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0
- 목초의 건물수량 : 생초수량 x (건조 후 시료무게 / 건조 전 시료무게)
+ 다음의 목초의 건물수량은?
[ 건초 전 시료무게 : 120g, 건조 후 시료무게 : 24g, 생초수량 : 25,000kg/ha ]
# 초지의 특징
- 초지는 여러 개의 과로 이루어진 혼생 집단
- 초지구성 식물 집단은 안정된 계열로 행동하나 변화
- 초지는 식물의 종간 및 품종간 경합이 특징
- 초지의 모든 환경 중 방목이 가장 중요
- 초지는 그 군락이 아무리 단순한 집단이라도 하나의 군체이다 (식생은 군체행동)
- 초지는 계열과 같이 움직이나 결코 불변하는 것은 아니다
- 초지의 식생구성의 계속적인 변동으로 천이과정 중 생물적 준극상을 유지한다
- 초지의 최종평가는 가축생산성에 귀착한다
# 초지와 사료작물의 재배의의
- 인간이 이용할 수 없는 섬유질 사료로 고급식품을 생산
- 국토의 균형발전과 잠재적, 식량기지로 이용이 가능
- 반추가축의 정상적인 소화생리에 필수적
# 초지가 환경개선에 기여하는 효과
- 수자원을 보호 - 경관을 좋게 - 공기를 정화
# 우리나라 산지 토양의 특성
- 산성 토양
( 우리나라 토양 모재는 대부분 화강암 또는 화강편마암이고, 여름철 집중강우에 의하여 산성토양이다 )
- 토심이 얕고 자갈이 많다
(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토심은 평균 51cm로 다소 얕다 )
- 유기물의 부족
( 농경지(3%)에 비해 산악지의 토양은 유기물함량이 1%이하 )
- 낮은 유효인산함량
( 산지토양의 유효인산함량은 11.3%로 농경지의 약 1/10수준 )
- 낮은 양이온치환용량과 염기포화도
( 산지토양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양이온이 낮고 포화도도 낮다 )
+ 초지조성을 위하여 대상지의 토양을 조사한 결과, 토양의 pH가 5.0, 유효인산함량이 23ppm이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한 초지조성 대상지의 토양개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농용석회와 같은 석회질 자재를 살포하여 토양산도를 교정할 필요가 있다
( 모든 식물체는 산도가 6~7인 약산성과 중성에서 생육이 가장 원활하게 이뤄짐.
산도는 석회질비료 시비가 가장 빠르게 효과적으로 개량할 수 있는 방법 )
- 우리나라 초지의 저위(低位)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우리나라 초지부실화 원인 )
∙ 조성초기 관리기술의 미숙 ( 초지가 조성되었으나 조성 및 관리기술의 미숙으로 초지가 부실화하여 초지면적에서 제외되었다 )
∙ 추비량 부족 / 과다 및 과소 이용 / 초지의 배수불량
∙ 청예를 위주로 한 초지이용 / 이른 봄 및 늦가을의 과도한 이용 / 생산성이 낮은 초종의 혼파
- 임간초지
∙ 초지개량대상지의 나무를 그대로 두거나 목초가 자랄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나무만을 베어내고 조성한 초지
∙ 임간초지에서는 수목에 의하여 광선이 차단되므로 토양수분의 증발이 억제되어 목초정착에 유리
# 가을철 초지 조성 시 초기에 진압을 하면 나타나는 효과
- 서릿발과 동해의 방지
# 경운초지 조성
∙ 단기간에 초지 조성의 성과가 높음
∙ 어린 목초의 정착이 잘됨
∙ 불경운초지에 비하여 파종 비용이 더 많이 듬
- 경운초지 조성 방법의 장∙단점
경운초지의 장단점 | |
장점 | 단점 |
∙ 경운해 줌으로써 자연식생의 제거 가능 ∙ 짧은기간 동안에 생산성이 높은 초지조성 가능 ∙ 초지조성시 땅 표면이 고르기 때문에 목초 기계작업 가능 |
∙ 땅 표면을 갈아엎기 때문에 표토유실을 받기 쉽다 ∙ 땅을 갈아엎는데 필요한 농기계 비용이 많이 듬 ∙ 표고 및 경사 때문에 지대에 따라 농기계의 사용불가 |
- 초기 조성 시 불경운초지 개량이 경운초지 개량에 비해서 유리한 점
∙ 조성 시 파종 비용이 적게 듬
∙ 토양 침식 위험이 작고 토양 유실량이 적음
∙ 1년생 잡초의 침입을 줄여 줌
- 불경운초지개량에 알맞은 목초의 특성
∙ 발아 후 출현된 다음 야초와의 경합을 생각할 때 초기생육이 빠른 초종이어야 함
∙ 야초가 점유할 공간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높은 분얼성과 포복성을 가지고 빨리 퍼지는 능력을 가져야 함
∙ 산성이나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 좋지 않은 기후환경에도 잘 견딜 수 있는 초종이어야 함
- 불경운초지 개량법
불경운초지 개랑법 종류 및 특징 | |
겉뿌림초지 조성 | 초지조성 대상지에 물리적 처리로 선점식생을 제거하고 석회, 비료, 종자를 뿌리고 갈퀴질, 복토, 진압 실시 |
제경(발굽갈이)초지 조성 | 초지 대상지에 소나 양을 집중 투입하여 발굽과 이를 이용 선점식생 제거 후 파종 또는 다시 가축을 투입하여 진압 |
임간초지 조성 | 최대한 나무를 베지 않고 최소한의 물리적 처리로 초지를 만드는 방법 임목생산과 가축, 물, 사료의 병행, 생산이용 도모 |
+ 불경운초지 조성의 한 가지 방법인 제경법에 의한 초지 조성과 이용에 대한 설명
1. 산지를 갈아엎지 않고 가축의 발굽과 이빨을 이용하여 선점생식을 제거하고 목초를 파종하는 방법을 제경법이라 함
2. 뉴질랜드에서 초기 정착자들이 자연식생을 파괴하고 초지를 조성하던 방법
3. 짧은 기간 동안에 많은 두수의 가축을 투입하는 밀집방목이 필수적
4. 작업순서는 장해물 제거 - 목책설치 - 예비방목 - 시비ㆍ파종 - 답압방목 - 조성 후 관리방목의 순서로 조성
- 불경운초지개량의 유리한점
장 점 | 단 점 |
- 파종비용 저렴 - 갈아엎지 않기 때문에 토양침식 위험 적다 - 기계사용이 불가능한 지대도 개발 가능 - 1년생 잡초가 침입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강우나 강우 직후 토양의 수분함량이 높을 때에도 목초의 파종이 가능 - 목초를 도입함으로써 연중 생초의 생산기간을 연장 - 생산성이 낮은 산지를 신속하고 값싸게 개발할 수 있는 방법 - 한발, 홍수 및 산불 등으로 긴급복구가 필요할 때 유효한 방법 |
- 목초의 종착이 빈약 - 시간과 비용의 투입에 비하여 개량의 성과 낮음 - 대상지의 개발은 신속하지만 초지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느리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목초의 수량이 더디게 증가 - 초지의 목양력 증가가 느림 |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2 (1) | 2024.07.03 |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1 (1) | 2024.07.02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9 (3) | 2024.06.30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8 (1) | 2024.06.29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7 (2)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