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식생리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9

728x90
반응형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9

- 릴랙신
∙ 난포호르몬과 협동하여 유선발육을 촉진
∙ 치골 결합을 분리시켜 태아가 용이하게 골반을 통과 하도록 함
∙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난포호르몬의 선행 작용이 있어야 함


- 유선
∙ 유즙을 분비하는 기본 구조는 유선포
∙ 유선에서 비유가 개시되는 데는 프로락틴(prolactin)의 역할이 가장 중요
∙ 유선의 조직학적 구조는 복합 관성 포상선으로 이루어짐


- 유선의 발달
∙ 유관위주에 유선포의 발달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시기는 임신 말기
( 유선발육상 임신기간을 셋으로 대별하여 보면 최초 3개월은 유선관계의 신장기, 4~7개월은 분비조직의 증식기,
최후 3개월은 유선포계의 성숙비대기 )


- 소의 유선발육
∙ 성성숙이 가까워지면 유방의 유선관계가 급속도로 발달
∙ 초유구(初乳逑) 및 백혈구 등이 출현하는 시기는 임신 9개월
∙ 유방의 중량은 임신 후 최초의 3개월간은 비임신우와 거의 차이 없음
∙ 성 성숙 이전의 유방발육은 체중의 증가와 비례하여 발달


- 유선발육 관여 호르몬
∙ 난포호르몬
∙ 황체호르몬
∙ 프로락틴


- 태아기 유선의 발생이 시작되는 시기
∙ 체지아기의 후기


- 유선이 퇴행되는 기전
∙ 유선포의 내압 상승
∙ 유선포 주위에 유입되는 혈류량 감소
∙ 세포 자체가 사멸하는 세포소멸 기전


- 유선의 분비상피세포에서 합성된 유즙성분이 유선포강내로 방출되는 경로
∙ 세포외유출 및 이출분비
∙ 경세포운반
∙ 측세포운반


- 유즙의 배출은 신경배분비적 반사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유즙의 배출과정
∙ 유두에 가해지는 착유 자극
∙ 시상하부의 시삭상핵과 실방핵으로 전달
∙ 유선포의 근상피세포 수축


- 유즙분비와 유즙강화에 관여하는 호르몬
∙ 유즙 분비 : 프로락틴
∙ 유즙 강화 : 옥시토신

프로락틴과 옥시토신
프로락틴(Prolactin) 포유류의 유선에 작용하여 유즙분비를 자극하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폴리펩타이드 계통의 호르몬
옥시토신(Oxytocin) 흡유 및 착유에 의한 유두와 유방에 가해지는 자극이 신경계에 의해 시상하부에 전달되어,
분비된 옥시토신은 유선의 근상피세포를 수축시키고, 유선포의 내압을 상승시켜 유즙 배출

 

- 젖소의 유즙의 조정
∙ 탄수화물은 대부분 유당으로 구성 / 단백질은 케이신과 유청단백질로 구성
∙ 유지방은 대부분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로 구성
- 유방에서 유즙이 생성 운반되는 경로
∙ 유선포 → 유선소엽 → 유선소관 → 유선관 → 유선조 → 유두조 → 유두관
- 포유동물에서 초유를 먹이는 가장 큰 이유
∙ 필요한 면역물질을 공급
- 젖소 착유시 젖이 나오기 시작한지 가능한 10분 안에 착유를 끝내야 하는 이유는?
∙ 옥시토신의 분비량이 감소
( 젖이 유방에서 사출되기 위해선 착유자극으로 분비되는 옥시토신호르몬 작용과 유방내로 흘러드는 혈액 증가로 유선에 압력 가해져야 함.
옥시토신에 대한 젖내림반응시간에 비유자극(전착유)후 옥시토신이 최고로 분비되는 시간은 45초이며, 약 10분간 유지)
- 젖소에서 일정기간의 착유기간 후 다음 비유기 동안 최대한의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실시하는 건유기 기간
∙ 50~70일
- 젖소에서 유량을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
∙ 유선에 있는 유즙의 완전 배출/ 착유 전 유방의 세척 및 자극 / 스트레스 방지
∙ 교감신경은 아드레날린 분비하여 유즙분비 방해 따라서 교감신경 자극 X

 

- 분만
∙ 분만은 자궁경관확장기, 태아만출기, 태반만출기로 구분
∙ 유산, 난산 등에서난 후산의 만출이 늦어짐
∙ 자궁수축은 자율신경의 반사기구와 평활근의 수축에 의해서 일어남
∙ 분만 과정은 진통부터 후산까지의 과정
∙ 분만직전의 자궁 내 태위와 태향은 축종에 따라 다름
∙ 제1파수는 요막이 파열되는 것을 의미
∙ 황체형성 호르몬의 작용과 직접적 관계가 가장 적은 것

* 난소에서 난포가 배란된 위치에 처음으로 생기는 것은?
→ 황체
( 난포 : 난자가 존재하는 곳 )
( 황체 : 난자가 배란된 후 형성되는 것 )

 

- 분만시 작용하는 호르몬
∙ 에스트로겐(oxytocin)의 분비 증가
∙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분비 증가
∙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의 분비가 상대적 감소
∙ 태아의 코르티솔(cortisol) 증가
- 반추가축에서 분만개시와 관련된 태아와 모체의 호르몬 변화
∙ 태아의 혈중 코르티솔(cortisol) 농도가 증가 → 모체의 혈중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농도가 감소 → 에스트로겐(estrogen) 농도는 증가
( 임신 말기까지 황체에서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 소나 돼지와 같은 동물에서는 태아측의 코르티솔에 의하여 태반에서 에스트로겐이 분비,
이 에스트로겐이 자궁내막의 PFG2α 분비를 촉진하며, 분비된 PFG2α가 난소의 황체를 퇴행시킴으로서 분만이 유기됨 )
- 분만 후 모체가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되는 산욕기에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
∙ 자궁의 퇴축 / 자궁내막의 재생 / 발정재귀
- 자궁근의 강력한 수축운동을 유발하여 분만을 유기하는 호르몬
∙ 프로스타글란딘(PGF2∂) / 옥시토신(oxytocin) / 에스트로겐(estrogen)
- 후산정체 발생 율이 가장 높은 동물
∙ 소
( 소, 면양, 산양 등은 궁부성 태반을 가지고 있어 모체와 태아태반의 연결이 복잡
후산 만출의 소요시간이 4~5시간으로 길고, 경우에 따라 후산정체가 일어남 )
- 소의 분만 과정
∙ 진통기 → 만출기 → 후산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