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3
- 임간초지의 개량 적지
∙ 햇빛이 잘 드는 곳
∙ 토양 수분이 풍부한 곳
∙ 큰 나무가 적당하게 있는 곳
- 임간 초지의 장점
∙ 수분함량이 높아 발아와 정착이 양호
∙ 여름철 하고의 피해 감소
∙ 목책 설치비용이 절감
+ 고속으로 회전하는 종축에 원판이나 원통을 붙이고 그 주위에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2~4개의 날로 예취하는 목초 예취기로 취급이나 조정이 없고 작업 능률이 높으며 쓰러진 목초의 수확이 쉬운 예취기는?
→ 로터리예취기
+ 식물의 세포벽 구성물질의 총 함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 중성세제 불용섬유소 ( NDF )
( NDF: 식물세포벽 구성성분인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및 리그닌의 총합을 정량하는데 적합하다 )
+ 소화율이 가장 낮은 세포벽 구성 물질은?
→ 셀룰로스
( 목초에는 세포내용물을 구성하는 가소화 단백질, 탄수화물, 전분, 펙틴, 산 등은 소화율이 높은 반면,
세포벽 구성물질인 리그닌,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등은 모두 섬유소 계통으로 소화율이 아주 낮다 )
+ 건초위주의사양시체중600kg의소1마리가1일섭취해야할건초의양으로가장적당한것은?
→ 12~18kg
( 소는 하루에 체중의 2~3%의 건초를 섭취해야 한다 )
+ 목초가 자라는데 필요한 미량원소
광물질의 분류 | |
다량 광물질 | -양이온 : Ca, Na, Mg, K -음이온 : CI(염소), S, P |
미량 광물질 | Mn(망간), Fe, Cu, I(아이오딘), Zn, Co, Se(셀레늄), F(플루오르), Mo(몰리브데넘), As(비소) |
+ 여름철 예취와 가을의 최종 예취시기는 초지관리상 중요문제이다. 설명하시오.
1. 한여름 지온이 27℃ 이상일 때에는 목초를 베는 것을 피한다
2. 가을에 너무 늦게 예취하면 추운 지방에서는 월동에 지장
3. 가을철에 일 평균 기온이 5℃ 되는 날로부터 40일전이 최종 예취의 적기
4. 목초의 수량이 다소 적을지라도 초지는 장마 전에 방목이나 예취를 하여 짧은 초장으로 장마철에 들어갈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
+ 잘 조성된 초지에 칼리성문 120kg/ha를 추비로 주려고 한다. 칼리(K) 함량이 60%인 염화가리 비료로는 얼마나 주어야 하는가?
+ ha당 50톤의 목초(생초)가 생산되는 초지에서 비료 성분량으로 필요로 하는 질소 추비량은?
(단, 생초 중 질소 성부 0.5%, 천연 공급량 150kg/ha, 비료이용율 50%일 경우)
→ 200kg/ha
(ha당 50톤의 목초는 50,000kg/ha x 0.5% = 250kg/ha비료를 이용한 것이다)
초지에 공급할 추비의 양 = 목초가 이용한 양 - 천연공급량
= (50,000kg/ha x 0.5%) - 150 = 100kg/ha 따라서 비료의 이용률이 50%이므로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2 (1) | 2024.07.03 |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1 (1) | 2024.07.02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0 (2) | 2024.07.01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9 (3) | 2024.06.30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8 (1) |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