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식생리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5

728x90
반응형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5

- 난소낭종의 증상
∙ 무발정
∙ 사모광증
∙ 수소와 같은 체형
∙ 비유량이 많은 젖소에서 다발

* 증상 : 분만 후 60일까지는 무발정현(75%)이 많으며, 그 이후에는 사모광증이 많다
- 난소의 기능 이상으로 인한 번식장애
∙ 무발정
∙ 발정이상
( 무발정, 무배란 발정, 둔성발전, 지속성 발정 )


* 난자는 투명대 반응과 난황차단에 의하여 다정자 침입 거부
∙ 배란장애
∙ 난포 발육장애
∙ 둔성 및 미약발정
∙ 난포낭종
∙ 황체낭종
- 성성숙기
∙ 포유가축 수컷에서 정자생성 기능이 완성되고 부생식선이 발달해 교미와 사정이 가능해 암컷을 임신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한 시기
∙ 수소의 성 성숙은 교미와 사정이 가능
∙ 암소의 성 성숙은 발정이 나타나고 임신 가능
∙ 성 성숙기가 번식적령기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
( 춘기발동기 : 성 성숙과정이 시작되는 시기 )
∙ 동일한 가축에서 체구가 작은 품종이 큰 품종보다 성 성숙이 빠름
∙ 교잡종이 순종보다 성 성숙이 빠름
∙ 저영양성수준은 성 성숙이 지연
∙ 비만일 경우 성 성숙이 지연


- 가축의 성 성숙 과정을 지배하는 내분비 상호 작용
∙ 시상하부 – 뇌하수체 – 성선
( 번식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주요 합성부위 )


- 젖소(홀스타인)의 성성숙 월령
∙ 8 ~ 13개월


- 홀스타인 암소의 번식 적령기 평균 체중
∙ 300 ~ 400kg


- 젖소의 정상적인 생리적 공태 기간
∙ 40~60일


- 일반적인 돼지의 평균 번식 적령기
∙ 수컷 : 10개월경, 암컷 : 10개월경

 

- 가축의 성성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전적 요인
∙ 계절
∙ 영양
- 소의 잡종교배 시, 자손의 성성숙 도달일령 변화
∙ 순종에 비해 빠름


- 성성숙이 가장 느린 품종
∙ Ayrshire


- 발정
∙ 성 성숙에 도달한 암컷이 임신하지 않았으면 일정간격으로 발정이 반복
∙ 발정주기는 발정전기 – 발정기 – 발정후기 - 발정휴지기로 구분
∙ 발정기의 생식기관은 에스트로겐 영향 하에 놓임
∙ 발정후기는 프로게스테론 영향 하에 놓임


- 수가축에 있어서 춘기발동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호르몬
∙ 난포자극호르몬 (FSH)
∙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
( 웅축의 춘기발동은 FSH와 테스토스테론의 분비 상승에 기인 )
- 무발정
∙ 성숙한 암컷의 포유가축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결핍, 난소이상 및 황체퇴행 장해 등에 의해 난포의 발육이 되지 않을 때 증상
- 젖소의 난소에서 난포가 발육되지 않아 무발정이 계속될 때 치료제로서 가장 적합한 호르몬
∙ PMSG ( 임마혈청 성선자극호르몬 )
- 성 성숙이 지난 가축에서 일어나는 무발정의 일반적인 원인
∙ 성선자극호르몬 부족, 프리마틴, 황체 잔류
- 발정주기 단계에서 발정기에 배란이 되지 않는 동물
∙ 소
- 성숙한 암컷의 포유가축에서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발정주기
∙ 발정전기 → 발정기 → 발정후기 → 발정휴기기
- 소에 있어서 자궁내 출혈 혹은 발정에 의한 출혈이 외부로 나타나는 발정주기
∙ 발정후기
( 발정 후 출혈은 소의 꼬리 외음부에서 관찰되는 생식기관으로부터의 출혈 )
( 출혈은 교배허용 발정 후 1~3일 사이에 일어나며 소의 교미 또는 임신여부에 관계없이 일어남 )
- 소의 발정 지속 시간
∙ 19~20시간
( 소의 발정지속시간은 평균 20시간. 하지만 품종, 개체, 산차, 영양상태, 계절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아 차이가 남
특히 분만 후 2~3회까지는 불과 5~10시간 정도로 몹시 짧고 정상적인 사양관리를 하는 소는 18~20 시간 정도임
영양이 나쁜 소가 다소 긴편이며 여름철에는 더 짧아진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