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8
# 사일리지 = 담근먹이 = 매초 = 엔실리지
- 사일리지용 옥수수 : 건물수량 구성 중 암이삭 차지비율 50%
: 1m²당 650kg / 절단길이 1~2cm
- 사일리지
∙ 겨울철이 긴 우리나라에서 매우 적합한 조사료의 저장 및 공급형태
∙ 발효손실, 삼출액 손실 등을 줄이기 위해선 재료의 수분함량이 중요
∙ 혐기적인 유산균발효를 높이기 위해 밀봉, 답압을 세심하게 해야함
∙ 수분함량 70%(68~72) 내외
∙ 혐기성 젖산(유산)발효 시켜 젖산의 농도를 높여 만든 저장성 높은 다즙질사료 (다른 불량 균들의 증식 억제)
∙ 숙성에 필요한 최소 저장기간 30~40일
∙ pH 3.8 ~ 4.0
- 보정계수 = 100 – 현재수분 / 100 – 보정수분
+ 사일리지 제조시 수분함량 85%의 재료를 70%까지 건조시키려면 처음 재료의 중량이 얼마가 되게 건조시키면 되는가?
→ 1/2
- 사초용 수수잡종 : 당함량 높고 수량이 우수 → 양질의 사일리지
- 벼과(화본과) : 탄수화물과 당분이 많으므로 사일리지의 발효가 잘됨
- 사일리지 재료 : 수분 많으면 양질의 발효가 어려움, 기호성 떨어지는 재료도 사일리지로 만들 경우 가축에게 이용가능
건초 vs 사일리지
사일리지의 장점 | 사일리지의 단점 |
∙ 저렴하고 양질의 사초 급여 ∙ 제조시 일기의 영향 적게 받음 ∙ 양분의 손실 감소 ∙ 기호성 양호, 이용성 향상 ∙ 작은 면적의 저장장소 (단위면적당 최고 수량일 때 연중 싸고 고품질의 조사료 급여 가능) ∙ 산유량 증가 ∙ 잡초종자 발아방지, 화재위험성 감소 ∙ 기계화 유리 |
∙ 많은 자본 소요 ∙ 일시에 많은 노력 투여 ∙ 비타민D 함량 적음 ∙ 송아지 설사 유발 ∙ 물량취급량 과다 |
- 열 손상 사일리지
∙ 사일리지 조제 중 내부온도가 상승하여 고온발효가 장시간 지속되면서
∙ 목초 또는 사료작물을 저수분상태로 저장 시
∙ 기밀사일로에서 많이 발생
∙ 열손상의 정도는 불용성질소(ADIN)함량 지표로 판단
- 세절
∙ 절단 단면에서 즙액이 나오며 유산균이 번식 → 가급적 세절할수록 좋음
∙ 반추가축의 물리적 소화작용을 덜어 줄 수 있어 필요한 에너지 감소 가능
∙ 사료적 가치 높은 부분만 급여 가능하기에 에너지섭취량 증가 가능
∙ 사료의 허실량을 감소시킴
∙ 즙액이 삼출을 촉진함
∙ 단위면적당 많은 양을 넣을수 있음 / 밟는 노력 절감
∙ 공기를 쉽게 빼내어 빨리 혐기상태로 만들 수 있음 → 호흡정지, 영양손실 막음
∙ 세절 이유 : 재료의 압착 / 공기배제 / 첨가물의 균일한 혼함
- 세절재료 : 즙액이 거의 없고 모양이 유지되는 상태
- 쥐기시험 : 쥔손을 서서히 폈을 때 재료의 덩어리가 흐트러지지 않으나 즉시 금이 가고 벌어질 때
: 물이 흘러나오거나 물방울 떨어질 때 = 85%
- 수분조절방안
∙ 한나절이나 하루정도 예건
∙ 밀기울, 쌀겨(미강), 보릿겨 등 수분조절제 섞어줌 + 유산균 살포
∙ 비트펄프나 곡류를 첨가
- 분쇄 : 주로 인공건초를 Hammer Mill을 이용하여 1.6~3.2mm의 크기로 만드는 것
: 용적을 작게하고 운송과 저장을 편리하게 함
: 2차 가공품 또는 배합사료의 원료로서 널리 이용
: 대표적 이용 – 알팔파
- 사일리지 발효에 영향 미치는 것
∙ 재료의 수분함량 ∙ 조단백질 함량 ∙ 재료의 수용성 탄수화물 함량 ∙ 완충력 |
∙ 발효주도 세균의 형태 ∙ 발효속도 ∙ 재료의 조지방함량 (가장 영향적음) ∙ 발효에 수반되는 pH의 저하에 견딜 수 있는 재료의 재질 |
- 고품질 사료작물 사일리지 조제요점 / 양질의 사일리지 제조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
∙ 재료의 적기 수확 : 최대양분 축적기
∙ 적절한 탄수화물 함량
∙ 수분함량 조절과 공기배제
∙ 필요시 적절한 첨가제 사용 – 젖산균
∙ 기계화 작업체계 확립
∙ 재료를 잘 밟아주고 / 재료를 짧게 잘라 → 공기가 쉽게 배제되도록
∙ 충진작업을 가능한 단시간 내에 하고 외부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밀봉
∙ 유산발효가 일어날 수 있게 당분함량 많은 재료나 당분 많은 첨가물 섞어
- 유산발효 : 이상적인 사일리지 발효
- 젖산균 : 증식발효로 다른 부패균의 분해작용을 억제한 것
- 유기산 생성 순서 : 초산 → 젖산(유산) → 낙산
* 사일리지 조제시 발효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미생물은?
→ 젖산균
(사일리지는 젖산균의 증식발효로
다른 부패균의 분해작용을 억제한
것으로 담근먹이 또는 매초라 함)
#발효과정
- 1단계 (호흡작용)
∙ 사일리지 재료를 넣자마자 일어나는 현상
∙ 호기성 상태, 호흡기
∙ 기간이 길수록 에너지 손실 / 발생 열로 단백질 변성 → 소화율 저하
∙ 답압, 밀봉에 의한 공제배제 핵심
- 1단계 호흡작용 손실 최소화 ∙ 벽면 주변 등 답압 잘 안되는 곳 집중적으로 답압 ∙ 윗부분은 수분이 약간 많거나 길이가 긴 재료로 충전하고 답압 ∙ 외부에서 공기나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꼼꼼히 밀봉 |
- 2단계 (호기성 세균 활동기, 초산발효)
∙ 미생물 발효에 의해 초산 생성
∙ 사일리지 급여 위해 개봉 후 혐기성 조건이 깨지면서 호기성 세균에 의해 각종 성분이 분해됨
(효모 및 곰팡이 번식으로 재발효) – 호기적 변패
- 3단계 (유산균 활동기)
∙ 유산(젖산)발효의 개시
∙ 초산균의 활동은 서서히 억제되고 유산균 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활동 활발
∙ 활동하고 있는 혐기성균의 종류가 바뀌는 시기
- 4단계 (발효안정기)
∙ pH가 적정수준까지 떨어지면 사일리지 발효는 중지됨
- 5단계 (낙산 발효기)
∙ 산도저하가 미비한 경우 남아있는 당이나 유산 분해하여 낙산발효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0 (2) | 2024.07.01 |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9 (3) | 2024.06.30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7 (2) | 2024.06.27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6 (1) | 2024.06.26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5 (1) | 2024.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