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7

728x90
반응형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7

+ 예취적기를 추정하는 설명
1. 1번초의 예취적기는 화본과 목초는 출수 초기, 콩과 목초는 10% 정도 꽃이 핀 시기(개화초기)
2. 2번초 이후의 재생초는 초장이 30~50cm의 범위에서 예취간격을 고려하여 적절히 예취
3. 초지 군락 내부 지표면의 상대조도가 5%일 때가 예취적기
4. 최대건물생산속도를 나타내는 시기의 최적엽면적지수 보다 1.5배의 엽면적을 나타내는 시기인 평균생산력이 가장 높은 시기가 예취적기


# 건초
∙ 생초 중의 수분함량을 미생물이 작용할 수 없을 정도로 낮춤으로서 저장성 부여
∙ 수분함량이 10~15%로 저장성 높음
∙ 갈색건초 제초과정에서는 약 40%의 건물손실이 있으며, 특히 전분과 카로틴 및 단백질 변성에 의한 가소화단백질 손실큼
∙ 최고 품질의 화본과 건초는 잎 비율이 50%이상이 되어야 함
∙ 작물의 특성과 이용목적에 따라 건초 제조
∙ 우리나라에서 건초보다 사일리지를 많이 하는 것이 비가 자주 오는 기후의 영향도 큼
∙ 건초의 수확시기는 목초의 양과 질, 재생, 지속성 및 식생구성 비율을 고려
∙ 강우에 의한 양분손실을 줄이고 건조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컨디셔너를 이용


- 장점 : 정장제로서 설사 방지 (어린 송아지) / 위 발달 촉진
: 운반과 취급이 용이 / 손쉽게 만들수 있음
: 천일건초의 경우 비타민D 함량이 높음
: 목초를 건초로 이용시 비타민D 함량이 높음
: 송아지의 소화관 발달을 촉진
: 풀이 없거나 부족한 계절에 우수한 조사료 공급가능
: 생초나 사일리지에 비해 취급이 쉬운편
: 사일리지보다 비용 적게 드는건 X


- 단점 :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음


+ 건초의 조제와 이용
1. 풀이 없거나 부족한 계절에 우수한 조사료를 공급할 수 있음
2. 생초나 사일리지에 비하여 운반과 취급이 쉬운 편임
3. 어린 가축에게 양질의 건초급여는 설사방지 등 정장효과가 있음
- 건초조제 과정 : 기상례측 → 수확 → 뒤집기(반전) → 집초 → 결속(곤포) → 저장
- 농업기계 : 예취(모어) / 압쇄(헤이컨디셔너) / 뒤집기(헤이테더) / 묶기(베일러)
+ 생초의 자연 건조율을 증진하기 위해 압착을 가하는 기계로 포장에서의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건초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작업 기계는?
→ 컨디셔너


- 손실
∙ 탈엽손실(최대) / 호흡손실(최소)
∙ 탈엽손실, 조제중 부서짐, 빗물, 발효, 호흡 → 사료가치 저하
∙ 포장건조(최대) > 초가건조 > 상온통풍건조(최소)
∙ 포장건조는 저장방법 중 가장 수확손실이 큼


- 건초의 안전저장 : 저장장소 / 수분함량 / 퇴적밀도
- 건조효율 높임 : 압쇄 / 반전 / NaCO3(탄산나트륨) / K2CO3(탄산칼륨)
- 가상건조법 : 연속하여 좋은 날씨를 만나기 어렵고 빗물 침투와 지면으로부터 흡습 막고 자연의 통풍을 이용하여 건조
- 발효건조법 : 갈색건초
- 천일건조법 = 포장건조법 : 태양열 이용하여 공기의 유통을 좋게 하는 건초 조제방법, 비타민D 많음
- 화력건조법 : 잎이 떨어지기 쉬운 두과목초에서의 방법, 생초에 가까운 품질 확보 가능하나 비용이 많이 소요

 

