. 국민건강영양조사
1. 식생활 평가의 이유 및 활용
1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의 산출과 평가
✚ 식이의 측정
• 개인이 하루 동안 어떤 식품을 얼마나먹었는지를 수치로 표현한 것
• 개인 또는 집단의 섭취량을 산출하고 그 섭취량의 적절성을 평가하는데 활용
• 정부의 정책 수립 및 평가에 활용
✚ 영양소별 섭취기준 미만 섭취자 분율
(2015국민건강영양조사 기준)
• 칼슘 70.2%
• 비타민 C 58.2%
• 비타민 A 44.6%
• 리보플라빈 38.3%

2) 정부의 정책 수립 및 평가
✚ 사례) 당류 저감화 정책
• 우리나라 평균 총 당류 섭취량
일일 열량 섭취량의 14.7%
가공식품으로부터 섭취량 8.9%
• 가공식품으로부터의 당류섭취
총 열량 10% 이상 섭취자 vs 미만 섭취자
비만 39%, 고혈압 66% 발병률증가
• 국가 수준에서 저감화해야 할 필요성 제기
2. 식생활 평가를 위한 조사방법
0 조사 방법의 구분
*일별 조사방법
특정일 조사
24시간 회상법
식사기록법.
*장기간 조사방법
특정 기간 조사
식품섭취빈도조사법
1) 24시간 회상법, 식사기록법
✚ 24시간 회상법
• 숙련된 조사원이 대상자가 하루 전날 섭취한 모든 식품의 종류와 양을 기억하도록 하여 조사
• 우리나라와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활용
• 장점
소요시간이 비교적 짧음
실제 대상자가 섭취한 모든 음식 및 식품을 조사할 수 있는 개방형 형태의 조사
• 단점
개인의 섭취량은 매일 달라지므로 반복된 조사 필수적
✚ 식사기록법
• 대상자가 스스로 하루 동안 섭취하는 모든 식품을 기록
•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 자주 쓰임
• 최근 컴퓨터나 모바일기기를 통해 스스로 섭취한 식품을 기록하는 방법이 보편화 되고 있음
2) 식품섭취빈도조사법
✚ 식품섭취빈도조사법
• 장기간에 걸친 평균적 식사 섭취에 초점
• 식품목록과 빈도응답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
• 100여 개 내외의 식품을 대상으로 조사 진행
• 장점: 반복적인 조사가 필요하지 않음
• 단점: 대상자가 섭취한 모든 식품을 조사하기 어려움

3) 영양소 섭취량의 환산방법
✚ 식이섭취조사 및 평가과정

✚ 음식성분표
• 해당 음식 성분이 이미 분석되어 있는 경우
예) 배추김치
• 음식별 섭취량만 안다면 바로 해당 음식으로부터의
영양소 섭취량 계산 가능
✚ 식품성분표
• 섭취한 음식 성분이 분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음식의 레시피 자료를 바탕으로
식품재료로 분리하는 작업 필요
예) 비빔밥, 찌개 등
• 식품성분표에 수록된 각 식품재료의
영양소 섭취량을 합산하여 산출
3. 식생활 평가의 실제
0 영양소 섭취기준의 활용

✚ 1차 목표
현재 식사 섭취의 적절성 판정
✚ 2차 목표
섭취가 부족/과잉되지 않도록 적절한 식사 계획
1 식사판정
✚ 식사판정
• 개인이나 집단의 섭취량과 영양소 섭취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수행
• 가능한 한 장기간의 섭취량을 조사한 후
이를 평균한 일상 섭취량으로 비교하는 것이 적절
✚ 개인의 식사판정
• 섭취량 < 평균필요량
섭취량 증가 필요성이 매우 큼
• 평균필요량<섭취량<권장섭취량
섭취량 증가 필요성 있음
• 권장섭취량 < 섭취량
섭취량이 적절할 가능성이 매우 큼

✚ 충분섭취량을 이용한 개인의 식사판정
• 충분섭취량 < 섭취량
→ 섭취수준이 적절할 가능성이 높음
✚ 상한섭취량을 이용한 개인의 식사판정
• 상한섭취량 < 섭취량
→ 과잉섭취에 따른 위험도가 높음
✚ 집단의 식사판정
• 권장섭취량은 사용하지 않고 평균필요량을 활용
• 목적: 집단 구성원 중 부적절하게
섭취하는 구성원의 비율을 구하는 것
✚ 평균필요량을 이용한 집단의 식사판정

