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식생리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8

728x90
반응형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8

- 돼지에서 교배(인공수정)후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는 시기
∙ 15일
( 돼지 착상시기는 수정 후 12~24일경까지 계속됨 )
- 수정 후 착상까지의 기간이 가장 긴 가축
∙ 소


- 브루셀라병
∙ 전염성 번식장해를 일으키는 질병
∙ 포유동물에 주로 발생
∙ 급성 또는 만성전염병으로 유산을 일으킴
∙ 감염 소의 생식기로부터 누출되는 배설물에 오염된 사료나 물의 세균을 섭취하여 전염됨
∙ 가장 일반적인 소의 생식기병


- 번식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
∙ 영양 장해 / 해부학적 결함 / 유전적 원인


- 번식 장해
∙ 난자가 노화함에 따라 수정력과 생존배를 만드는 능력이 저하
∙ 저수태(repeat breeders)의 가장 큰 원인은 수정란 또는 배아의 조기 사망
∙ 번식 장해는 부적절한 사양 관리로 인해 발생


- 번식장애
∙ 리피트 브리더의 가장 큰 원인은 태아의 조기사망
∙ 웅축이나 자축에서 일시적 혹은 지속적으로 번식이 정지되거나 저해되는 상태
∙ 면역학적 불친화성은 수정방해나 신생아사망을 일으키는 원인
∙ 무발정은 성숙한 암컷의 포유가축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결핍, 난소이상 및 황체퇴행장애 등에 의해 난포의 발육이 되지 않을 때 나타남


- 말
∙ 일조 시간이 길어지는 봄~여름에 번식이 개시되는 동물(계절번식)


- 일조시간이 짧아지는 계절에 번식이 시작되는 동물
∙ 면양

 

- 계절번식 동물(특히 면양)의 성성숙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일조시간
( 계절요인 중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광주기성, 즉 일조시간이다 )


- 가축의 번식계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일조시간의 장단
∙ 온도
∙ 내분비학적 기구

장단일성
일조시간
성중추를 자극하여 시상하부의 GnRH를 분비하고,
이것이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여 FSH와 LH의 분비를 촉진시켜 발정을 유발함
온도 일조시간에 비하면 그 영향이 약하나 번식계절의 개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

 

- 가축의 번식 적령기
∙ 번식적령기를 결정하는 요인 중 월령과 체중이 가장 중요
∙ 젖소의 번식적령기는 생후 13~15개월령 전후
∙ 돼지(렌드레이스)의 번식적령기는 생후 8개월령 이후

 

- 소의 평균 임신기간
∙ 279일
- 한우의 평균 임신기간
∙ 285일
- 젖소의 평균 임신기간
∙ 280일
- 가축별 평균 임신기간
∙ 소 : 237일 / 돼지 : 114일 / 토끼 : 62일

 

- 가축의 임신기간
∙ 가축의 임신기간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고 주로 유전자형의 차이에 기인
∙ 가축의 연령, 영양, 기온 및 계절과 같은 환경적 요인도 임신기간에 영향
∙ 쌍태분만이나 태아의 크기가 클수록 임신기간이 다소 짧아지는 경향


- 성숙한 포유가축의 난소에서 혈관, 림프관 및 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곳
∙ 난소 수질


- 임신 중인 포유가축의 태반이 수행하는 생리적 기능
∙ 태아의 호흡조절 / 호르몬 생산 / 영양분 흡수


- 자궁내 미이라변성 태아가 있을 때
∙ 난포의 발육이 억제되어 발정이 나타나지 않음
∙ 감염으로 태아와 태막의 탈수에 의해 발생
∙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투여로 태아를 배출시켜야 함


- 황체 호르몬의 생리작용
∙ 자궁액의 분비 증대
∙ 황체형성호르몬은 난포호르몬과 협동하여 자궁과 유선을 발달
∙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여 태아를 보호하고 임신을 유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
∙ 자궁유 분비를 촉진시켜 착상 전 배의 영양분 공급을 도움


