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식생리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11

728x90
반응형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11

# 호르몬 정리

호르몬의 종류
뇌하수체 호르몬 - 전엽 : 난포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황체자극호르몬, 성장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프롤락틴
- 중엽 : 흑색소 세포자극호르몬(MSH)
- 후엽 : 옥시토신, 바소프레신
성선 호르몬 웅성호르몬, 난포호르몬, 황체호르몬, 릴랙신, 인히빈 등
태반 호르몬 임마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태반성 락토겐 등
시상하부 호르몬 - 방출호르몬 :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황체형성호르몬 방출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갑상선자극방출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프롤락틴 방출호르몬 등
- 방출억제호르몬 : 황체자극호르몬 방출억제호르몬, 성장호르몬 방출억제호르몬 등

 

# 뇌하수체 전엽 ( Anterior pituarity gland )
- 초기 태아의 구강세포인 리트케낭이 올라가 발생


- TSH ( Thyroid-stimulating Hormone, 갑상선 자극 호르몬)
- 갑상선에서 Thyroxine, triiodothyronine 분비 조절 / 동물의 기초대사율 조절
- 요오드 섭취 갑상선에서 갑상선 H 요오드 포함 T3,T4 생산 시 요오드흡수


- ACTH (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
- 부신피질을 자극 하여 mineralocorticoticoid와 glucocorticoid 분비 / 포도당 대사, 삼투압의 평형
- GH ( Growth hormone, 성장호르몬 )
- 체성장 단백질 합성 /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에 영향


- FSH (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난포자극 호르몬 )
- 정자형성 난포성장 Estrogen 분비

* 당단백질-복합 다당류 부착, 3200-3700 Da
* 구조 : a-단체, b 단체
** 난소에 대한 작용
∙ 난소내의 난포의 성장과 성숙을 자극 ,난포 내 과립막 세포의 증식
∙ 난포액의 분비 난포강 형성
* LH와의 공동 : 에스트로겐 생산 자극 (난소, 정소) / 난포발달 배란
** 정소에 대한 작용
∙ Sertoli Cell을 자극 안드로겐 결합단백질 분비 촉진 / 정소무게 증대


- LH ( Luteinizing hormone )
- Androgen, Estrogen 분비
- Progesterone 분비, 배란 황체 형성
* 당단백질, 25000-34000 Da
* 구조:a-단체,b-단체 비공유 결합
* 난소: 배란전estrogen 증가 → LH분비촉진 → 난포의 성숙 → 배란유기
∙ 황체 형성
* 정소: 간질세포의 분화 및 증식 / Testosterone 분비 촉진


- PRL ( Prolactin )
- 비유증진, 모성행위 증진
* 폴리펩타이드 ,25000Da
* 분비: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안드로겐
∙ 흡유, 교미 자극에 의해 분비
* 생리작용
∙ 유즙 합성 분비 / 황체 자극 : 황체 유지 , 포유 황체 / 모성애 발휘

 

# 뇌하수체 후엽 ( Posterior pituarity gland )
- 초기 태아의 신경세포에서 발생


- Oxytocin
- 분만-자궁수축,
- 유즙 배출-유선 꽈리세포의 수축, 젖 방출 촉진
- 정자 및 난자의 이행 / 황체 퇴행기능
* 시상하부, 난소에서 생산
* 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1007 Da
* 자궁의 평활근/유선포 근 상피세포의 자발적 수축운동
* 태아의 자궁경 자극 → 시상하부 → 옥시토신분비 → 자궁근 수축 → 태아의 출산, 후산배출, 분반 후 자궁 회복
* 흡유/착유 → 시상하부 → 옥시토신분비 → 유선포 근상피세포 수축 → 유선포 내압 상승 → 유즙 배출
- 출산 : 태아분만촉진제 , 태반의 배출, 분만 후 유즙 분비 유도충


- Vasopressin ( 항이뇨 호르몬, Anti-diuretic hormone )
- 수분평형


# 성선
- 정소/난소
- 생식선 호르몬
∙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 콜레스테롤 원료


- 웅성호르몬 ( Androgen )
- LH자극에 의해 간질세포(leydig cell)에서 분비
- 20여종, Testosterone 대표적

- Pregnenolone → Testosterone
∙ 델타4 델타5 경로
- 태아와 암컷 : 태아의 성분화 정소하강
∙ 볼프관 : 웅성생식도관 발생 / 뮐러관 : 퇴행 / 성전환, 간성(inter sex)
∙ 프리마틴(freemartin)
: 소에서 이성쌍태의 암컷에서 나타나는 성이상, 외부 생식기는 자성으로, 내부생식기는 웅성으로 되어 있어 번식력을 가지지 않는 간성
* 정자형성 : 정소상체에서 정자의 생존기간 연장
∙ 정자의 형성과 생존성, 정액의 양과 질에 영향
* 부생식선 분비 : 부생식기관의 발달과 기능유지
∙ 거세 → 전립선, 정낭선, 요도구선의 위축/퇴화
∙ 정소 상체 내 정자생존 단축
* 성성숙 : 웅축의 가슴 머리 어깨 등의 근육 발달, 성대변화, 유각종의 뿔 성장, 체모의 성장
∙ 2차 성징의 발현
∙ 수컷의 정상적인 신체 발육과 성성숙 지배
* 피드백 작용, 자성호르몬과 길항작용 : 뇌하수체에서 성선 자극 호르몬의 분비 억제
* 기타 단백질 동화작용 – 질소축적, 근육의 성장, 신체 발육


- 난포호르몬 ( Estrogen )
- 성숙난포의 협막세포(theca cell) 분비
- estradiol-17b
- 합성 : 난소 태반 부신 정소
- 암컷 발정행동유발 조직의 발육과 분비활동 촉진 / 자궁상피의 높이 자궁선 크기 증대 / 자궁근, 자궁내막의 발육 촉진
- 유선관계, 유선포계의 발육 및 분화 촉진, 제2차 성징의 발현 / 칼슘의 흡수와 골화자극, 단백질 동화효과
- 시상하부를 통한 피드백 작용 : LH분비 촉진 FSH 분비억제
- 태아 : 암컷의 성선과 생식관을 정상적으로 발육
- 수컷 : 정소와 웅성 생식기관의 발달억제, 자성화 됨, 2차 성징이 사라짐
∙ 비만 : estrogen을 지방조직에 빼앗김 → 성욕저하
- 합성 비스테로이드 에스트로겐 : 성장 촉진제(반추동물)
- 축산 : 반추동물 단백질 동화작용 → 체중증가, 성장 촉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