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9

728x90
반응형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9

# 사일리지 조제 시 양분손실
- 호흡에 의한 : 수분함량, 세절길이, 충진, 밀봉
- 발효에 의한 : 재료의 수분함량, 재료의 당분, 유산균의 종류
- 삼출액에 의한 : 재료 수분함량이 68%이상, 특히 탑형 사일로에서 높음
- 수확(기계적)손실 : 수확작업, 예건, 운반 → 보통 건조제보다 작음
- 외견상 건물 소화율 : (섭취건물량 – 대변배설 건물량) / 섭취 건물량 x 100


# 사일로
- 벙커 사일로
∙ 대부분 지상형으로 건축비 쌈 / 경사지 이용하여 원료를 사일로에 충전 가능
∙ 지붕을 하면 공간 이용하여 건처사료도 이용가능
∙ 사일로가 크면 충전시간 및 밀봉이 늦어지며 공기 접하는 면적이 크므로 2차발료 일어나기 쉬움


- 트렌치 사일로 = 수평 사일로
∙ 축사에서 가까운 평지나 경사면에 흙을 파고 바닥, 뒷면 및 양쪽 벽면을 콘크리트로 만들어 저장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형태 / 설치 비용 최소
∙ 대용량에 적합하며 작업기계로 쉽게 충진 및 급여 가능
∙ 운반에 드는 에너지가 적게듦
( 트렌치 사일로 : 땅에 구덩이를 길게 파서 만든 것으로 설치하는 장소는 가까운 언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사일로의 바닥이 낮지 않게 하고, 탑형 사일로에 비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경비가 절약 됨, 바닥과 벽면은 콘크리트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
- 스택 사일로
∙ 건물손실률 가장 높은 것 (표면적이 넓어 저장중 건물 손실률이 30~35%까지) / 비용 저렴


- 기밀 사일로
∙ 저수분 사일리지에 적합 / 양분 이론적으로 손실이 가장 적음


- 탑형 사일로
∙ 용적 =


∙ 삼출액에 의한 손실 높다.


- Whole Crop Silage (총체사일리지)
∙ 알곡과 줄기 잎을 같이 수확하여 사일리지로 조제 / 당함량이 높아 양질의 사일리지 조제가 쉬움
∙ 단위면적당 영양소 수량 및 TDN함량이 높음 / 수확이 늦거나 서리를 맞은 원료의 경우는 프로피온산 첨가
∙ 프로피온산 : 발효촉진


- 수분함량이 70%이하일 때 사일로 종류에 상관없이 건물손실 가장 적 : 삼출액 의한 손실


- 저수분 사일리지
∙ 재료 수분함량을 약50%로 예건하여 만듦 / 수분함량 40~60%
∙ 발효가 억제되며 pH가 일반사일리지에 비해 높고, 건물손실량 적음
∙ 침출액에 의한 건물손실이 없고 겨울에 결빙의 염려가 적음
∙ 일반에 비해 젖산함량이 낮고 pH가 높음
∙ 건물섭취량이 고수분 사일리지보다 많음
∙ 즙액 유실에 의한 손실이 없음


- 발효품질 pH지표로 평가 : 저수분 사일리지에서는 유산(젖산)생성이 낮아 지표로 사용가능


- 라운드베일 사일리지(원형곤포)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장∙단점
장점 단점
∙ 건초에 비해 수확시 손실 줄일 수 있음
∙ 볏짚의 수거율이 높고, 저장중 영양손실을 줄임
∙ 운반과 저장이 용이 → 유통이 쉬움
∙ 사일로 등의 시설이 필요 없음
∙ 기상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가변적인 생산체계
∙ 저장 중의 손실이 다른 담근먹이에 비해 많음
∙ 기계구입을 위한 자본투자가 큼
∙ 단기간 노동력이 집중
∙ 비닐사용으로 환경오염 유발

 

- 예건 : 원형곤포 사일리지 조제에 있어 발효품질 및 기호성을 개선
: 단백질의 암모니아 분해 및 낙산발효가 감소하므로 발효품질 개선


- 비닐랩 사일리지(원형곤포 이용) : 예취(벼수확) → 집초 → 곤포 → 비닐감기 → 개별저장
- 저장기간 : 최소 30~40일


- 사일리지 품질 판정
∙ pH 낮을수록 우수 (낮으면 암모니아태질소함량도 낮음)
∙ 색깔은 밝은 감을 주는 것
∙ 산뜻하고 향긋한 냄새, 맛은 상쾌한 산미(신맛)
∙ 수분 적당하고 부드러운 것
∙ 유기산 비율 : 젖산 높, 낙산 적거나 없을수록 양질
∙ 전질소함량 중 암모니아태질소의 비율 낮을수록
∙ 총산에 대한 초산의 비율은 질에 크게 문제X


- 수수사일리지 (vs 옥수수사일리지) : 총가소화 영양소함량이 낮음


- 톡 쏘는 듯한 산취가 오랫동안 : 과발효 또는 젖산발효 < 낙산발효
- 옥수수 사일리지 즙액이 한두방울 떨어짐 : 조기수확(수분함량 높)
- 조기수확 시 : 배즙량이 증가하므로 배수가 용이한 사일로 이용


+ 옥수수 사일리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일로를 개봉하고 깊숙한 곳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손으로 꽉 쥐었더니
즙액이 한 두 방울 떨어지고 손에는 톡 쏘는 듯한 산취가 오래 동안 가시지 않았다. 이 사일리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조기수확으로 수분함량이 너무 높고 과발효 또는 젖산 발효보다 낙산발효가 더 많이 일어났을 것이다

 

# 사일리지 첨가제
- 영양소첨가제 : 당밀, 곡류, 요소(단백질), 전분질사료, 탄산칼슘
- 탄수화물첨가 : 옥수수분말, 보리분말, 감자분말, 볏짚(X)
- 수분조절제 : 밀기울, 비트펄프, 볏짚
- 발효촉진제 : 당밀, 섬유분해효소, 유산균(젖산균)
- 발효억제제(살균제) : 폼알데하이드, 헥사민 / 초성 아황산소다(유해발효 억제)
- 산도저하제 : 개미산(폼산), 프로피온산, 황산, 염산
+ 사일리지 첨가제와 용도를 연결
1. 영양소 첨가제 - 곡류, 당밀
2. 수분조절제 - 밀기울, 비트펄프, 볏짚
3. 단백질 첨가제 - 요소, 암모니아
4. 발효촉진제 - 당밀, 섬유분해효소
5. 산도저하제 - 개미산, 프로피온산

 

+ 사일리지를 만들 때 이용하는 첨가제를 분류할 때 젖산균 첨가제는 어디에 속하나?
→ 발효촉진제
( 발효촉진제 : 당밀, 섬유분해효소 )
- 암모니아 : 사일리지 품질향상 NO
- 가축의 연간사료 필요량
∙ 가축사양표준 + 사료성분성적표를 기준으로 추산
∙ 유우(젖소)의 경우 1일 생초 기준 체중의 약 10~15%
∙ 필요영양분은 가소화 성분으로 계산
- 젖소 1일 두당 생초급여량 : 체중의 10~15%
- 소 1일 두당 건초섭취량 : 체중의 2~3%


+ 젖소에게 생초만을 급여할 시 하루 필요량은 체중의 몇 %인가?
→ 10 ~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