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인간관계론의 태동과 발전과정
1)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1) 배경
■ 테일러 (Taylor)
- 18세기 말 산업혁명을 통해 농업중심사회에서 공업사회로의 이행을 촉진
- 소유경영자들의 기본적 관심은 생산을 증가시키는 데 있음
(2) 과학적 관리법의 특징
■ 최적화
- 시간 및 동작연구
- 계산적 및 시간절약 수단
■ 표준화 및 통제
- 기능적 직장제도
- 공구나 기구 등의 표준화
- 작업 지시서
- 기획부문
■ 동기부여
- 과업관념
- 차별적 성과급 제도
(3) Taylor System
(4) 자동차 생산과 과학적 관리(Ford)
■ 3S 관리
- Simplification : 작업결과물 단순화
예시)타이어, 앞문, 연료탱크
- Specialization : 개인은 한 가지 일만 하는 것
- Standardization : 작업부품, 도구, 작업방법 통일, 표준
■ 결과
- 1903년 10$주식이 16년 후 25만달러1년에 60배씩 상승
- 1908에서 1928년 사이 매년 생산 판매량 2배씩 증가
- 지구상 움직이는 자동차의 50%
- 2천명의 소도시에도 대리점 입점
2) 오웬의 인간적 경영
(1) 배경
■ 공장노동자들을 기계나 설비 같은 도구로만 취급
■ 조직에서 사람의 중요성을 인식한 최초의 경영자 중 한 명
■ ‘인사관리의 아버지’로 불림
(2) 인간적 경영
■ 유아들을 위한 교육
■ 모든 노동자들에게 주택과 음식, 의복 제공
■ 노동자 의무교육
■ 기업의 사회사업
■ 노동시간 제한
3) 메이요의 인간관계론
(1) 배경
■ 메이요(Mayo)
- 과학적 관리의 비판
- Fordism 비판
① 테일러 시스템의 과업관리나 플로우 시스템의 인간의 기계장치화 비난
② 종업원의 인간적 욕구를 무시하고 억압
③ 노동자와 경영자 간의 마찰을 불러일으킴
(2) 호손연구
■ 초기 연구 목적
- 생산성 향상을 위해 호손공장에서 실험을 실시
■ 실험 내용
- 조명실험(1924.11~1927.04)
∘ 조명도 등이 생산성 향상과 관련 있는지를 실험했지만
∘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짐
- 릴레이 조립실험(1927.04~1929.06)
∘ 작업시간 단축, 간식 제공, 임금제도 개선 등이 생산성 향상과
∘ 관련 있는지를 실험했지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짐
- 면접실험(1928.09~1930.05)
∘ 근로자의 불만에 대한 면접조사를 통해 물리적 조건이 아닌
∘ 심리적 조건이 생산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짐
- 배선작업 관찰실험(1931.11~1932.05)
∘ 인간의 심리와 감정, 비공식 집단의 중요성 대두
■ 연구 진행
- 1924년 ~ 1927년
∘ 시카고 인근 웨스턴일렉트릭사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한 조명단계와 생산성 간의 관
계 연구
∘ 예상치 않은 결과로 인해 연구 중단
- 1927년
∘ 하버드 대학의 엘트 메이요 팀에 협조 요청
- 1927년 ~ 1932년
∘ 1932년까지 작업 내용, 근무요일, 휴식시간, 급료 등의 영향 요인의 변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 연구 결과
- 생산성 향상은 권한 체계나 정해진 규칙의 준수가 아님
- 동료와의 비공식적인 관계, 작업집단 내의 분위기, 조직 내 비공식집단과 규범 등 인
간관계의 영향력 규명
- 호손연구를 계기로 사람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어 인간관계운동으로 이어짐
(3) 인간관계운동 및 인간관계학파
■ 호손연구를 계기로 사람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어 인간관계운동으로 이어짐
- 비공식집단
- 감정적 욕구
- 사회적 · 인간적 관계
- 자율권 및 참여
(4) 인간관의 변화
① 경제인으로서의 인간
■ 기계적 인간관
- 노동자들이 근본적으로 어리석으며 게으르고 뻔뻔스러운 사람들이기에 물질적인 동
기가 주어지지 않으면 일을 열심히 하지 않는다는 인간관
- 테일러리즘 : 기계적 인간관에 근거하여 조직의 효율, 능률,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
한 시간과 동작연구를 토대로 과학적 노동을 발전 시키는 데 공헌
- 분업의 한계와 기계적 인간관에 대한 도전이 끊임없이 제기
② 사회인으로서의 인간
■ 등장배경
- 1930년대 호손 연구의 영향을 받은 인간관계운동은 기계적 인간관에서 사회적 인간
관으로 이어짐
■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 1940년대 이후 인간을 심리적, 사회적 존재로 보는 인식 확대
∘ 인간은 경제적, 기계적, 사회적 동물로서의 의미와 만족을 추구하며 스스로 동기
유발에 의해 일을 심리적 존재
∘ 비공식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비공식적 리더의 리더십 영향을 받는 사회적 존재
③ 자아실현인으로서의 인간
■ 등장배경
- 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확산
■ 자유인으로서의 인간
- 인간은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의 가장 높은 욕구인 자아실현을 추구한다고 봄
- 경제적 혹은 물질적 욕구충족보다 인간은 사회적 욕구와 자아실현 욕구 충족을 더욱
중요시 여김
- 작업 집단에 대한 소속감, 조직으로부터의 인정, 자기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통해
직무 자율성과 책임성, 성취감을 더욱 중시함
'인간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6. 인간관계 유형 (2) | 2024.08.02 |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5. 인간관계의 메커니즘 (0) | 2024.07.31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3. 학문으로서의 인간관계론 (1) | 2024.07.29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2.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 등 (2) | 2024.07.28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1. 인간과 노동에 대한 본질 (1) | 202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