2 식사계획
✚ 식사계획
• 영양소 섭취가 부족하거나 과잉되지 않도록 균형 있는 식사를 계획하는 것
• 개인의 식사계획: 특정 개인의 섭취량이 권장섭취량이나 충분섭취량에 근접하게 섭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집단의 식사계획: 평균필요량을 기준으로
그보다 적게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개인/집단의 식사계획

4. 국민건강영양조사
1) 조사목적 및 조사대상
✚ 조사 목적
• 국민의 건강 및 영양상태 파악
• 보건 정책 및 사업 평가를 위한 통계 산출
• 세계보건기구(WHO)/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서 요청하는
흡연, 음주, 신체활동, 비만 관련 통계자료 제공
✚ 조사 대상
•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1세 이상의 국민
• 연간 192개 조사구(3년간 576개 조사구) 추출
• 조사구 당 20여개 표본가구 선정
→ 연간 약 3000가구의 조사결과 확보
2 조사체계 및 방법
✚ 조사체계

✚ 조사방법
• 매주(연 48주) 4개 지역(연 192개 지역)을
이동검진차량으로 직접 방문하여 조사 수행
• 한 지역(조사구)마다 3일간 조사
이동검진차량에서는 검진 및 건강설문조사 실시
• 검진조사와 건강설문조사에 참여한 경우,
조사 1주일 후 영양조사원이 조사대상자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영양조사 실시

3 조사내용
✚ 조사내용
(1) 검진조사
• 만성질환 유병자 규모 및 질병의 관리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
• 신체계측, 비만,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간기능, 만성콩팥병,
빈혈, 중금속, 폐쇄성 폐질환, 치아우식증 등검진조사
건강설ㄱ문조사
(2) 건강설문조사
• 전문조사원 면접조사와 대상자가 스스로 작성하는 조사로 분류
• 가구조사, 흡연, 음주, 이환, 의료이용, 활동제한 및 삶의 질, 손상(사고 및
중독), 안전의식, 정신건강, 여성건강, 교육 및 경제 활동 등
(3) 영양조사
•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영양취약집단 및 영양문제 우선순위 파악, 질
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영양관리 방안 마련 등을 위해 실시
• 식품 및 영양소 섭취현황, 식생활형태, 식이보충제, 영양지식,
식품안정성, 수유현황, 이유보충식, 식품섭취빈도 등의 항목으로 구
성
• 식품 및 영양소 섭취현황은 1회의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실시, 식품
섭취빈도는 약 100여 개 항목의 식품섭취빈도조사지 활용
■ 정리하기
1. 식생활을 평가하려면 식이의 측정이 필수적인데, 식이를 측정한다는 것은 한 개인이
하루 동안 어떤 식품을 얼마나 먹었는지를 수치로 표현해 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산출한 식품의 섭취량은 식생활과 건강 간의 관계를 탐구할 때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2. 식이를 측정할 수 있는 조사방법은 크게 개인이 지난 며칠 동안 섭취한 식품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는 일별 조사방법(24시간 회상법, 식사기록법)과 특정 기간 동안의 식품섭
취 패턴을 조사하는 장기간 조사방법(식품섭취빈도조사법) 두 가지로 분류된다.
3. 식사판정은 개인이나 집단의 섭취량과 영양소 섭취기준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지며, 식
사계획은 미래의 영양소 섭취가 부족하거나 과잉되지 않도록 균형 있는 식사를 계획하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목적은 국민의 건강 및 영양상태에 관한 현황 및 추이를 파악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건강취약집단을 선별하고, 보건 정책과 사업이 효과적으
로 전달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필요한 통계를 산출하는 것이다.
5.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영양조사는 식품 및 영양소 섭취현황, 식생활형태, 식이보충제, 영
영지식, 식품안정성, 수유현황, 이유보충식, 식품섭취빈도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식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정보, 영양사, 식품기사, 조리사, 식품위생직 공무원 대비 8. 비만과 생활습관병 (0) | 2021.05.24 |
---|---|
건강정보, 영양사, 식품기사, 조리사, 식품위생직 공무원 대비 7. 음주, 카페인, 흡연과 건강 (0) | 2021.05.23 |
건강정보, 영양사, 식품기사, 조리사, 식품위생직 대비 5. 건강한 식생활 (0) | 2021.05.21 |
건강정보, 영양사, 식품기사, 조리사, 식품위생직 대비 4. 식물성 식품과 건강 (2) (1) | 2021.05.20 |
건강정보, 영양사, 식품기사, 조리사, 식품위생직 대비 3. 영양소의 이해 (2) 및 식물성 식품과 건강 (0) | 2021.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