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식생리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10

728x90
반응형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10

 

- 소의 분만 직전에 일어나는 분만징후
∙ 유방이 커지고 유즙이 비친다 / 외음부가 충혈되고 종장 / 미근부의 양쪽이 함몰
∙ 에스트로겐과 릴랙신의 작용에 의해 골반은 치골결합과 인대가 늦춰져 가동성이 늘어남
∙ 점조성이 있는 점액이 질내에 고이고 외음부로부터 누출량이 많아짐


- 태아의 만출 후부터 태반이 정상적으로 만출 될 때까지의 시간 ( 태반만출기 )
∙ 말 - 1시간
∙ 소 - 4~5시간
∙ 면양 – 0.5~8시간
∙ 돼지 – 1~4시간


- 소에서 분만시 막이 파열되고 액체가 파수현상이 두 번 일어나는데 각각 파열되는 막
∙ 제1파수 – 요막
∙ 제2파수 – 양막


- 소에서 분만 후 자궁이 비임신 상태의 크기로 환원되는 자궁퇴축이 완료되는 시기
∙ 분만 후 30~45일
( 분만 후 약 42일이 경과하면 자궁소도 정상적인 크기로 복귀하여 자궁의 상피도 갱신됨 )


- 태아의 만출 후부터 태반이 정상적으로 만출 될 때까지의 시간
∙ 소 : 4~5시간


- 임신 중인 포유동물의 태반 기능
∙ 노폐물 모체로 전달 / 모체로부터 영양소 흡수 / 호르몬 생성


- 융모막융모의 분포범위와 모양에 따른 태반의 분류 중 그림과 같은 것

∙ 궁부성 태반

- 산재성 태반
∙ 태반을 형태학적으로 분류할 때 돼지의 태반
∙ 말과 돼지에서 볼 수 있는 태반의 형태

 

태반의 분류 – 융모막융모의 분포에 따른 분류
산재성 태반 말, 돼지
궁부성 태반 소, 산양, 면양, 사슴
대상성 태반 개, 고양이
반상성 태반 토끼, 영장류, 설치류

 

- 태반장벽의 구조에 따라 태반을 조직학적으로 분류 ( 태반장벽 : 태아 순환과 모체순환을 이간시키고 있는 조직층 )

 

- 복제동물 생산 방법
∙ 분할구의 분리 / 핵이식 / 수정란 절단


- 복제동물 생산에 있어서 핵이식의 과정
∙ 수핵난자와 공핵배의 준비
∙ 핵이식과 세포융합
∙ 핵이식란의 배양과 이식


- 프리마틴(freemartin)
∙ 중간적인 양성의 생식기관을 갖음
∙ 정상적인 암컷과 비슷한 외부생식기를 갖음
∙ 정소와 여러 가지로 유사점을 가진 변이한 난소를 가짐


- 저수태우의 예방대책
∙ 수정 시 세균오염 방지
∙ 수정적기에 수정
∙ 영양개선


- 닭의 경우 계란의 형성 시 난각이 형성되는 생식 기관
∙ 자궁

 

* 닭의 사란주기
: 한마리 암탉이 연일 산란하는 계란의 수

 

- 가축에서 모자(母子)간 일어나는 흡유 행동의 자극
∙ 청각, 시각, 촉각, 후각
- 진반음양
∙ 한 개체가 난소와 정소를 각각 1개씩 가지고 있거나, 양쪽의 성선이 난정소인 것
- 암컷과 수컷의 신체적 접촉
∙ 암ㆍ수컷 모두의 생식활성이 증진
∙ 수컷의 존재는 암컷의 발정행동과 배란을 자극
∙ 계절적 무발정이 종료될 무렵에 있는 면양과 산양을 수컷과 동거시키면 곧바로 발정이 발현
∙ 사정하는데 걸리는 자극시간은 정액의 양에 영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