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1

728x90
반응형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1

+ 불경운초지 조성 시 선점식생을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 / 불경운초지 개량에서 선점식생을 제거하는 방법?
1. 초지에 불을 놓는 화입법
2. 야초를 그대로 놓고 죽이는 제초제 사용법
3. 가축에 의한 제경법


+ 불경운초지 개량 시 파종방법에 따른 목초의 정착과 관련하여 가장 좋은 것부처 순서대로 나열

→ A→B→D→C→E→F


+ 겉뿌림법으로 초지를 조성하려고 한다 순서는?
→ 장애물제거 - 석회 및 비료 살포 - 파종 – 진압


+ 초지 조성과정의 순서
→ 입지선정 - 지형정지 - 장애물 제거 - 석회비료 시용 - 파종 - 복토 - 진압


+ 추파법(秋波法)으로 초지를 조성할 때 유의할 사항
1. 새로 뿌린 목초 종자가 흙과 잘 달라붙도록 해주어야 함
2. 전부터 대상지에서 자라고 있는 야초나 관목은 제거
3. 대상지의 토양 중에 결핍 영양성분을 충분히 공급
4. 새로 뿌린 목초 종자의 뿌리가 완전히 자랄 동안 보호 관리를 철저히
( 초지조성 대상지는 잡관목이든 임지이던 간에 선점식생이 있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새로 파종된 목초의 유실물이
기존식생과 경합 없이 빨리 정착 가능. 또한 기계작업에 방해나 효율을 떨어뜨리는 모든 것을 제거해야 함 )

 

+ 지형을 바꾸지 않고 경사대로 경운하는 경우조성 공법의 종류
→ 산성공법


+ 경운용 작업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 쟁기
( - 경운용 작업기 : 쟁기, 플라우, 로터리, 심토파쇄기 - 정지용 작업기 : 해로우, 무논정지기, 균평기, 진압기 )

 

+ 디스크 해로우(disk harrow)의 용도?
→ 쇄토 및 정지
( 디스크 해로우는 플라우나 쟁기로 간 땅에 2차로 경운된 큰 흙덩이를 더욱 미세하게 파쇄하는 작업기이다 )

 

# 하고현상
- 목초가 25℃의 고온이 되면 생장이 정지되고 식물체가 약해지면서 병충해 발생이 증가되어 심하게 지속되면 말라 죽는 것
- 목초 하고현상의 원인
∙ 병충해 발생
∙ 고온
∙ 한발 (건조)


- 북방형 목초의 하고 현상이 일어나는 시기 : 여름
- 북방형 목초의 하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 : 고온건조
- 하고현상 관리 방법 (북방형 목초의 하고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 하고현상을 줄이기 위한 여름철 초지관리방법 / 초지의 하고대책)
∙ 스프링쿨러에 의한 관개
∙ 질소비료 사용 삼가
∙ 고온기간중 목초의 초장 20~30cm 유지 되도록 수롹시기 조절
∙ 고온기에 수확시 9cm 정도로 높게 예취
∙ 장마 전에 수확하여 초장 짧게 유지
∙ 보수력이 나쁜 사질, 점질 토양 피하기
∙ 하고에 강한 초종인 톨페스큐, 오차드그라스등 선택

 

# 초지 조성 혼파
- 상번초와 하번초를 혼파하여 초종 간 공간 이용에서 경합을 감소
- 생육시기가 다른 목초를 혼파하여 계절별로 균등하게 목초 생산
- 토양 중 양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양분 흡수의 균형
- 혼파초지를 조성할 때 혼파조합 선정 방법
: 전체 초종수를 3~4종 정도로 하고 화본과 1종과 두과 1종은 반드시 포함
- 초지의 혼파에 있어서 우점종의 조건
∙ 화본과 목초 일 것
∙ 지역의 환경조건에 적응한 품종일 것
∙ 생산성이 높을 것
- 목초를 혼파 재배할 때 유리한 점
∙ 콩과(두과)와 화본과 혼파 시 균형 있는 양분의 풀을 가축에게 공급
∙ 상ㆍ하번초 혼파 시 초종 간의 공간 이용에 있어서 경합을 줄임
∙ 토양 중의 양분을 효율적으로 이용
∙ 혼파 목야지의 산초량이 시기적으로 평준화
- 초지를 조성할 때 혼파의 장점
∙ 균형 잡힌 양질의 목초를 생산
∙ 영양분과 기호성이 높은 양질의 사료를 생산
∙ 공간의 효과적 활용으로 광이용성이 향상
∙ 초종 간 경합을 경감
- 화본과목초와 두과목초의 혼파조합시 유리한 점
∙ 질소비료의 사용을 절감
∙ 계절별로 균등한 목초생산이 가능
∙ 가축에게 영양분이 높고 기호성이 좋은 풀을 공급


- 혼파의 장∙단점

혼파의 장점 혼파의 단점
- 가축이 영양가 고르게 섭취
- 질소비료 절감 및 토양비옥도 증진
- 상·하번초에 의한 공간의 입체적 이용
- 토양 중 양분의 효율적 이용
- 동해, 한해(가뭄), 병충해, 습해의 재해방지 등
- 파종작업이 힘듬
- 병해충 방제와 채종작업 어렵움
- 기계화 어려움

 

+ 혼파 초지에서 추비 사용 적기는?
→ 이른 봄과 목초를 베든가 방목한 다음
(추비의 알맞은 시기는 이른 봄과 목초를 예취나 방목한 다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여름철에는 목초가 더디게 자라고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이 내려 비료성분이 목초에 이용되기 전에 유실되기 쉬우므로 피하는 것이 관례)


+ 흔히 초지에서는 단파보다 혼파 시 유리한 점이 많기 때문에 혼파를 실시하는데 그 유리한 점에 해당되는 것은?
→ 목초 영양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