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학습의 개념과 이론의 발전단계
1. 학습의 개념
1) 학습(Learning)
■ 연습이나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비교적 영구적인 행동의 변화
⇒ 태어나면서부터 줄곧 일상생활 속에서 겪음
2) 학습의 특성
■ 학습은 행동과 관련된 것이다.
-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가 직접적이지 않아, 행동을 직접 통제하고 측정하는 것이 효과적임
■ 학습은 변화를 수반한다.
- 변화는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음
- 행동의 변화뿐만 아니라 행동 잠재력의 변화까지 포함
성격, 판단, 태도, 동기, 의도의 변화까지 포함
■ 학습은 행동과 함께 행동 잠재력의 변화까지 포함함
■ 학습은 경험이나 연습을 통해서 일어남
- 신체 성장에 의한 행동변화는 학습이 아님
■ 학습에 의한 변화는 지속적이어야 함
- 일시적인 행동변화는 자극에 의한 반응일 뿐임
2. 사회적 지각과 지각 오류
1)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1) 고전적 조건화의 연구
■ 러시아 생리학자 Pavlov가 연구
■ Pavlov의 개 종소리 실험
(2) Pavlov의 개 종소리 실험 과정
(3) 고전적 조건화의 한계
■ 기본적으로 비자발적이고 자동적인 특성을 갖는 반사적 행동에 초점을 둠
■ 더 복잡하고 다양한 행동들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능함
2)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 반응 강화로 반응 확률이 증가함
- 자극 : 인간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행동적 반응이 뒤따르는 환경적 상황
- 반응 : 자극에 따른 모든 관찰 가능한 반응
- 결과 : 조작 반응에 뒤따르는 모든 관찰 가능한 환경적 사건
■ 조작적 조건화의 예
(1)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 스키너 상자 안에 지렛대가 하나 들어 있음
■ 지렛대가 먹이통과 연결되어 있어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도록 고안됨
■ 흰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은 먹이에 의해 강화
(2) 실험순서
(3) Skinner의 쥐 상장 실험 요약
(4) 조작적 조건화 요약
■ 조작적 행동을 하는 중요한 이유는 원하는 결과임
■ 조작적 행동은 의식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환경과 교류하면서 학습되는 행동
(5) 고전적 학습과 조작적 조건화
3)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
(1) 사회적 학습의 개요
■ Bandura는 인간의 인지적·정신적 과정이 환경에 대한 반응형태를 결정한다고 주장함
■ 개인의 인지구조가 학습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개인의 학습효과에도 차이가 발생함
■ Bandura는 환경 자극 없이 즉, 직접적인 경험 없이도 인지과정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다
고 주장하였음
■ 행동을 개인적 결정요인과 환경적 결정요인의 연속적 상호작용으로 간주함
■ 조작적 학습이론을 기본으로 인간의 인지의 개념을 도입하여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
■ 사회적 학습에서는 대리적, 상징적, 자기규제적 과정을 통하여 인간의 행동을 설명
(2) 대리적, 상징적, 자기규제적 과정
■ 대리적(Vicarious): 대리학습, 관찰학습
- 모델의 시범을 관찰하여 학습함
- 어떤 상황에 직면했을 때, 유사한 상황의 대처를 시도함
■ 상징적(Symbolic)
- 환경에 반응하는 상징물을 사용함
- 상징물을 이용해 시각적 경험을 처리하고 기억하여 행동함
- 과거의 경험을 통해 결과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방안을 선택함
■ 자기규제적(Self-Regulatory)
- 환경적 자극을 조정하여 자신을 통제함
- 성취를 이루었을 때 자기만족이나 구체적 보상으로 성과 달성의 욕구를 자극함
4) 조직행동 수정(Organizational Behavior Modification)
■ 조작적 조건화의 개념 또는 강화이론을 체계적, 대규모적으로 도입하여 조직구성원들을 학습
시키고 강화시키는 것
(1) 조직행동 수정의 근거
■ 개인은 기본적으로 수동적 반응을 보임
⇒ 개인의 반응은 환경자극에 의함
■ 행동 자체, 특히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둠
■ 항구적인 변화가 강화의 결과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함
(2) 조직행동 5단계
① 중심 행동의 규정
- 중심 행동을 파악하고 적합한 행동을 규정함
- 관찰·측정 가능한 행동만을 포함
② 중심 행동의 관찰과 측정
- 중심행동의 객관적 빈도를 측정함
- 개입 전략 수행 후 변화의 정도를 비교 확인함
- 행동 측정에는 ‘예, 아니오’ 양식의 기록 용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
③ 중심 행동에 대한 원인분석
- 기능분석 : 어떤 행동의 원인과 결과 분석
- 행동의 결과라는 조작적 조건화가 기초
④ 개입전략의 개발과 적용
- 실행 이전의 3단계로 변화 전략을 개발·적용
- 목적
⇒ 바람직한 행동의 강화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약화
⑤ 성과 개선의 확인과 평가
- 계획 실시 전후의 변화에 대한 성과를 확인하고 평가함
- 구성원과 조직 효과성에 대한 평가
'인간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18. 태도 (1) | 2024.08.22 |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17. 행동변화전략 (1) | 2024.08.21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15. 사회적 지각과 지각 오류 (1) | 2024.08.19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14. 지각의 개념과 과정 (1) | 2024.08.18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13. 가치관의 유형 (1)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