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식생리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12

728x90
반응형

핵심 번식생리학 요약 정리 12

- 황체호르몬(Progesterone)
- 탄소 수 21개
- 분비 : 난소의 황체세포, 태반 부신피질, 정소
- 생리작용: 자궁내막의 착상성 증식유발, 자궁선 발달 자궁액의 분비 증가, 임신유지 필수
- 자궁운동의 억제 자궁근육에 대한 반응 저하, 자궁경의 수축 농후점액의 분비 질 상피세포의 점액화 / 유선포계의 발육과 분화 촉진
- 부족 : 태아의 유산(abortion), 흡수(absortion), 조산 (premature birth)


# 단백질 호르몬
- Relaxin
- 분만 관여
- 분비 : 난소의 임신 황체 ,임신 자궁내막, 태반
- 임신경과 따라 증가 → 임신말기 최고 → 분만동시 소실
- 분만 전 자궁경과 질의 이완, 치골 결합 분리 → 태아가 골반을 통과하도록 산도를 연다


- Inhibin
- 분비 : 난소 포상난포의 과립막세포 정소 세르톨리 세포
- 시상하부 – 뇌하수체의 음성 피드백 → FSH분비 억제
- 정자의 생성 억제


- Activin
- FSH의 분비 촉진


- 뮐러관 억제 물질 (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 MIS )
- 암수성선에서 합성 웅성태아의 성분화


# 태반 호르몬( placental hormone )
- 임마혈청성 호르몬 ( PMSG )
-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
∙ 7000Da, a-단체,b-단체구성, 당단백질
- 인심한 말의 자궁내막배 (endo metrial cup)에서 분비
- 1차 황체의 유지를 자극
- 임신 40-70일 사이에 배란을 자극-말은 임신 중 프로게스테론 농도 유지가 어려워 임신 중 다시 배란하여 프로게스테론 농도를 유지한다
- 부황체의 형성과 유지를 자극
- 말에서 PMSG는 FSH와 LH의 생리적 작용을 한다
∙ 다른 동물에 PMSG를 주입 했을 때 특히 FSH 작용이 강함
- 난소를 자극하여 많은 난포를 발육시킴, 에스트라디올 농도를 증가시킴
- 응용 : 가축의 번식 장애 치료 ,번식 계절의 조정, 발정 동기화, 과 배란 유도
- 임부 융모성 호르몬 ( hCG )
- human choronic gonadotropin
- 입덧과 관계하며 유산과 기형의 위험이 높은 시기이기 때문에 섭식을 조절하는 기작 – 태아의 발생기 - 세포분열의 완성
- 40000Da, a-단체,b단체 구성, 당단백질
- 사람, 영장류에서 분비
- 임신시 태반의 융모막의 영양막 세포가 분비
- 부화가 되면서 배반포에서 생산을 시작
- 임신 8-10일에 혈액과 요에서 검출되기 시작
- 임신 2.5개월에 최고치 → 임신진단 키트-임신
- LH기능 → 배란을 유발
∙ 황체 형성
∙ 황체 기능 유지-임신중 배란을 막음
∙ Progesterone 분비 증가
- 축산응용 : 난소낭종 배란장애 등 번식장애치료
- 번식계절 조정, 과배란 처리, 수정란 이식

 

- 태반성 락토겐 ( human pacental lactogen, hPL )
- Prolactin과 우사한 단백질
- 성장호르몬의 성질 : 체중증가 골단 발율 유도
- 임신말기 증가 : 태아발달에 필요한 영양소 공, 모체의 대사 작용 조절
- 유즙의 분비


- 단백질B
- 황체의 퇴행 방지, 임신 황체로 전환, 임신유지


- Prostaglandin
- 5탄소 환, 20개 탄소 불포화 수산환 지방산
- 아라키돈산 : PGF2α, PGE2 전구물질
- 항염증 제에 의해 억제 :아스피린 인도메타신
- PGF2α, PGE2 : 자궁근의 윤활근 수축 자극 → 분만 촉진제의 역할
- 혈관수축 → 황체에 혈액 공급 억제 → 황체세포의 산소결핍 → 황체퇴행
- PGF2α : 황체에서 Progesterone 합성 억제
- 축산에서 PGF2α : 발정동기화, 분만시기의 조절, 번식 장애 치료


- Growth factor
- 난소와 정소에서 분비 : 번식기능의 조절
∙ 정소 내 : b 엔도르핀
∙ POMC 유래 펩타이드, LHRH유사물질
- 난소 내 : IGF-1 난포성장 자극, Estrogen 분비유발
∙ EGF(상피성장 인자)→ 배란 시 파괴된 난소 상피 재생
∙ 성선 자극 호르몬 활성 증폭 난포 발달 완성
∙ 배란, 난포의 선발
- 자궁 EGF → 자궁 근층의 수축
∙ IGF-1, PDGF, UDGF, ULFM
- 착상과 임신 : PAF(Platelet activating factor) → 수정란이 모체에 임신을 유지하도록 보내는 최초의 신호, 황체 퇴행의 억제
∙ EPF(Early pregnant factor) → 난소에서 합성 ,모체 임신인지
∙ 수정란이 합성 자극

728x90
반응형