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식생리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7

728x90
반응형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7

- 소에서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정란을 채취하는 시기
∙ 배란 후 4일 이후에 실시


- 소의 수정란 이식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순서대로 나열
∙ 다배란 처리 → 발정동기화 → 채란 → 검사 → 이식


- 소에서 배반포기에 도달한 수정란을 이식하기에 적합한 시기 (단, 수란우 발정 후를 기준)
∙ 7~8일


- 호르몬을 처리하여 다배란을 유도시킨 젖소로부터 수정란을 비외과적으로 채취할 때 가장 적당한 시기의 수정란 발달단계와 장소
∙ 착상 직전, 자궁


- 수정란이 분할을 거듭하여 각종 조직과 기관으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3개의 세포층으로 분화

내배엽 간, 췌, 폐, 소장, 대장 같은 내장기관, 체절, 근육조직
중배엽 근육계, 골격계, 신경계, 비뇨생식기, 신장, 심장, 혈액, 혈관 같은 심혈관계
외배엽 뇌, 척수, 표피계, 털, 발굽 등의 신경기관

 

- 수정란이 태아로 발달하는 것
∙ 내부세포괴
( 영양막은 태반과 태막형성에 관여, 내세포괴는 태아로 발달 )


- 수정란 이식의 최적 부위
∙ 자궁각 선단

이식부위
자궁각 선단부
돼지, 면양, 산양 4세포기 이하는 난관, 4세포기 이상은 자궁

 

- 공란우의 수정란을 회수하는 외과적 방법
∙ 자궁관류법
∙ 난관관류법
( 수정란을 회수하는 부위에 따라 자궁관류법과 난관관류법으로 구별, 관류의 형태에 따라 상향식과 하향식으로 구분 )
- 소에서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정란을 이식 할 때 수정란을 이식하는 부위
∙ 자궁
- 소에 있어서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정란 이식을 하기 위해 채란하는 적절한 시기
∙ 수정 후 6~8일
( 비외과적으로 수정란을 회수하기 위하여 수정란 이식에 가장 적합한 수정란의 채란시기는 수정 후 6~8일 )

 

- 수란우의 선정조건
∙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소
∙ 건강한 생식기를 보유하고 있는 소
∙ 질병 및 대사장애가 없는 건강한 소


- 과배란처리 된 공란우에서 수정란이식에 가장 적합한 수정란의 채란 시기
∙ 수정 후 6 ~ 8일


- 한우의 수정란 이식을 위해 공란우의 자궁에서 수정란을 채취하는 적기
∙ 교배 후 6~8일


- 수정란 채취와 채란 과정
∙ 채란된 수정란은 발육 상태와 형태적 이상 여부를 검사해야 함
∙ 다배란 처리를 위해 난포자극호르몬(FSH)을 사용할 수 있음
∙ 임마혈청 성선자극호르몬(PMSG)을 공란우의 발정 주기 8~15일 사이에 주사

 

- 가축 인공수정 시 정액을 주입할 때 주입기를 삽입하는 부위
∙ 소 – 자궁체 내
∙ 돼지, 면양 – 자궁경관
∙ 닭 – 난관개구부


- 젖소에서 수정란 이식에 필요한 다수의 수정란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다배란 유기에 사용되는 호르몬
∙ 임마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 ( PMSG )
∙ 난포자극호르몬 ( FSH )
∙ 프로스타글란딘 ( PGF2α )
∙ 태반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 HCG )


- 가축의 교배
∙ 돼지는 자궁경관 내에 사정
∙ 소는 정액을 질 내 깊은 곳에 사정
∙ 소의 정자 다수가 난관 상부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4~8시간


- 교배적기를 결정하는 요인
∙ 발정지속시간
∙ 정자의 수송시간
∙ 정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


- 교배적기를 결정할 때 고려되어야 할 요인
∙ 배란시기
∙ 정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
∙ 배란된 난자의 수정능 보유시간


- 수정적기를 결정하는 생리적 요인
∙ 발정징후와 배란시기
∙ 배란된 난자가 암소의 생식기 내에서 수정능력을 유지하는 시간
∙ 정자가 수정부위까지 요하는 시간
∙ 정자가 수정능력을 회복하는데 요하는 시간
∙ 암소의 생식기내에서 수정능력을 유지하는 시간
- 발정주기 중 소에 있어 교배적기 (수정적기)
∙ 발정기 / 발정 종료 전후 2~4시간 사이
∙ 다른 소가 승가하는 것을 허용할 때 수정
∙ 발정개시 후 12~18시간 (배란 전 13~18시간)에 수정
∙ 발정종료 전1시간에서 종료 후 3시간 내 수정


- 소에 있어서 암소의 생식기 내에서 정자가 수정 능력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
∙ 28~30시간


- 소의 난자가 배란된 후 수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의 시간
∙ 12~24시간


- 가축별 수정적기
∙ 젖소 : 발정 종료 전후
∙ 돼지 : 수퇘지 허용시작 후 10~25시간 사이
∙ 면양 : 발정 개시 후 20~25시간


- 소, 면양 및 돼지에서 초기배의 약 25~40%는 수정과 착상의 말기에서 소실된다. 이와 같은 초기배치사의 원인
∙ 발정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불균형으로인해 초기배수송의 촉진 또는 지연으로 생김
∙ 소,면양 및 말에서 비유기 중에서 초기배치사가 발생되는 수 많음
∙ 특히 돼지의 경우 초기배의 높은 사망률은 모축의 연령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 많음
∙ 초기배치사의 원인의 해결에는 모체의 건강, 영양, 연령, 호르몬의 불균형, 열 스트레스, 자궁 내의 환경 등이 꼽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