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7
- 소에서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정란을 채취하는 시기
∙ 배란 후 4일 이후에 실시
- 소의 수정란 이식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순서대로 나열
∙ 다배란 처리 → 발정동기화 → 채란 → 검사 → 이식
- 소에서 배반포기에 도달한 수정란을 이식하기에 적합한 시기 (단, 수란우 발정 후를 기준)
∙ 7~8일
- 호르몬을 처리하여 다배란을 유도시킨 젖소로부터 수정란을 비외과적으로 채취할 때 가장 적당한 시기의 수정란 발달단계와 장소
∙ 착상 직전, 자궁
- 수정란이 분할을 거듭하여 각종 조직과 기관으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3개의 세포층으로 분화
내배엽 | 간, 췌, 폐, 소장, 대장 같은 내장기관, 체절, 근육조직 |
중배엽 | 근육계, 골격계, 신경계, 비뇨생식기, 신장, 심장, 혈액, 혈관 같은 심혈관계 |
외배엽 | 뇌, 척수, 표피계, 털, 발굽 등의 신경기관 |
- 수정란이 태아로 발달하는 것
∙ 내부세포괴
( 영양막은 태반과 태막형성에 관여, 내세포괴는 태아로 발달 )
- 수정란 이식의 최적 부위
∙ 자궁각 선단
이식부위 | |
소 | 자궁각 선단부 |
돼지, 면양, 산양 | 4세포기 이하는 난관, 4세포기 이상은 자궁 |
- 공란우의 수정란을 회수하는 외과적 방법
∙ 자궁관류법
∙ 난관관류법
( 수정란을 회수하는 부위에 따라 자궁관류법과 난관관류법으로 구별, 관류의 형태에 따라 상향식과 하향식으로 구분 )
- 소에서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정란을 이식 할 때 수정란을 이식하는 부위
∙ 자궁
- 소에 있어서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정란 이식을 하기 위해 채란하는 적절한 시기
∙ 수정 후 6~8일
( 비외과적으로 수정란을 회수하기 위하여 수정란 이식에 가장 적합한 수정란의 채란시기는 수정 후 6~8일 )
- 수란우의 선정조건
∙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소
∙ 건강한 생식기를 보유하고 있는 소
∙ 질병 및 대사장애가 없는 건강한 소
- 과배란처리 된 공란우에서 수정란이식에 가장 적합한 수정란의 채란 시기
∙ 수정 후 6 ~ 8일
- 한우의 수정란 이식을 위해 공란우의 자궁에서 수정란을 채취하는 적기
∙ 교배 후 6~8일
- 수정란 채취와 채란 과정
∙ 채란된 수정란은 발육 상태와 형태적 이상 여부를 검사해야 함
∙ 다배란 처리를 위해 난포자극호르몬(FSH)을 사용할 수 있음
∙ 임마혈청 성선자극호르몬(PMSG)을 공란우의 발정 주기 8~15일 사이에 주사
- 가축 인공수정 시 정액을 주입할 때 주입기를 삽입하는 부위
∙ 소 – 자궁체 내
∙ 돼지, 면양 – 자궁경관
∙ 닭 – 난관개구부
- 젖소에서 수정란 이식에 필요한 다수의 수정란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다배란 유기에 사용되는 호르몬
∙ 임마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 ( PMSG )
∙ 난포자극호르몬 ( FSH )
∙ 프로스타글란딘 ( PGF2α )
∙ 태반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 HCG )
- 가축의 교배
∙ 돼지는 자궁경관 내에 사정
∙ 소는 정액을 질 내 깊은 곳에 사정
∙ 소의 정자 다수가 난관 상부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4~8시간
- 교배적기를 결정하는 요인
∙ 발정지속시간
∙ 정자의 수송시간
∙ 정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
- 교배적기를 결정할 때 고려되어야 할 요인
∙ 배란시기
∙ 정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
∙ 배란된 난자의 수정능 보유시간
- 수정적기를 결정하는 생리적 요인
∙ 발정징후와 배란시기
∙ 배란된 난자가 암소의 생식기 내에서 수정능력을 유지하는 시간
∙ 정자가 수정부위까지 요하는 시간
∙ 정자가 수정능력을 회복하는데 요하는 시간
∙ 암소의 생식기내에서 수정능력을 유지하는 시간
- 발정주기 중 소에 있어 교배적기 (수정적기)
∙ 발정기 / 발정 종료 전후 2~4시간 사이
∙ 다른 소가 승가하는 것을 허용할 때 수정
∙ 발정개시 후 12~18시간 (배란 전 13~18시간)에 수정
∙ 발정종료 전1시간에서 종료 후 3시간 내 수정
- 소에 있어서 암소의 생식기 내에서 정자가 수정 능력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
∙ 28~30시간
- 소의 난자가 배란된 후 수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의 시간
∙ 12~24시간
- 가축별 수정적기
∙ 젖소 : 발정 종료 전후
∙ 돼지 : 수퇘지 허용시작 후 10~25시간 사이
∙ 면양 : 발정 개시 후 20~25시간
- 소, 면양 및 돼지에서 초기배의 약 25~40%는 수정과 착상의 말기에서 소실된다. 이와 같은 초기배치사의 원인
∙ 발정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불균형으로인해 초기배수송의 촉진 또는 지연으로 생김
∙ 소,면양 및 말에서 비유기 중에서 초기배치사가 발생되는 수 많음
∙ 특히 돼지의 경우 초기배의 높은 사망률은 모축의 연령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 많음
∙ 초기배치사의 원인의 해결에는 모체의 건강, 영양, 연령, 호르몬의 불균형, 열 스트레스, 자궁 내의 환경 등이 꼽힘
'번식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9 (1) | 2024.06.11 |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8 (3) | 2024.06.10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6 (1) | 2024.06.08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5 (1) | 2024.06.07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4 (1)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