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2

728x90
반응형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2

# 방목
- 방목은 가축이 스스로 운동과 일광욕을 하게 되어 건강상 좋음
- 선택채식을 하기에 기호성이 나쁜 목초가 우세해져 초지식생에 나쁜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음
- 분뇨를 방목지에 배설하므로 화학비료의 시비량을 줄일 수 있음
- (방목은 가축 스스로가 자신의 생리적 요구에 따라 풀을 뜯는 것으로, 가장 자연스럽고 경제적인 사초이용방법이다)
- 계목
∙ 이용하려는 초지에 말뚝을 박아 일정한 길이의 밧줄이나 쇠사슬로 가축을 계류하여 주위의 풀을 채식토록 하는 방법
∙ 작은 면적의 초지, 하천제방, 도로변 등을 이용할 수 있음
∙ 목책비용은 적게 드나 노동력이 많이 들어 사육규모가 작은 경우에 적당한 방법
- 대상방목 : 초지의 방목 이용방법으로 가장 효율적인 것
- 윤환방목
∙ 유목기간에 초세유지가 가능
∙ 윤환방목지의 풀을 고르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
∙ 선택채식의 기회가 적어 초지의 황폐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적음

 

+ 가장 일반적이며, 비교적 효율성이 높은 방목형태는?
→ 윤환방목
( 방목지를 4~6개로 나누고 각 목구를 순차적으로 돌아가면서 방목 시키는 방법이다
장점으로 선택채식의 기회를 줄임으로써 초지이용률을 높이고, 과방목 방지로 초지생산력의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오염된 목초의 양이 적어 높은 목양력의 유지가 가능하고, 작은 목구에서 방목됨으로써 유지에너지가 적다 )
- 초지에 가축을 방목할 때 장점
∙ 분뇨의 초지환원이 용이
∙ 풀 섭취량 및 초지이용률이 증가
∙ 예취, 수확 등 노력절감이 가능

 

- 가축을 방목할 때 초지의 관리방법
∙ 방목개시 적기는 초고가 25 ~30cm 정도일 때
∙ 방목 간격은 4 ~ 6주 간격을 두고 실시
∙ 방목 시 잔초의 높이가 5 ~ 6cm 정도일 때 끝낸다

 

- 톱핑(topping)
∙ 겨울철 목초가 15cm 정도 자랐을 때 방목시키는 것
∙ 목적 : 목초의 분얼촉진효과 (목양력을 증가 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린 유식물의 가지치기, 즉 분얼과 뿌리의 활착을 도움)
∙ 가을에 파종한 목초나 봄에 파종한 목초가 15cm 정도 자랐을 때 가축을 넣어 가벼운 방목을 시키는 것
- 방목개시 적기
∙ 초장이 20~25cm일 때
∙ 일시적인 가공 및 저장이 어려운 조건이라면 ha당 생초생산량이 3톤일 때
∙ 과잉생산된 목초가 일시에 처리가 가능한 조건에서는 ha당 생초생산량이 5톤일 때

 

+ 집약초지에 방목되는 가축이 일반적으로 시간제한 방목을 하는 경우 채식시간은 오전, 오후 몇 시간씩이면 충분한 양을 채식할 수 있는가?
→ 2시간
( 시간제한 방목을 할 경우 오전과 오후에 각 2시간씩 방목을 하는 것이 적당 )

 

+ 어떤 방목지(10ha)에서 4500kg의 생초를 생산할 때 이 방목지의 방목일(放牧日, cow-day)수는?
→ 50 ~ 75일
( 두당 1일 70~90kg 생초를 섭취한다면 가장 적절한 답은 50~64일이다 )

 

+ 젖소 50두를 방목하기 위하여 방목지의 목초수량을 1×1m의 방형틀(quadrat)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는데 이때의 목초수량은 0.5kg/m2이었다.
방목지 면적이 1.5ha 라면 목초수량은 몇 kg이며, 1두당 몇 kg을 섭취할 수 있는 양인가? (순서대로 1.5ha 목초수량(kg)/ 1두당 섭취량(kg))
→ 1.5ha당 목초수량 : 7500kg, 1두당 섭취량 : 150
( 1a=100m
2, 1ha=100a → 1.5ha=15,000m2 / 1m2당 0.5kg 목초수량이므로 1.5ha당 목초수량은

 

+ 일정 면적의 초지에 방목할 소의 두수(頭數)를 계산할 때 옳은 식은?

 

+ 방목지에서 가축의 목양력을 계산할 때 가축단위 방목일의 단위가 있다.
10ha에 착유우 젖소(약 500kg) 20두를 30일간 방목할 때 가축단위 방목일(LUGD)은 얼마인가?
→ 60일
( 30일 10(ha) x 20(두) = 60일 )
+ 방목지 3ha에 500kg의 착유우 12두와 300kg의 육성우 10두를 방목시키면 이 목구의 방목밀도(放牧密度)는?
→ 6 가축두수/ha
( 방목밀도는 소 1마리가 1ha에 500kg 기준이다.
착유우 12(500kg 12마리) + 육성우 10마리(300kg x 10=500kg 6마리) = 18마리가 3ha에 방목중이다.
18마리 3ha = 6 가축두수/ha )

 

# 목초 파종
- 목초 종자의 특성에 맞는 파종상
∙ 목초가 파종되는 표토는 부드럽고 입상이어야 하나 너무 곱든가 가루모양이어서는 안 된다.
∙ 종자가 파종되는 바로 밑의 토양은 단단해야 한다.
∙ 상층토양이나 하층토양에 관계없이 수분 함량이 충분해야 한다.
- 목초의 파종시기
∙ 춘파는 해빙 직후가 적당
∙ 추파는 첫서리 내리기 약 40일전
∙ 우리나라 평지에서는 잡초와의 경합을 고려해서 추파를 권장
- 가을철 목초 파종적기 : 일평균기온이 5℃ 되는 날로부터 60~80일 전


+ 목초의 가을파종이 봄파종에 비해서 유리한 것은?
→ 잡초에 의한 경합이 감소
(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잡초는 대부분 여름철 잡초이므로 가을파종을 하면 잡초와의 경합에서 이길 수 있다 )
- 초지 조성시 목초를 파종할 때 주의하여야 할 사항
∙ 토양개량제는 토양검정을 하여 적량을 투입
∙ 초기생육이 늦어지면 지표수나 바람에 의한 침식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적기에 파종
∙ 진압을 충분히 하도록 한다


+ 목초종자와 비료를 절약하고, 종자의 비료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파종방법은?
→ 대상조파

 

파종방법
점파 콩, 옥수수, 칡 등과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1립씩 파종하는 방법
산파 가능한 한 짧은 기간 동안에 목초를 지면에 피복시키는 방법
조파 골을 따라 파종하는 방법
대상조파 조파의 단점인 비료의 염해를 줄이기 위하여 보완한 조파방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