+ 작은 비가 내리거나 습기가 많을 때 가장 적당한 건초 제조방법
→ 발효건조법, 화력건조법

- 카로틴 : 장시간 일광에 조사, 대기중에 방치 시 약 90% 이상 파괴되는 건초의 성분
- 건초를 위한 수분 증발량 : W1(1-X1) = W2(1-X2) 공식에 대입 ( W = 고형물함량, X = 함수량 )
- 수확적기
∙ 화본과 목초류 : 출수기 (수잉기 ~ 출수초기)
∙ 두과 목초류(콩과) : 개화초기 / 개화말기
∙ 호밀∙귀리(청예맥류) : 수잉후기 ~ 출수기
∙ 레드클로버 : 출뢰(꽃봉오리기) 개화초기 (개화25%까지) – 엽부비율 40% 이상
∙ 알팔파(1~3회) : 출뢰기(꽃봉오리기), 첫꽃필때 / 1/10개화기 / 서리 40~60일 전
∙ 라디노클로버 : 10~50% 개화기
∙ 벼과 목초류, 수단그라스 : 이삭 필 때
∙ 벼-콩과 혼파 : 콩과 목초 수확시기
∙ 레드클로버, 알팔파 : 개화 초기
- 콩과목초 : 청예수량 많을 때 영양수량도 증가
- 화본과 목초 : 단백질함량 높 → 섬유질 높
- 출수기 이후 현저하게 감소 : 단백질, 지방
- 수확이 늦어지는 경우 증가하는 성분 : 전분, 섬유소(셀룰로스)
- 성장 시 : (증가) 섬유소, 전분, ADF, NDF / (감소) 단백질, TDN, 에너지
- 숙기 진행되면서 조단백질함량 감소, 탄수화물∙조섬유함량 증가
- 펠렛 : 성형건초 중 수확한 목초를 건조하여 분쇄 후 압축성형
- 헤이큐브 : 목건초의 세절판을 압출성형기를 통하여 각형으로 성형

 

- 건초 품질평가
∙ 녹색정도 (진할수록 카로틴과 단백질 양분함량 높)


– 짙고 자연색에 가깝
∙ 잎의 비율 높 (잎이 줄기보다 단백질 많고 섬유질 적음)
∙ 이잡물 혼입정도
∙ 수분함량
∙ 방향성과 촉감 (유연, 탄력, 부드럽)
∙ 단백질함량, 조섬유함량
- 품질평가 중요도 : 수확시기(숙기), 잎의 비율 > 향취, 녹색도 > 촉감

우량건조의 품질조건
- 건초의 색깔이 연한녹색~자연녹색 띠어야 좋다
- 영양가가 높은 잎이 많아야 함. 특히 두과 목초에서 그러함
- 냄새 맡아보면 상큼한 풀 냄새 나야 함
- 목초 등은 어릴 때 사료가치가 높아 어린 풀이 많을수록 좋음
- 곰팡이 발생 등 이물질이 없을수록 좋다
- 건초의 수분함량은 18~20% 이하가 되어야 함

 

+ 건초의 품질평가 기준 요소
1. 녹색정도 (적기수확, 비를 맞지않고 건조, 음지에서의 저장등 관리가 잘 된 경우 녹도가 짙으며, 녹색정도가 진할수록
카로틴과 단백질 등 양분함량이 높아 품질이 우수)
2. 잎의 비율 (잎은 줄기보다 단백질이 많고 섬유질이 적게 들어 있으므로 잎의 비율이 높을수록 건초의 품질도 좋아짐)
3. 이잡물의 혼입정도 (잡초, 돌 등 이물질이 적어야 좋다)
4. 수분함량 (20% 이상 되면 저장기간 동안 썩거나 곰팡이가 생겨 가축의 기호성이 쩔어지고, 해를 줄 수 있다)
5. 방향성과 촉감 (건초 본래의 향긋한 냄새와 촉감이 부드러워야 한다)
- 가용성 탄수화물 정도 : 옥수수 > 오차드그라스 > 알팔파
- 조사료 수입시 발생
∙ 의욕저하 / 저질조사료로 인한 분뇨발생량 증가, 환경오염 : 국내에 없던 잡초종자의 유입


# 상대사료가(RFV)에 따른 건초의 등급 : Rohwede / 상대적사료가치(Relative Feed Value)

등급 콩과 화본과
1등급 140초과  
2등급 124 ~ 140 124 ~ 140
3등급 101 ~ 123 101 ~ 123
4등급 100이하 85 ~ 100
5등급   85이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