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론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15. 사회적 지각과 지각 오류

728x90
반응형

15. 사회적 지각과 지각 오류

 

1)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1) 사회적 지각
개인이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정보를 결합하고 통합하며 해석하는 것


(2) 특징
■  타인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침

(3) 귀인이론의 전제
■  사람들은 어떠한 행동에 대한 원인을 추론하고자 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음
■  귀인(歸因, Attribution) : 자신 혹은 타인의 행동에 대한 원인과 결과를 밝히는 것

 

(4) 내적요인과 외적요인

 

■  사람의 행동 원인은 내적요인 혹은 외적요인으로 귀인함


(5) Kelly의 귀인이론
■  행동에 대한 귀인에 있어 내적, 외적 요인의 개념을 발전시킨 이론
■  행동 귀인에 대한 3가지 요소
- 합의성 : 한 사건의 결과를 다른 사람이 얻은 결과와 비교하여 귀인하려는 경향
- 특이성 : 한 사건의 결과를 비슷한 다른 사건의 결과와 비교하여 귀인하려는 경향
- 일관성 : 한 사건의 결과를 과거 역사와 비교하여 귀인하려는 경향
■ 사례 : 대학생 ‘영희’의 낮은 기말고사
- 합의성 : 영희만 기말고사를 못 보았나?
- 특이성 : 다른 과목들 중 인간관계론만 시험을 못 보았나?
- 일관성 : 영희의 인간관계론 점수는 이번 기말에만 낮은가?


■  Kelly의 귀인이론 정리

 

 

2) 행위자-관찰자에 따른 귀인이론


■  귀인의 유형은 행동 결과의 좋고 나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행동의 주체가 자신인가 타인인가에 따라 행동결과에 대한 귀인에 차이가 있음
- 예시 :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  타인과 자신에 대한 귀인 반응의 차이

3) 지각의 오류


(1) 범위제한의 오류
■  관대화 경향(Leniency Tendency)
- 개인을 평가할 때 가급적이면 긍정적으로 관대하게 평가하여 평가결과의 분포가 편중되게
되는 경향
■  가혹화 경향(Harsh Tendency)
- 개인을 가혹하게 평가하여 평가결과의 분포가 아래로 편중되게 하는 경향
■  중심화 경향(Central Tendency)


(2) 후광효과(Halo Effect)
■  현혹효과
■  지각대상의 어느 한 특성을 중심으로 대상 전체를 평가하는 오류
- 예시 : 신문인데 설마 거짓 정보를 보도하겠어?


(3) 유사효과(Similar-to-Me Effect)
■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을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오류
- 예시 : 입사 면접 시 면접관이 같은 학교 출신에게 후한 평가를 내리는 경우


(4) 대조효과(Contrast Effect)
■  지각자가 시간적으로 이전의 것, 공간적으로 바로 옆의 것과 대조하여 현재의 대상을 지각
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
- 예시 : A와 B 두 명이 면접을 볼 때 A 면접자가 버벅거릴수록 보통수준의 B가 더 훌륭하게
지각되는 현상


(5) 최근효과(Recency Effect)
■  자신이 얻은 가장 최근의 정보를 중시해 지각대상을 평가하는 것
- 예시 : 중간고사보다 더 최근에 시험 본 기말고사에 근거하여 성적을 산출하는 경우


(6) 투영효과(Projection)
■  투사효과
■  자기 자신이 갖는 감정이나 특성을 다른 사람에게 투영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지각의 착오
- 예시 : 내가 우울한 날에 때마침 비가 오면, ‘아~ 하늘도 울고 있구나!’라고 생각함

 

(7) 자기방어(Self Defense)
■  불쾌한 감정이나 이전의 고정관념과 흐름을 달리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이를
회피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고 방어하는 경향


(8) 인상(Impression)
■  타인을 평가할 때 처음에 받은 첫인상이 평가의 70%이상을 차지함
■  첫인상과 다른 정보가 추가되어도 재고하지 않고 자신의 기존 인상에만 치중하여 지각하
는 오류


(9) 스테레오 타입(Stereotyping)
■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볼 때 그들이 속한 집단 또는 범주에 대한 자신의 지각범주를 기준
으로 지각해 지각대상에 대한 부정확한 지각을 하게 되는 오류
■  특징
- 개인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속한 집단을 통해 범주화 혹은 집단화시킴


(10) 자성적 예언(Pygmalion Effect)
■  사람이나 사물의 특성 또는 사건의 발생에 대해 개인이 미리 가진 기대를 바탕으로 무비
판적으로 사실을 지각하는 오류
■  자신의 기대에 따라 기대한 바를 찾아 내거나 만들어 내는 경향


4) 지각의 오류를 줄이는 방법


(1) 의식적 정보처리 (Conscious Information Processing)
■  지각 과정에서 사실을 의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지각의 오류를 줄이고 지각을 정확하게
하는 것


(2) 객관성 테스트(Reality Testing)
■  지각해석을 다른 측정치와 비교하여 자신의 지각해석이 정확한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
는 방법
■  동일 지각 대상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정치와 비교함으로써 오류를 줄일 수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