- 성숙한 포유가축의 자궁이 수행하는 생리적 기능
∙ 난자와 정자의 수송
∙ 황체기능의 조절
∙ 수정란 착상
∙ 임신유지 및 분만개시
- 암컷의 자궁형태

가축별 자궁의 형태
중복자궁 설치류 중 토끼
분열자궁(양분자궁)
쌍각자궁 말, 돼지, 산양, 개, 고양이 등
단자궁(단일자궁) 사람, 영장류

 

 

- 포유동물에서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부위와 수정란이 발달하여 착상하는 부위
∙ 수정부위 – 난관
∙ 착상부위 – 자궁 ( 수정란을 착상시켜 태반을 형성하고 태아의 개체발생을 완료하는 근생식기관 )


- 난자와 정자의 수정이 일어나는 장소
∙ 난관 팽대부
( 난자는 대부분 제1극체를 방출한 다음 난관 팽대부의 하단에서 수정 )

 

- 임상적 임신진단법
∙ 외진법 ( NR법 (non-return) )
∙ 직장검사법 (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빠르고 정확한 임신진단 방법)
∙ 질검사법
∙ 초음파진단법 (휴대가 간편하고 화질 및 해상도 등이 향상되어 임신진단의 정확도가 높아져 초심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
∙ 자궁경관점액검사법
∙ 체온측정법 (소, 돼지의 임신 확인)


- 소의 임신진단 시 직장검사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
∙ 임신황체의 유무
∙ 태막과 태아의 존재 여부
∙ 중자궁동맥의 확장 및 진동 정도


- 임신 1개월의 소 생식기의 직장검사에 의한 소견
∙ 한쪽의 자궁각이 반대쪽보다 큼
∙ 질은 건조하고 끈적끈적함
∙ 농축된 점액이 자궁외구부를 밀폐
∙ 황체는 21일 전에 배란이 일어났던 난소에 존재


- 소에서 가장 조기에 임신진단이 가능한 방법
∙ 유즙 중 호르몬 측정
( 소의 조기임신진단방법으로서 수정 후 21~24일 사이에 우유 내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을 측정하여 일정한 수준이 넘으면 임신으로 판정 )

 

- 비유
∙ 프로락틴(prolactin)은 유선포의 분비상피 세포에 직접 작용
∙ 비유동물의 부실을 제거하면 비유는 현저하게 감소
∙ 갑상선 호르몬은 비유에 관여


- 비유 유지 호르몬
∙ 난포호르몬(Estrogen) ( 유선관계의 발달 )
∙ 프로락틴(prolactin) ( 유즙합성 및 분비 )
∙ 옥시토신 ( 유즙분비 )
∙ 황체호르몬(Progesterone) ( 유선포계의 발달 )
∙ 성장호르몬(GH), 부신피질자극호르몬(코르티솔 등) 및 갑상선호르몬 ( 유즙합성을 위한 유선조직 준비 )

 

* 갑상선 호르몬의 작용
∙ 체성장
∙ 발육과 성숙
∙ 영양소의 산화

 

- 코르티솔
∙ 화학적 구조에 따른 호르몬의 분류 중 스테로이드계 호르몬에 해당
∙ 부신피질에서 분비


- 비유(泌乳) 개시 시 분비가 상승되는 호르몬
∙ 부신피질호르몬(glucocorticoid)
∙ 프로락틴(prolactin)
∙ 난포호르몬(estrogen)
( 분만 후 비유는 프로락틴의 증가와 프로게스테론의 감소에 의함 )
- 임신기에 있는 포유가축의 유방의 유선관계와 유선포계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호르몬
∙ 유선관계 – estrogen
∙ 유선포계 – progesterone


- 유선관계의 발육이 시작되는 시기
∙ 성 성숙과 더불어
( 젖소의 유선은 태아기에 형성되고, 출생 후 성 성숙기 까지는 성장에 비례하여 성장하며 임신하면 급속도로 발달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